참고문헌
- 강은영.김진욱.강은희(2019). 아버지의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23(2), 253-278.
- 고경미.이선경(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부간 의사소통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611-628.
-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19.11.21.)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주) 한독타운에서 타온홀 미팅 개최.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0511
-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20.1.22). 2019년 아빠 육아휴직자, 최초로 2만명 돌파.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0686
- 곽은희(2011).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성역할 고정관념, 유아 사회성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근혜(2019). 부모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16, 1-20.
- 김기현.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 35(5), 141-150.
- 김문주 역,(2018), 담대한 목소리, Gilligan, C.(2011), Joining the Resistance, 서울 : 생각정원.
- 김미숙.김바다(2016).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매개 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8(4), 21-38.
- 김수정.조효진(2016). 미취학 자녀를 둔 X세대 남성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지역과 세계, 40(1), 185-213.
- 김양지영(2016). 남성의 돌봄 실천과 성별분업 해체 가능성: 아버지의 자녀양육 경험 비교를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33(1), 35-67.
- 김원정(2020). 가부장적 가족주의 유재와 한국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도입. 한국여성학, 36(1), 95-137.
- 김유리.김은정(2016). 돌봄시간지원정책의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미취학자녀를 둔 남성 근로자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8(1), 94-125.
- 김은설.최혜선(2008). 한국인의 자녀 양육관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 김은혜(2011).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양육 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보육서비스 질의 영향: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비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환.이선이(2014). 한국 30대 고학력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6(3), 71-104.
- 김진욱.강상준(2018). 가족친화제도와 분위기가 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경로분석: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매개효과로. 사회보장연구, 34(1), 25-54.
- 김태현.박주희(2005).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관계 향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3), 79-106.
- 김현정.이태상(2019).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 관계에서 아동의 자존감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723-742.
- 김혜성.그레이스정(2019). 행복한 대한민국의 김지영을 위하여: 남편의 성역할 태도, 양육분담이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9(1), 35-64.
- 김혜원.유성경(2017). 부모의 성인애착와 양육 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결혼불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199-226.
- 김희강(2018). 돌봄과 돌봄 없는 정치이론. 한국정치학회보, 52(2), 203-224.
- 김희강.나상원 역,(2014), 돌봄 민주주의, Tronto, J. C.(2013), Caring Democracy: Markets, Equality, and Justice, 서울 : 아포리아.
- 나성은(2014). 남성의 양육참여와 평등한 부모 역할의 의미 구성. 페미니즘 연구, 14(2), 71-112.
- 나성은(2015). 부성 실천을 통해 본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중간계층 아버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8, 173-212. https://doi.org/10.17792/KCS.2015.28..173
- 류연규.김영미(2012). 복지국가 젠더격차와 성역할 인식 차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39(4), 175-203.
- 목진휴.안미영.김병준(2014). 성역할 인식 및 태도가 보육서비스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151-182.
- 문은영.서영주.최나리(2011). 서울시 남성의 가사.육아 참여 활성화 방안. 서울시여성가족 재단.
- 박선주.강민주(2017).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1(3), 87-111. https://doi.org/10.5718/KCEP.2017.11.3.87
- 박성혜.이희선(2020). 부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20(5), 703-723.
- 박윤.양진희(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과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187-208.
- 박화윤.마지순.안라리(2011). 가족친화적 남편 및 아버지의 역할수행을 위한 문화조성방안. 열린부모교육연구, 3(2), 81-99.
- 서주현(2020). 아버지의 자녀가치가 아버지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1107-1125.
- 성민정.원숙연(2018). 아버지 대상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 및 영향요인: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6(4), 157-188.
- 양진희(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온정적 양육방식, 우울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4), 409-433.
- 오민아.변길진.권정윤(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 가치와 양육분담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일-가정양립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유아교육학논집, 22(5), 429-448.
- 우수정(2019).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621-635.
- 이뿐새.류성연.송민영(2017). 아버지의 성역할가치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6), 75-97.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6.004
- 이숙현.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문화, 21(1), 1-28.
- 이슬기(2019). 남성규범과 새로운 아버지 신념에 따른 아버지 유형과 공동양육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정순(2003).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관과 아동관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7(4), 53-67.
- 이영 역,(1992), 인간발달생태학, Bronfenbrenner, U.(1981),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서울 : 교육과학사.
- 정미라.이미나(2018).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 인지적 자기조설,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149-164.
- 정태숙.김영희(2019).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1), 75-103.
- 정혜린(2018).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변인 탐색: 학부모 참여 모델을 적용하여. 교육연구논총, 39(3), 137-164.
- 조복희.이진숙.이홍숙.권희경(1999). 한국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10), 123-133.
- 조윤진(2017).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경험. 사회과학연구논총, 33(2), 57-115.
- 조희금(2016).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근로시간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자녀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49-68.
- 최새은.정은희.최슬기(2019). 육아휴직제를 사용한 남성의 가정 및 직장에서의 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39(4), 280-319. https://doi.org/10.15709/HSWR.2019.39.4.280
- 최수미.조영일(2013). 부정문항이 포함된 척도의 요인구조 및 방법 효과검증과 남녀간의 차이 비교: Rosenberg 자기존중감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2(3), 571-589.
- 최지은.김현경(2019).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 제도가 아버지, 어머니,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3(2), 145-169. https://doi.org/10.5718/KCEP.2019.13.2.145
- Barber, B. K., Stolz, H. E. & Olsen, J. A.(2005).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70(4), 1-13. https://doi.org/10.1111/j.1540-5834.2005.00365.x
- Blandon, A. Y. & Volling, B. L.(2008). Parental gentle guidance and children's compliance within the family: A replication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355-366. https://doi.org/10.1037/0893-3200.22.3.355
- Chung, H.(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https://doi.org/10.2466/PR0.95.7.1015-1022
- Cook, E. P.(1985). Sex roles and work roles: A balancing proc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3(3), 213-220.
- Fox, G. L. & Bruce, C.(2001). Conditional fatherhood: Identity theory and parental investment theory as alternative sources of explanation of father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2), 394-403.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394.x
- Frye, N. K. & Breaugh, J. A.(2004). Familyfriendly policies, supervisor support,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atisfaction: A test of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9(2), 197-220. https://doi.org/10.1007/s10869-004-0548-4
- Hayes, A. 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 Guilford Press.
- Hochschild, A.(2012). The Second Shift(Revised Version). New York : Penguin Books.
- Jacobs, J. N. & Kelly, M. L.(2006). Predictors of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care in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athering, 4(1), 23-47. https://doi.org/10.3149/fth.0401.23
- Kwon, Y.(2010). Paternal involvement within contexts: Ecological examination of Korean fathers in Korea and in the U.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1, 35-47.
- Klebanov, P. K., Brooks-Gunn, J. & Duncan, G. J.(1994). Does neighborhood and family poverty affect mothers' parenting,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1-455.
- Lamb, M. E. & Tamis-LeMonda, C. S.(2004). The role of the father: An introduction. In M. E. Lamb(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pp. 1-31). New York : Wiley.
-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 Maurer, T. W., Pleck, J. H., & Rane, T. R. (2001). Parental identity and reflected-appraisals: Measurement and gender dynam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3, 309-32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309.x
- McLeod, B. D., Wood, J. J. & Avny, S. B.(2011). Parenting child anxiety disorders. In McKay, D., & Storch, E. A.(Eds.),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Anxiety Disorders(pp. 213-228). New York: Springer.
- Osmond, M. W. & Martin, P. Y.(1975). Sex and sexism-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sex-role attitud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4), 744-758. https://doi.org/10.2307/350825
- Ruble, D. N. & Martin, C. A.(1998). Gender development. In W. Damo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 Wiley.
-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https://doi.org/10.1037/0021-9010.80.1.6
- Thompson, C. A., Beauvais, L. L. & Lyness, K. S.(1999).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92-415. https://doi.org/10.1006/jvbe.1998.1681
- Voydanoff, P.(2004).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398-41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4.0002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