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항기 인천 근대정원의 조영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 리키다케 별장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Garden in Incheon During the Opening Period - Focused on Rikidake's Villa -

  • 진혜영 (국립수목원 수목원 정원연구센터) ;
  •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투고 : 2020.08.20
  • 심사 : 2020.09.08
  • 발행 : 2020.09.30

초록

본 연구는 근대정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인천 제물포의 조계지 형성 및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이곳에 조성된 근대정원의 조영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천 조계지의 형성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과거 제물포는 황량한 어촌이었으나 1881년 개항 이후 일본 조계지와 청국전관조계 및 각국공동조계가 형성되었다. 이후 일본은 남쪽 갯벌지대를 매립하여 조계지를 확장했고, 조선지계(현신흥동 일대)로 진출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전관조계를 중심으로 일본의 근대도시경관을 이식하였으며, 조계지의 중심가 주변지역에 근대정원들이 분포하고 있다. 둘째, 리키다케 별장을 대상으로 정원의 조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일본인 리키다케가 인천의 대지주였던 우리탕의 과수원 부지를 매입하여 정원을 조성하였다. 리키다케의 거주 당시에는 정원공간만 약 3,000평으로 매우 큰 규모였으며, 해방 이후에는 인천시에서 인수하여 율목어린이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곳은 개항 당시 부촌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율목동 일대 가장 높은 곳에 정원이 위치하여 인천항 일대의 조망이 용이했다. 또한 리키다케의 정미소와 직선거리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점 또한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셋째, 오늘날 리키다케 별장의 정원은 석축을 쌓은 사다리꼴 형태의 부지에 복층의 일본식 가옥이 위치하고, 남측에 약 990㎡ 규모의 정원이 조성되어 있다. 현재 남쪽에서의 진입과 북쪽 율목 어린이공원에서의 진입이 가능하나 과거에는 인천항과 조계지, 그리고 리키다케 정미소를 조망할 수 있는 방향이 가옥의 주 향이었을 것으로 보아 정원을 앞에 두고 가옥이 위치했을 것이다. 정원은 원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석등과 비석, 정원석, 수목 등을 배치한 다정양식에 해당하며, 주변에 주목, 스트로브잣나무, 단풍나무 등의 수목식재와 둥글게 전정한 철쭉과 영산홍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가옥 주변에는 관목 중심의 식재를 통해 가옥 내부에서의 조망을 확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modern garde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Jemulpo in Incheon and the details of the modern garden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the Incheon Residence Site began in 1876 with the signing of the Joseon-Japan Treaty. Jemulpo used to be a desolate fishing village in the past, but after its opening in 1881, the Japanese settlement, Chinese settlement, and the general foreign settlement were formed. After that, Japan reclaimed the southern mudflats and expanded the theire settlement area, and advanced to the Joseon area(currently Sinheung-dong). In Japanese colonial era, modern Japanese urban landscapes were transplanted into the settlement area, centering on the Japanese modern gardens were distributed in the area around the center of the settlement area. Second,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garden for the Rikidake villa, Japanese Rikidake purchased a site for an orchard in Uri-tang, who was a major landowner in Incheon, to create the garden. At the time of Rikidake's residence, the garden was very large, measuring about 3,000 pyeong, and after liberation, it was acquired by Incheon City and used as Yulmok Children's Library. It was known as a rich village at the time of the opening of the port, and a garden was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in Yulmok-dong, making it easy to see the Incheon Port area. Also, a spot located about 300 meters away from Rikidake's rice mill may have affected the location selection. Third, today's Rikidake villa has a Japanese-style house on a trapezoidal site, with a garden of about 990 square meters on the south side. Currently, it is possible to enter from the south and from Yulmok Children's Park in the north, but in the past, the main direction of the house was to view the Incheon Port, settlement area, and the Rikidake Rice Mill, so the house was located in front of the garden. The garden is a multi-faceted style with stone lanterns, tombstones, garden stones, and trees placed on each side, and is surrounded by arboreal plants such as attention, strobe pine, and maple trees, as well as royal azaleas. The view from the inside of the house was secured through shrub-oriented vegetation around the house.

키워드

참고문헌

  1. 小川雄三(Author), Kim, C. S. and Jeon, K. S.(translate)(2006). Incheon 1903- Translate Incheon Prosperity Record. Incheon Studies Institute.
  2. Lee, Y. H.(2018). Open Part City Jemulpo, Minsokwon: Seoul.
  3. Dong-A Ilbo newspaper article March 13, 1924
  4. 志賀重昂(1995). 日本風景論. 岩波書店
  5. https://www.icjg.go.kr/tour/cttu0101a
  6. Hankook Ilbo article of June 16, 2019.
  7. http://www.icjg.go.kr/dong/jmin0305tc
  8. Kim, H. G., So, H. S. and Choi, K. S.(2007). A Study of Japanese Stone Lanterns' Representations in Contemporary Exterior Spac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111-123.
  9. 西桂(2004). 日本の庭園文化, 學藝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