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Positionality in Their Metaphors

메타포 분석을 통해 본 고경력 보육교사의 위치성

  • 박경필 (부산근로복지공단어린이집) ;
  • 이경화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0.08.17
  • Accepted : 2020.10.0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Objective: The research aimed to help understand the lives of those living in today's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 positionality of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and to obtain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1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seven years of job experience. The metaphors expressing themselves were collected and implemented the metaphor analysis in terms of positionality.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experts were positioned as teachers who cared for and taught children, as co-learners with children, and as leaders of junior teachers. Second,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minorities were positioned as non-subjects, and as oppressed persons who had to obey in the lower level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childcare centers. Third,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marginal persons were positioned as problem solvers, and as border-crossers who conflict and adjust in complex relationship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irst, policies must be expressed in public language that respect childcare teachers as a key worker in society; second, the job policies must be shifted toward employment security of childcare teachers. Third, substantial support for labor costs for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expanded.

Keywords

References

  1. 권성희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머니-보육교사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포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은 (2018). 고경력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성 (2018). 4차 산업혁명과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미영 (2019). 어린이집 고경력 교사들이 경험한 삶의 보람과 어려움.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양선 (2017). 향토 멜로드라마와 여성의 위치성: 박경리의 <파시(波市)>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1, 269-292.
  6. 김양은 (2017). 고경력 보육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이탈위기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375-403. doi:10.22251/jlcci.2017.17.18.375
  7. 김유환 (2011). 어머니-교사관계가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소영 (2009).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베이비뉴스 (2020. 7). 표준보육비용 계측결과 무시? 정부, 자기 모순에 빠졌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7549에서 2020년 8월 2일 인출
  10. 보건복지부 (2018). 연도별 보육교직원 현황. 세종시: 보건복지부.
  11. 보건복지부 (2020a). 2020년도 보육통계. 세종시: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 (2020b). 2020년도 보육사업안내. 세종시: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2020). 2020 어린이집 평가매뉴얼.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4. 소경희, 최유리 (2018).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1-112.
  15. 손현경 (2015). 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인간관계에서 갖는 어려움과 극복을 위한 노력. 중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화식 (2009). Montessori교육의 사상사적 재 고찰. 실천유아교육, 14(1), 17-39.
  17. 안혜림, 이연선, 강승지 (2019). 23년차 보육교사의 이야기: 살아내기에서 살아가기로. 아동과 권리, 23(3), 521-551. doi:10.21459/kccr.2019.23.3.521
  18. 엄태현, 한종화 (2020). 고경력 영아교사가 느끼는 보람과 어려움.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2), 177-201. doi:10.22154/JCLE.21.2.8
  19. 위키백과 (2020). 전문직.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B%AC%B8%EC%A7%81에서 2020년 9월 21일 인출
  20. 유주연, 이승연 (2015). 영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의 힘.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257-288. doi:10.24211/tjke.2015.32.2.257
  21. 이경화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9(2), 5-33. doi:10.26834/kscice.2019.9.25
  22. 일자리위원회 (2017. 10).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https://www.jobs.go.kr/ko/cms/CM_CN01_CON/index.do?MENU_SN=1990에서 2020년 8월 1일 인출
  23. 임민정 (2020). 보육현장에서의 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유아교육연구, 40(1), 111-134. doi:10.18023/kjece.2020.40.1.005
  24. 장지애 (2019). 장기 경력보육교사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하준 (2020). 경제의 개편. 최재천 편, 코로나 사피엔스(pp. 44-67). 서울: 인플루엔셜.
  26. 정민승 (2004). '합리적 대화'를 넘어 '차이 배우기'로 -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의 교육학적 의미 지평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4(3), 183-205.
  27. 정현주 (2015).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지, 50(3), 289-303.
  28. 정혜란 (2013). 미디어 속 소수자의 유형과 위치성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보라미 (2010).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한국극예술연구, 32, 311-344. doi:10.17938/tjkdat.2010.32.311
  30. 진은영, 이경화 (2020). 보육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어린이집 평가의 어려움: 질적 메타분석. 교육혁신연구, 30(1), 261-287. doi:10.21024/pnuedi.30.1.202003.261
  31. 최유리 (2018). 교사의 혼종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페미니스트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은영 (2020). 보육정책 성찰적 재고(再考): 돌봄노동에 대한 가치인정과 품질향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67(2), 5-30. doi:10.16975/kjfsw.67.2.1
  33. 최정인 (2016). 유아교육기관 경력교사들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통계분류포털 (2020). 보육교사 분류 설명.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에서 2020. 8.1. 인출
  35. 하수경 (2015). 사립유치원 경력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은미, 이경화 (2014). 개념적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유아에 대한 신념.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22.
  37. Alcoff, L. (1988). Cultural feminism versus post-structuralism: The identity crisis in feminist theory.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13(3), 405-436. doi:10.1086/494426
  38. Anzaldua, G. (1999). Borderlands/La Frontera: The New Mestiza (2nd Edition). San Francisco, CA: Aunt Lute Books.
  39. Lakoff, G., &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Moser, K. S. (2000).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 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1(2). doi:10.17169/fqs-1.2.1090
  41. Saban, A., Kocbeker, B. N., & Saban, A. (2007).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revealed through metaphor analysis. Learning and Instruction, 17(2), 123-139. doi:10.1016/j.learninstruc.2007.01.003
  42. Schmitt, R. (2005).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10(2), 358-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