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spects of women's play and Eomeoni(Mother) of Geugyesuryeonguho(극예술연구회)

극예술연구회 <어머니>와 여성 연극의 양상

  • 김남석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20.07.13
  • Accepted : 2020.08.15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So far, research on the 10th performance of the Geukye Suryeonguhoe has been rarely conducted. In particular, Lee Seo-hyang's Eomeoni was rarely studied, and it was only recorded that at most it was one of the 10th performances. Although the script of Eomeoni remains, and the 10th performance was an important regular performance, it should be said that the status of this research is very poor.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failing to accurately examine the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the single act drama Eomeoni.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erformance situation of Eomeoni an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Geugyesuryeonguhoe. In addition, the reason for selecting Eomeoni, the stage performance situation, theatrical elements, stage design, and related evaluations should be analyzed throughout.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status of Eomeoni's performance and examining its significance, and intends to examine the flow of feminist play as a context of the Geeugyesuryeonguhoe through the conclusion.

그동안 극예술연구회의 제10회 공연작에 대한 연구는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특히 이서향의 <어머니>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으며, 기껏해야 제10회 공연작 중 하나였다는 사실 정도만 기록되곤 했다. <어머니>의 희곡이 남아 있고, 제10회 공연이 상당한 의의를 지닌 정기공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 실태는 대단히 열악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단막극 <어머니>가 드러내는 공연사적 가치와 의미를 정밀하게 고찰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공연 정황을 살펴보고, 당시 극예술연구회의 상황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선정 이유, 실제 무대 공연 현황, 연극적 요소, 무대 디자인, 관련 평가를 두루 살펴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어머니>의 공연 정황을 점검하고 그 의의를 살피는 데에 초점을 두었으며, 그 결과를 통해 극예술연구회의 한 맥락으로서 여성 연극의 흐름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