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신탈놀이 연구

Sinjungsin Mask Play Study

  • 윤동환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 투고 : 2020.01.10
  • 심사 : 2020.02.14
  • 발행 : 2020.02.28

초록

땅설법의 하나인 신중신탈놀이는 '성주신 일대기'와 관련이 있다. 신중신탈놀이는 성주신이 귀양을 가면서 만난 민속신들에 관한 이야기를 가면극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성주신일대기를 탈놀이의 형태로 진행하며, 설법을 주도하는 스님은 해설과 주요 배역을 맡는다. 다수의 신도들은 여러 배역과 악사의 역할을 한다. 신중신탈놀이에서는 많은 민속신앙이 소개되고, 흥미유발을 위한 소리, 재담 등이 포함되어있다. 신중신탈놀이는 기존 탈놀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나열과 반복을 통한 연행 방식을 사용한다. 문장이나 구절의 반복은 관중들에게 문맥의 의미를 예지하거나 줄거리의 전개양상을 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복은 장면의 상황을 강조하고 율동감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탈놀이는 서민층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에, 탈놀이꾼들이 민요에서 흔히 사용되는 반복방식을 대사에 활용한다. 그로인해 관중에게 친숙감을 주고, 관중의 취향에 부응하는 것이다. 신중신탈놀이는 대중의 포교를 위해 민중의 연희방식을 차용하였다. 단어 또는 문장이나 구절의 반복, 단어나 문장의 대구, 기존 가요의 차용, 공식적 표현단위 등 전통연희의 극적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반복적 연행단락을 통하여 신자들이 직간접적으로 쉽게 익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중신탈놀이는 신앙공동체를 중심으로 전승되었고, 불법을 확산하기 위한 민중교화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불교가 민속신앙을 수용하는 과정을 탈놀이를 통해 외연화하고,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신도의 경우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화엄경의 신앙체계를 체득하게 된다. 땅설법 중 하나인 신중신탈놀이는 대중교화나 포교뿐만 아니라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또한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Sinjungsin Mask Play, one of Ttangseolbeop, is related to Seongjusin's life story. Sinjungsin Mask Play is a reconstruction of the story of the folk gods Seongjusin met while returning home. Seongjusin's life story proceeds in the form of Mask Play, and the monk who leads the sermon plays narration and main roles. Many believers play various roles and musicians. Sinjungsin Mask Play introduces many folk beliefs, sounds for intrigue, and talks. Sinjungsin Mask Play uses the same method of enumeration and repetition as the existing Mask Play. The repetition of a sentence or phrase plays a role in foreseeing the meaning of the context or foretelling the development of the plot to the audience. This repetition is intended to emphasize the situation of the scene and to create rhythm. Since Mask Play was exclusively for the common people, Mask Play actors use the repeating method commonly used in folk songs to form lines. This gives the audience a familiarity, effectively communicating the lines and responding to their tastes. Sinjungsin Mask Play borrowed people's way of playing for the public's mission. It inherits the dramatic forms of traditional traditional plays such as repetition of words or sentences or phrases, codif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borrowing of existing songs, and formal expression units. In addition, through repeated performances, believers can easily and easily learn and understand. This is the dramatic form and characteristics of Sinjungsin Mask Play. Sinjungsin Mask Play was handed down from Faith Communities and was used as a means of folk cultivation to spread illegality. Buddhism externalizes the process of accepting folk beliefs through Mask Play, and in the case of Shinto who participated directly or indirectly, they naturally acquire the belief system of Hwaeom Kyung through play. Sinjungsin Mask Play, one of Ttangseolbeop, can be said to have great value as an ICH, as well as popularization and mission.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B8057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