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Rural House

농촌지역 노후주택의 실내공기환경 실태분석 연구

  • 박로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조숙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20.04.10
  • Accepted : 2020.05.15
  • Published : 2020.05.25

Abstract

The ratio of the deterioration housing in rural area was 29.6%, but it was 18.3% in urban area based on a 2018 survey.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rural house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indoor air environment. It was investigated 15housings of Hongseong-gun, Chungchengnam-do.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indoor air quality and housing type, both the field survey of housing type and precision diagnosis of concentr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HCHO, TVOC, Fine dust(PM-10, PM-2.5), CO2, Rad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each element of rural old housing, the construction year was distributed in 1939~2004, and 12households(80%) living in houses older than 30years have passed for about 46years. As for the housing area, more than 12houses(80%) of 60㎡ or more and 3 houses (20%) of less than 60㎡ were often living in relatively small-scale housing.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indoor air pollutants in rural houses, substances exceeding the standard values were found in HCHO, TVOC, CO2. Third, in the case of Fine dust and Radon, none of such factors were exceeded the standard.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oor air quality depending on housing type in rural houses.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ural policies.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조 제3호, 2016.
  2. 국토연구원, 농촌지역 주거품격 향상을 위한 농촌 주택정책 방안 연구, 2012.
  3. 김도연, 농촌 노후 주거를 위한 주거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요양보험에 의한 주거이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 남기철, 이영한, 기존 주택의 하절기 실내 공기중 HCHO, TVOC, CO 농도 실태 조사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6(6), 2016.
  5. 남기철, 이영한, 최봉석, 주택 실내공기중 오염물질 농도의 동절기와 하절기 비교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7(3), 2017.
  6. 대전세종연구원, 대전시민의 주택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연구, 2018.
  7. 박미정 외 7인, 농촌 노후주택 정비를 위한 건물에너지 분석,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3(74), 2019.
  8. 박진철, 주거건축물의 실내공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6), 2003.
  9. 심상효, 김윤신,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특성 및 평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 중심으로,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4), 2006.
  10. 안태경, 건강주택을 위한 실내공기환경 수준 설정,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0(1), 2003.
  11. 유우석 외 4인, 농촌주택 실내라돈 오염도 조사,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보, 25, 2015.
  12. 이병희, 김선동, 전주영, 공동주택 실내공기 오염물질 유형 및 평가방안, 건축환경설비, 13(2), 2019.
  13. 이수형, 9.26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발표 후 보건 분야의 연구 및 적응 대책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6, 2018.
  14. 이윤규,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과 적정 환기기준, 건축환경설비, 7(3), 2013.
  15. 이윤규, 한길원, 공동주택의 포름알데히드 농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9(10), 2003.
  16. 이현수 외 4인, 산업단지와 농촌지역의 주택실내.외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 농도 평가, 한국실내환경학회지, 7(4), 2010.
  17. 임선, 울산의 농촌과 도시 지역에서 집먼지 성분 특성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8. 장성기 외 6인, 신축 공동주택에서 실내공기오염물질(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카보닐화합물) 농도분포 특성, 분석과학, 20(1), 2007.
  19. 전주영,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동향, 건축환경설비, 7(3), 2013.
  20. 최석환, 노후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을 통한 도시재생방안 연구 최종 보고서, 수원시정연구원, 2014.
  21. 최윤정, 김윤희, 김란희, 농촌지역 독거노인주택의 겨울철 실내환경 실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3), 2010.
  22. 통계청, 2018 인구주택 총조사, 보도자료, 2019.
  2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형 주거기준 제정 및 주거실태조사 추진방안, 2018.
  24.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 2012.
  25. 환경부, 2016 환경백서, 2016.
  26. 환경부, 생활 속 자연 방사성 물질, 라돈의 이해,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