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Proces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PADAF -

융·복합 공연예술 창작과정의 특징 연구 - 파다프(PADAF)를 중심으로

  • Jo, Jeong-Min (Department of Theatre, Sejong University Center for Future Education)
  • 조정민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 연극학전공)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proces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Therefore, the PADAF-Play and Dance Art Festival, a representative convergence performing arts festival in Korea that has been held steadily every year since the first event in 2011,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rough PADAF, a representative convergence performing arts festival in Korea, qualitative cas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process-oriented discove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proces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which is a key feature of performing arts in the 21st century. For realistic and empirical research, the 8th and 9th PADAF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initial stage of preparation to the closing ceremony and conducted several in-depth interviews with PADAF officials and participating artist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performance art creation process through PADAF, creators overcame difficulties that they had not thought of in different ways in the process of meeting different heterogeneous genres, but through understanding other genres, experiential values through convergence, sharing as collaborators, and various ways of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performing arts creation process, which is focused on PADAF, are "Rhizom thinking" by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1925-1995), "Collective intelligence," and "Experimental Value for Experimental Creation" by creators. Through this derivation, we will help the changing performing arts scene based on the basic human desire to understand convergence performance art a little more and communicate through the extended expression of convergence.

본 연구는 융·복합 공연예술의 창작과정의 특징이 무엇인지 도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연구대상으로는 2011년 제1회를 시작으로 2020년 현재까지 매년 꾸준히 개최되고 있는 국내 대표적 융·복합 공연예술축제인 파다프(PADAF-Play And Dance Art Festiva)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대표적 융·복합 공연예술축제인 파다프를 통해 21세기 공연예술의 핵심적 특징인 융·복합 공연예술의 창작과정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하여 과정 중심의 발견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또한 사실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위하여 제8회와 제9회 파다프의 초기 준비 단계부터 폐막식까지 전 과정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서 파다프 관계자 및 참여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파다프를 통한 융·복합 공연예술 창작과정의 특징을 살펴봤을 때 창작자들은 서로 다른 이질적인 장르가 만나 변증법적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작업에 대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생각지도 못한 난관에 부딪혔지만 타 장르에 대한 이해, 융·복합을 통한 경험적 가치, 공동작업자로서의 공유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통해 난관들을 극복했다. 파다프를 중심으로 살펴본 융·복합 공연예술 창작과정의 특징은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1925-1995)의 '리좀(Rhizom)적 사고'와 '집단지성의 원칙'그리고 창작자들의 '실험적 창조를 위한 융·복합의 경험적 가치'이다. 도출된 창작과정의 특징은 융·복합 공연예술을 조금 더 이해하고 융·복합이라는 확장된 표현을 통해 소통하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 욕구와 예술적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변화되고 있는 공연예술과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미학적 방향성과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식, 신철호(2018). 마술과 영상을 활용한 융복합 공연연구- 실험극 <걱정마, 행복아>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2(1): 81-92.
  2. 송은아, 임준묵(2017).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공연예술의 관객선호도.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지, 2017.11: 77-85
  3. Filice, M.; Young. S.(2012), From Mainstage to Movies to Media: Sustaining the Live and Performing Arts Through Artistic Convergence and the Balaban and Katz Philosophy of Continuous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14(2): 48-56.
  4. 자크 데리다(1996). 해체. 김보현 역, 서울: 문예출판사.
  5. 자크 라캉(1994). 욕망 이론. 권택영 역, 서울: 문예출판사.
  6. 공동 조직위원장 연극 연출가 송현옥 인터뷰, 2019.07.05
  7. 조용환(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문예출판사.
  8. 공동 조직위원장 무용 안무가 안병순 인터뷰, 2019.07.20
  9. 파다프 운영위원회, 제1회 파다프 보도자료, 2011.07.01.
  10. 파다프 운영위원회, 제1회 파다프 보도자료, 2011.07.01.
  11. 파다프 운영위원회, 제1회 파다프 보도자료, 2011.07.01.
  12.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2001). 천 개의고원. 서울: 새물결.
  13.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2001). 천 개의고원. 서울: 새물결.
  14. 신동희(2014). 창조경제와 융합.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15. 찰스 리드비터(2009).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이순희 역, 서울: 21세기 북스.
  16. 찰스 리드비터(2009).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이순희 역, 서울: 21세기 북스.
  17. 찰스 리드비터(2009).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이순희 역, 서울: 21세기 북스.
  18. 신동희(2014). 창조경제와 융합.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19. 조정민(2020). 융.복합공연예술의 국내 연구 현황. 한국연기예술학회논문지, 19(3): 37-50.
  20. 허난영(2016). 공연예술 콘텐츠의 가치와 융합적 구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241-25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