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Theme Song of Musical Film "Aladdin" Focusing on the Theme Song 'Speechless'

뮤지컬 영화 "알리딘"의 테마곡 분석 - 테마곡 'Speechless'를 중심으로

  • Si, On-Sung (Department of Performing Visual Media Soon Chun Hyang University) ;
  • Min, Kyung-Won (Department of Film and Theater Soon Chun Hyang University)
  • 시온성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미디어학과) ;
  • 민경원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학과)
  • Received : 2020.09.22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In 2019, Disney's musical film "Aladdin" was newly introduced with Princess Jasmine's theme song "Speechless," which was not featured in the animation "Aladdin" in 1992. Written as a theme song, "Speechless" expresses Princess Jasmine as a self-reliant, enterprising and dignified woman. The song made the change in Princess Jasmine's character very articulate. She has developed herself as an active and enthusiastic character from a rather passive and reserved figure. The musical film "Aladdin" has drawn much attention and love from many audiences with its own narrative and original songs, but the addition of a new theme song "Speechless", which was not in the animation in 1992, made the musical film "Aladdin" even more powerful and meaningful. The study examine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features and narratives of the newly included theme song 'Speechless' in the musical film Aladdi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x scenes that include the musical features of the theme song "Speechless," the study looked at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narratives had an influence on cinematic expression.

2019년 디즈니의 뮤지컬 영화 <알라딘>은 1992년 애니메이션 <알라딘>에는 없었던 쟈스민 공주의 테마곡 'Speechless'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테마곡으로 쓰인 'Speechless'는 쟈스민 공주를 주체적이고 진취적인 인물로 묘사했다. 이 곡으로 인해 쟈스민 공주 캐릭터의 변화는 명확해졌다.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모습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캐릭터로 거듭난 것이다. 뮤지컬 영화 <알라딘>이 많은 관객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것은 영화 자체의 내러티브와 오리지널 곡들의 영향도 있지만, 1992년 애니메이션에 없었던 새로운 테마곡 'Speechless'를 추가함으로 인해서 뮤지컬 영화 <알라딘>의 내러티브를 더욱 더 강력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뮤지컬 영화 <알라딘>에서 새롭게 추가된 테마곡 'Speechless'의 음악적 특징과 내러티브의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테마곡 'Speechless'의 음악적 특징이 나타난 6개의 장면분석을 통해 음악과 내러티브의 관계가 영화적 표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순천향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영화진흥위원회 KOBIS 공식통계: 2020년 9월 18일 기준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mast/mvie/searchMovieList.do).
  2. 손지영, 공용택(2014).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 왕국과 가디언즈의 흥행 비교 연구. 문화산업연구, 14(4): 91-101.
  3. 엔콘텐츠 12호 VOL.12(2019). 한국콘텐츠진흥원 36-39.
  4. 장소은,루오량,김재호(2016). 알라딘 애니메이션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과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융합 분석.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4: 375-388.
  5. 유한나(2020). 뮤지컬<알라딘(Aladdin)>에 나타난 작곡가 앨런 멘켄(Alan Menken)의 음악적 특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미루(2018). 애니메이션<알라딘>과 <포카혼타스>에 나타난 라이트 모티브와 장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미루, 이승연(2017). 애니메이션<알라딘>에서 주인공의 주제선율연구. 한국콘텐츠학회, 5: 55-56.
  8. 김하나(2013). 애니메이션을 리메이크한 영화의 장면 연출과 캐릭터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영상학회, 11(2): 45-58.
  9. 이윤희(2015). 영화화된 <신데델라> 캐릭터들의 통시적 비교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9: 315-336.
  10. James Buhler, David Numeyer(2010). Hearing The Movies,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1. 조현일(2011). 내러티브를 위한 Leitmotif의 사용과 변용. 한국영상학회, 9: 65.
  12. Gorbman, Claudia(1987). Unheard Melodies : Narrative Film Music, Indiana University Press.
  13. SY. Lee, A Consideration on the Meaning by the Role of Music in the Musical Film - Focusing on the Feature Film "Once",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2, No. 3, 2018.
  14. Q. Yu, SY. LE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Music and the Story in the Animated Short "MORE"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hythm and Emotional Chang of Music,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2, No. 4, 2018.
  15. 삼호뮤직 편집부(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16. 백병동(1998). 백병동 화성학, 수문당.
  17. 알라딘 DVD(2019). 월트디즈니 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