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개 신문사 기사에 나타난 장애관 연구 : 장애인복지법상 장애 종류를 중심으로

Three Newspaper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 Focusing on The Types of Disabilities on The Disabled Person Welfare Law

  • 임옥희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조원일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Lim, Ok-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yonggi University) ;
  • Cho, Won-I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yonggi University)
  • 투고 : 2020.09.16
  • 심사 : 2020.10.27
  • 발행 : 2020.10.31

초록

본 연구는 3개 신문사에 나타난 「장애인복지법」상장애에 대한 기사를 분석했다. 3개 신문사는 <동아일보>, <한국일보>, <한겨레신문>의 신문사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장애관련 기사는 총 7,684건이다. 네트워크 텍스트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하여 다중장애모델의 '장애관'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별모델 및 사회모델을 비교로 개별모델 64.31%, 사회모델 35.69%로 개별모델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3개 신문사에 나타난 장애관은 전통적 개별모델의 장애로 개인이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환경적 및 제도적 문제는 낮게 나타나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배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는 장애를 바라보는 시대 변화에도 신문은 전통적 패러다임에 머물고 있었다. 장애를 장애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요구되며, 개별적 욕구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성숙한 의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문기사에 나타난 장애관을 양적·질적 데이터의 양방향 시도를 고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articles about the disability under the 「The Disabled Person Welfare Law」 in a major daily newspaper. A total of 7,684 articles on disability were collected from homepages of the three newspapers , , and .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 considered about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based on "Multiple Disability Model".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hen comparing individual models versus social models, individual models have a higher rate 64.31% than social models 35.69%. According to the newspapers, the major perception of Disability is a traditional individual model, which means disability must be solved by individuals. In addition, due to low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the public's attention and consideration required for the disabled, socially weak people. This research implied that despite the changing times of looking at disability, three newspapers are still staying in the traditional paradigm.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viewing a dis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n disabled people, and a mature awareness that recognizes the diversity of individual nee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no attempt has been made to treat the disability perspectivec in newspaper articles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Priestley, M.(1998). Constructions and Creations: idealism, materialism, and disability theory. Disability & Society. 13(1): 75-94. https://doi.org/10.1080/09687599826920
  2. 송상민.조인희.조재립(2010). 엔터테인먼트 향상을 위한 연구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0.(5): 83-89
  3. 성정은(2012). 신문사설의 장애인 관련 내용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조원일(2009). 한국과 일본의 주요 인터넷 일간지에 보이는 장애인관 비교분석: '오마이뉴스'에 나타난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 관점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2(4): 1-19.
  5. 임옥희(2019). 네트워크 텍스트분석 및 내용분석을 통한 주요 일간지 기사에 나타난 장애관 연구-장애인복지법상 장애 종류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Wood, T.(2000). Dynamic Academic Field is a Gateway to Possibilities. Quest, 6: 49-51.
  7. 조한진(2011). 장애학에 대한 재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전, 12(4): 1-25.
  8. 이동석(2004).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과 한국장애인복지의 성격-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6(3): 227-251.
  9. 조원일(2006). 일본의 사회복지에있어 장애인 자립 패러다임의 변천. 일본연구논총, 26: 426-456.
  10. 권선진(2008). 「장애인복지론」, 서울: 청목출판사.
  11. 石川准.長瀨修(1999). 障害学への招待, 장애학의 초대, 조원일 역(2009). 서울: 청목출판사.
  12. 조원일(2012). 장애학적 관점에서의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정책의 방향 재고: 능력주의에 의한 인간 서열화에의 위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5 (4): 125-140.
  13. 정무성.정진모(2001). 사회복지프로그램개발과 평가, 파주: 양서원.
  14. Oliver, M.(1996). Understanding Disability: from theory to practice. NY: St. Martin's press.
  15. 임옥희(2018). 유튜브의 발달장애 관련 영상에 나타난 장애관-Priestley 다중장애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학회. 12(3): 87-107.
  16. 이동석(2003). Priestly의 장애 이론 유형에 따른 한국 장애인 제도 및 운동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정우.박경수(2005). 공동모금 재정지원을 통해 본 장애인복지 분야의 서비스 패러다임 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7(1): 147-167.
  18. 김경미.김미옥(2006).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3): 269-294.
  19. 양서현(2010). TV드라마 '안녕하세요 하느님'에 나타난 장애관-Priestley의 다중 장애개념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조원일(2015). 일본과 한국의 원작 및 리메이크 드라마에 나타난 장애관의 장애학적 고찰-장애와 만성질환의 개념 차이를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 장애연구. 58(1): 57-78.
  21. 조원일(2013). 일본 드라마 "君の手がささやいてる"에 나타난 농문화적 관점의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1-25. https://doi.org/10.21075/KACSN.2012.14.1.1
  22. 조원일(2013). 일본드라마 "ビコ-ティフル.ラィフ" 속 지체장애인을 통해 본 장애정체성. 일본학보, 97: 347-361.
  23. 조원일(2014). 한국 및 일본 드라마의 분석에 기반한 장애 개별모델의 위계화. 한국사회연구. 17(1): 5-35.
  24. 김태욱(2016). 영화 <완득이>에 나타난 저신장장애에 대한 장애관의 고찰: Priestley의 다중 장애모델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안은자(2020).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의 장애 관에 나타난 발달장애인과 신체장애인의 공생상-M. Prestley의 다중 장애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발달장애연구. 24(2):45-70.
  26. 김철환(2014). 장애모델의 다중패러다임에 의거한 "수화언어법안"의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안은자(2017). 장애인학대사건을 통해 본 법원 및 검찰의 장애관-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의 개입사례를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9(3): 433-453.
  28. 김홍주(2003). 한국영화에 나타난 장애인 이미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서지형(1994). 주요일간신문의 장애인 관련기사 분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승환(2018). 지역신문의 장애인에 대한 보도 경향 내용 분석: 대전.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윤복(2003). 한국 신문의 장애인 관련보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32. 정화원(2005). 언론에 나타난 장애인인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재백(2017). 패럴림픽의 시대별 기사보도 동향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안혜련(2010). 일반신문과 장애인신문의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인식 비교 분석-주요 장애인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허지영(2008). 언론을 통해서 본 장애인복지패러 다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최성애(2009). 일간신문에 나타난 장애인 보도 경향 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김소연(2017). 종이신문의 사용자 경험을 반영하는 모바일신문 디자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강윤진(2007). 신문에 나타난 장애인 보도경향의 분석.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김학실(2012). 종이신문의 사용자 경험을 반영하는 모바일신문 디자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0. 김원경(2014).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보건사회연구 344(2): 219-246.
  41. 김준현(2015).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결과 해석에 관한 소고-행정학 분야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사화과연구, 한국행정학회. 46(2): 247-280.
  42. Berelson, B.(1971).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Hafne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43.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cdce. go.kr/
  44. 법무부. www.moleg.go.kr/
  45. 정희경(역)(2010). 스기노 아키히로(저). 장애학 이론의 형성과 사정. 서울: 한국장애인단체 총 연합회.
  46. 한국장애인고용공단. www.kead.or.kr
  47. 법제처. www.moleg.go.kr
  48. 전지혜(2010). 장애 이미지를 새롭게~! 장애 자부심(Disability Pride)에 대하여, 서울복지재단 블로그. http://blog.daum.net/seoulwelfare1/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