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3개 신문사에 나타난 「장애인복지법」상장애에 대한 기사를 분석했다. 3개 신문사는 <동아일보>, <한국일보>, <한겨레신문>의 신문사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장애관련 기사는 총 7,684건이다. 네트워크 텍스트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하여 다중장애모델의 '장애관'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별모델 및 사회모델을 비교로 개별모델 64.31%, 사회모델 35.69%로 개별모델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3개 신문사에 나타난 장애관은 전통적 개별모델의 장애로 개인이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환경적 및 제도적 문제는 낮게 나타나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배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는 장애를 바라보는 시대 변화에도 신문은 전통적 패러다임에 머물고 있었다. 장애를 장애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요구되며, 개별적 욕구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성숙한 의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문기사에 나타난 장애관을 양적·질적 데이터의 양방향 시도를 고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articles about the disability under the 「The Disabled Person Welfare Law」 in a major daily newspaper. A total of 7,684 articles on disability were collected from homepages of the three newspapers , , and .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 considered about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based on "Multiple Disability Model".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hen comparing individual models versus social models, individual models have a higher rate 64.31% than social models 35.69%. According to the newspapers, the major perception of Disability is a traditional individual model, which means disability must be solved by individuals. In addition, due to low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the public's attention and consideration required for the disabled, socially weak people. This research implied that despite the changing times of looking at disability, three newspapers are still staying in the traditional paradigm.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viewing a dis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n disabled people, and a mature awareness that recognizes the diversity of individual nee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no attempt has been made to treat the disability perspectivec in newspaper articles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