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뮤지컬 양식사 전개에 나타난 특성과 전략 - 통합과 해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Shown in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Musical Styles -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

  • 투고 : 2020.09.22
  • 심사 : 2020.10.27
  • 발행 : 2020.10.31

초록

본 연구는 현대 뮤지컬사에서 대두되는 뮤지컬 양식을 통합과 해체란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양식에 내포된 특성과 전략을 학술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뮤지컬의 양식은 시대에 따라 이합·통합 ·해체·융합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뮤지컬 양식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으로 양식의 발현시기와 의미를 고찰할 수 있다. 모더니즘은 '통합'과 '집중'의 에너지가 주조를 이루며, 전기 포스트 모더니즘은 '해체'와 '분산'의 동력이, 후기 포스트모더니즘은 양 사조의 변증법적 결과물로서 '융합'과 '조화'의 철학이 주조를 이루며 작동하고 있다. 뮤지컬의 창작 원리인 통합과 해체 원리는 뮤지컬 태동기의 불안정한 이합의 양식의 발전기를 지나 발현하였다. 이후 로저스와 해머스타인 2세의 등장으로 인해 드라마의 선형성이 강조되는 북 뮤지컬의 통합 원리를 구축하였고, 새로운 내용을 담기위해 콘셉트 뮤지컬의 해체 원리가 탄생하였다. 이후 뮤지컬 작품들에서 발견되는 '융합성'은 이합에서 통합으로, 해체에서 다시 통합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좀 더 발전적인 의미에서 통합이 해체를 다시 포용하고 있다. 이렇듯 끊임없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하는 융합적 절충은 뮤지컬 양식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al styles emerging in modern musical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and to academicall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each style. The style of musicals can be divided into periods of non-integrity, integration, deconstruction, and convergence. The rise of musical styles and the associated meanings can b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modernism, the energies of 'integration' and 'concentration' form the major trend while in early postmodernism, the powers of 'deconstruction' and 'dispersion' play the main role. Late postmodernism is a dialectic result of both trends in which the philosophy of 'convergence' and 'harmony' operates as the main theme.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which forms the base of musical creation, emerge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unstable style of non-integrity in the early days of musical. Later, with the advent of Rogers and Hammerstein II,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was established for book musicals, emphasizing the linearity of drama, and the principle of deconstruction was born for concept musicals to contain new contents. The 'convergence' found in later musical works turn the theme from non-integrity to integration, and from deconstruction to integration again, which indicates that integration is embracing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again in a more advanced sense. Such convergent compromise that constantly influences each other and develops in a better direction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al styles.

키워드

참고문헌

  1. Flinn, D.(2008). The Great American Book Musical: a manifesto, a monograph, a manual, Limelight Editions.
  2. Taylor, M.(2003). Collaboration or conflict, Studies in Theatre and Performance, 23(2): 117-124. https://doi.org/10.1386/stap.23.2.117/0
  3. Hanson, L.(2001). Elements of modernism in the musicals of Stephen Sondheim, Ph.D.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4. 이숙영(2011). 뮤지컬 영화를 통해 본 장르 분석 연구, 롭 마샬 감독의 영화<시카고>를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15): 127-147.
  5. 박선혜(2015). 뮤지컬 <컴퍼니>의 음악 및 대본 분석을 통한 컨셉 뮤지컬의 특성 연구, 경희대학교 연극영화과 석사학위 논문.
  6. 박병성(2018). 뮤지컬의 메카, 브로드웨이의 역사와 환경. 한국예술연구, (19): 315-326.
  7. 한재은(2011). 콘셉트 뮤지컬의 분리구조 연구:스티븐 손드하임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8. Bertens, H. 장성희, 조현순 옮김(2000). 포스트모던 사상사, 현대미학사.
  9. Bertens, H. 장성희, 조현순 옮김(2000). 포스트모던 사상사, 현대미학사.
  10. 김경화(2012). 모더니즘의 역사 속에서 쇤베르크 다시 읽기, 음악논단, 28: 97-122.
  11. 이은혜(2018). 손드하임 뮤지컬의 통합과 해체 원리 연구, <스위니 토드>에 나타난 극과 음악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형식주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5371&cid=42642&categoryId=42642
  13. Bertens, H. 장성희, 조현순 옮김(2000). 포스트모던 사상사, 현대미학사.
  14. Derrida, J. 김보현 편역(1996), 해체, 문예출판사.
  15. Silverman, H.(1994). Textualities: Between Hemeneutics and Deconstruction. Routledge.
  16. 김보현(2011). 데리다 입문, 문예출판사.
  17. 젠크스 http://www.aladin.co.kr/author/wauthor_overview.aspx?AuthorSearch=@54226
  18. Linda, H. 장성희 옮김(1998),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과 전략, 현대미학사.
  19. Bertens, H. 장성희, 조현순 옮김(2000). 포스트모던 사상사, 현대미학사.
  20. 김상환(1996). 해체론 시대의 예술. 문학과사회, 9(4): 1794-1832.
  21. Flinn, D.(1997). Musical! A Grand Tour, Schirmer.
  22. Knapp, R.(2009). The American Musical: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Knapp, R.(2009). The American Musical: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이명섭(1985). 세계문학비평용어사전, 을유문화사.
  25. 이명섭(1985). 세계문학비평용어사전, 을유문화사.
  26. Knapp, M.(2011). The Oxford Handbook of The American Musical, Oxford University Press.
  27. McMillin, S.(2006). The Musical As Drama: A study of the Principles and Conventions Behind Musical Shows from Kern to Sondhei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Citron, S.(1991). Musical from the inside out, Hodder and Stoughton.
  29. Shepherd, J.; Horn, D.(2012).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Volume 8: Genres: North America. A&C Black.
  30. 김학민(2006). 뮤지컬 양식론, 경희대학교 출판국.
  31. Bordman, G.(2001). American Musical Theatre : A Choronicle, Oxford University Press.
  32. Jones, J.(2003). Our Musicals, ourselves: a social history of the American musical theatre, MA, Brandis University Press, Hanover, Londo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33. Christine, Y.(2008), Attention Must be Paid,Cried the Balladeer: The Adeer: The Concept Musical Defined, University of Kentucky Master's Theses.
  34. 한재은(2011). 콘셉트 뮤지컬의 분리구조 연구: 스티븐 손드하임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35. Citron, S.(2001), Sondheim & Lloyd-Webber, Applause Theatre & Cinema Books.
  36. Bertens, H. 장성희, 조현순 옮김(2000). 포스트모던 사상사, 현대미학사.
  37. Swayne, S.(2005). How Sondheim Found His Soun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8. 김학민, 이은혜(2017). 뮤지컬 엘리자벳의 통합과 해체 원리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6): 65-75.
  39. 성찬경(2020). 토니상 오케스트레이션상 수상작으로 살펴보는 편곡의 중요성: <스위니 토드>, <스프링 어웨이크닝>, <인더하이츠>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12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