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Mediated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 Belief and Child's Playfulness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유아 놀이성 관계에서 아버지의 놀이 참여도의 매개효과 분석

  • Choi, Tae-Sun (Division of Liberal Arts College, Seowon University)
  • Received : 2020.06.22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Children grow and develop through play. Play is being used as a friend and a learning material and tool in everyday life of children. It is a research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father's play belief and play participation on child's playfulness. A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selected 284 children aged 5 years and older attending kindergarten located in D-gu, Seou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by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as below. First, it showed that father's play belief and play particip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s playfulness of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a sense of humor. Second, fa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as a partial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 belief and child's playfulness. Thus, it was drawn the conclusion that father's play belief and play particip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predict child's playfulnes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children's playfulness development by continuously provid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creating an atmosphere of various interaction at home through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child and a desirable role of father in the play activities with child at the level of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성장 및 발달을 한다. 놀이는 유아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친구, 학습 매체 및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도가 유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D구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28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놀이 참여도는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의 유아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놀이 신념과 유아 놀이성 관계에서 아버지의 놀이 참여도는 부분매개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버지의 놀이 신념과 놀이 참여도는 유아의 놀이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인 변인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아버지와 유아 관계에서 놀이를 통한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가정 내 분위기 형성과 유아와 놀이 활동에서 아버지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유아교육기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유아들의 놀이성 발달을 촉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보건복지부(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 김종석(2011). 아버지의 놀이성과 부모 효능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4. Barnett, L.A.(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319-336.
  5. Bundy, A.C., Nelson, L., Metzger, M., & Bingaman, K.(200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test of playfulness. Th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21(4): 276-293. https://doi.org/10.1177/153944920102100405
  6. 심미영(2018).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역할수행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한별(2008).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정주, 박형신(2017).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3): 29-48.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3.29
  9.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10. 강인숙, 문혁준(2012).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놀이신념과 유아리더십이 유아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5): 233-252.
  11. 남윤희, 김금주(2013).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61-80.
  12. 유미, 유미숙(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놀이치료연구), 11(4): 53-63.
  13. 박신영, 이진희(2013). 어린이집-가정 연계를 통한 아버지 놀이참여 활동이 놀이신념 및 영아-아버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8(1): 29-55.
  14. 이현지, 정혜욱(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 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4): 77-95.
  15. Fogle, L.(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Doctor's thesi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hapel HIl.
  16. 정경자(2018). 부모의 놀이신념, 사교육의 실시 현황 및 유아의 불만족도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Stevenson, M.B., Thompson, R.H., & Roach, M.A.(1988). A social relations model analysis of parent and child play. Development Psychology, 24: 101-108. https://doi.org/10.1037/0012-1649.24.1.101
  18. 이영석, 성영화(2006).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37-159.
  19.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Baron, R.M., Kenny, D.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1. Sobel, M.E.(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Ed.),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Jossey-Bass.
  22. 김진영, 최미숙(2012).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및 리더십의 차이, 아동교육, 21(4): 189-206.
  23. 권인옥, 안효진(2015). 영아를 둔 아버지들의 부모 효능감, 놀이 신념, 그리고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7(4): 165-183.
  24. 김유나, 이경옥(2017). 만 5세 유아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76-177.
  25. 김명순, 최지예, 김지연(2018). 실외 놀이터 질적 수준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8(3): 327-348.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3.014
  26. 이배, 김경숙(2013).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아동교육, 22(3): 191-206.
  27. 문성영, 심성경(2020).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2(1): 163-190.
  28. Benson, T. R.(1994). Needed: Play leaders-The adult's role in children's pla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ice No. ED 37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