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Type of Narrative Structure of the '10 Million Films'

'천만 영화'의 서사구조 유형 분석

  • Tae, Ji-Ho (Department of Histo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DaeKeun (Department of Media & Mass Communication, Shinhan University)
  • 태지호 (안동대학교 사학과) ;
  • 김대근 (신한대학교 미디어언론학과)
  • Received : 2020.09.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ypes of films that has attracted more than 10 million viewers ('10 million films') among films released in Korea, and deal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Korean film industry.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s and their narrative as a product of the film industry. To approach this, We dealt with the features of structuralist analysis and archetype or mythological narrative analysis. For a detailed analysis, a total of 27 films of "10 million films" were categorized using Northrop Frye's original nar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13 comedy structures, 7 romance structures, 4 tragic structures, and 3 irony and satire struct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edy" and "romance" structures had a high percentage of all 10 million films, and occupied the top ranks in the box office rank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narrative rules and customs of films hitting Korean box offices,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amine a rough topography of the film consumption of the public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can be said to provide a clue as to how the narrative of the film should be constructed when producing a film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개봉한 영화 중, 관객 동원 1000만 명을 넘은 영화('천만영화')의 서사 구조와 그 유형을 분석함으로서 이것이 현재 한국 영화 산업계에서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다루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화 산업의 상품으로서 영화와 그 서사의 관계를 파악함과 동시에, 영화의 흥행과 서사 구조의 보편성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이에 대한 접근으로서 구조주의적 분석과 원형 혹은 신화 서사적 분석의 특징에 대해 다루었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노드럽 프라이의 원형 서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총 27편의 '천만영화'의 영화를 유형화 하였다. 연구결과 '희극구조가 13편, '로맨스' 구조가 7편, '비극' 구조가 4편, '아리러니 및 풍자' 구조가 3편으로 나타났다. '희극'과 '로맨스' 구조는 전체 천만영화에서 높을 비율을 나타냄과 동시에 흥행 순위에 있어서도 상위권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에서 흥행한 영화들에 대한 서사적인 규칙과 관습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 영화 산업에서 대중들의 영화 소비에 대한 대략적인 지형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산업적 관점에서 영화를 제작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영화의 서사를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Litman, B. R. & Kohl, L. S.(1989).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 '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2(2): 35-50. https://doi.org/10.1080/08997768909358184
  2. Sochay, S.(1994).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Journal of Media Economics. 7(4):1-20. https://doi.org/10.1207/s15327736me0704_1
  3. Zufryden, F. S.(1996). Linking Advertising to Box Office Performance of New Film Releases: A Marketing Planning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4): 29-41.
  4. Mahajan, V., Muller, E. Kerin, R. A.(1984). Introduction Strategy for New products with Positive and Negative Word-of-mouth. Management Science, 30(12): 1389-1404. https://doi.org/10.1287/mnsc.30.12.1389
  5. Elberse, A. &. Eliashberg, J.(2003). Demand and Supply Dynamics for Sequentially Released Products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Case of Motion Pictures. Marketing Science, 22(3): 329-354. https://doi.org/10.1287/mksc.22.3.329.17740
  6. 이지훈, 김윤정(2013). 관객중심 특성 중 영화 흥행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1): 1-9.
  7. 이푸름, 박승현(2019). 언론에 보도된 전문가 리뷰에 관한 연구: 영화 리뷰의 품질과 흥행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7): 1-13.
  8. 송기석, 김동욱(2017). 영화 배급 및 마케팅이 영화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함수관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 11(8): 131-141.
  9. 김혜원(2010). 영화흥행과 온라인 구전 특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4(2): 1-14.
  10. Hall, S.(1993). "Encording, Decording". in The Cultural Studies Reader. edited by Simon During. New York and London : Routledge. 90~103.
  11. 길종철(2017). 천만영화 스토리 디자인 연구, 영상기술연구. 26: 145-166.
  12. 신광철(2013). 킬러콘텐츠 분석도구를 통해 본 1,000만 영화의 구조. 「인문콘텐츠」 29. 29-47.
  13. Terence, H.(1988). Structuralism and semiotics. 오원교 역. 「구조주의와 기호학」. 신아사. 19.
  14. Propp, V. Y.(1928). Morphology of the Folktale. 유영대 역 (1987). 「민담형태론」. 새문사.
  15. Turner, G.(1993). Film as social practice. 임재철 외 역(1994). 「대중 영화의 이해」. 한나래. 110.
  16. Stam, R.(1992). New Vocabularies in Film Semiotics: Structuralism, Post-Structuralism and Beyond. 이수길 외 역 (2003). 「어휘로 풀어 읽는 영상기호학」. 시각과 언어. 136-145.
  17. 조성해(2010). 신화학적 분석과 신화비평. 「유럽사회문화」. Vol. 4, 113.
  18. 송태현(2005). 카를 구스타프 융의 원형 개념. 「인문콘텐츠」 6. 33.
  19. Eagleton, T.(1983).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김명환 외 역(1986). 「문학이론입문」. 서울: 창작과비평사. 118-120
  20. 임정숙(1982). Northrop Frye의 신화비평체계 : 신화비평체계의 보편성을 위한 서설. 「美學」. Vol. 8, No. 1, 51-52.
  21. Frye, N.(1957). Anatomy of Criticism. 임철규 역(2000). 「비평의 해부」. 한길사. 261-460.
  22. Smith, P.(2001). Cultural Theory: An Introduction. 한국문화사회학회 역(2011).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312.
  23. Smith, P.(2001). Cultural Theory: An Introduction. 한국문화사회학회 역(2011).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314.
  24. Smith, p.(1994). The Semiotic Foundations Of Media Narratives, Journal of Narrative and Life History, 4. 89-118. https://doi.org/10.1075/jnlh.4.1-2.06the
  25. Jacobs, R.(1996). Civil Society and Crisi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1(5). 1238-1272. https://doi.org/10.1086/230822
  26. 정병기(2010). 「천만 관객의 영화 천만 표의 정치」. 갈무리. 17.
  27. Williams, R.(1977). Marxism and Literature. 박만준 역 (2013). 「마르크스주의와 문학」. 268-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