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병원유형별 의료기관인증이 병원운영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증 전과 후 비교 -

Analysis of the Impact of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by Hospital Type on Hospital Operation Effect to Increase Wellness -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ertification -

  • 이혜승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 김환희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Lee, Hye-Seu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stration, Gwangju University) ;
  • Kim, Hwan-Hui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stration, Gwangju University)
  • 투고 : 2020.11.17
  • 심사 : 2020.12.29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 제도를 받은 요양병원 내부 구성원과 양방병원의 내부구성원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6.0을 이용하여 인증을 받은 전과 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구성원 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의료서비스향상이 병원운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요양병원의 병원운영효과는 구성원 만족도와 의료 서비스향상이 높을수록, 병원운영효과는 높아짐을 볼 수 있으며, 양방병원의 경우, 구성원 만족도와 의료 서비스 향상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을수록 병원운영효과는 높아짐을 볼 수 있다. 의료기관인증제도의 기본가치 체계가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인 만큼 요양병원은 의무적 인증으로 인증제의 효과가 양방병원보다 높게 나타났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certification for internal members of nursing hospitals and Western hospitals that received the certification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297 members of nursing hospitals and Western hospitals, SPSS 26.0 was used,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membe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medical service on the hospital operation effect. As for the hospital operation effect of a nursing hospital, it wa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members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service, the higher the effect of the hospital operation. In the case of Western hospital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members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service,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more the hospital operation effect can be seen to increase. As the basic value system of the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is the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it is believed that the effect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as higher than that of Western hospitals due to mandatory certification in nursing hospitals.

키워드

과제정보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the Gwangju University of Korea in 2020

참고문헌

  1. 강두식(2009). 의료기관의 서비스지향성이 고객지향성, 직무만족, 서비스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56: 247-269.
  2. 김영주(2009). 병원종사자의 자가 평가에 근거한 국내 의료기관들의 국제병원인증기준 충족도, 인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수경(1995). 환자진료와 성과측정 중심의 의료기관 평가제도: 미국, 캐나다 의료기관 신임제도의 최근 동향. 한국의료QA학회지, 2(1): 136-143.
  4. Sack, C.(2010). Challenging the holy grail of hospital accreditation: A cross sectional study of inpatient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cardiolog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0(1): 120. https://doi.org/10.1186/1472-6963-10-120
  5. 서미란(2015). 의료기관인증병원의 서비스 질이 고객만족도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차재희(2014). 의료기관 인증제도 인식이 병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역량의 매개 효과.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한국보건의료인증원 https://www.koiha.or.kr/ 2020.11.05.
  8. 국가통계포털 https://www.kosis.kr/ 2020.11.05.
  9. Telem, D. A., Talamini, M., Altieri, M., Yang, J., Zhang, Q., & Pryor, A. D.(2015). The effect of national hospital accreditation in bariatric surgery on perioperative outcomes and long-term mortality. Surgery for Obesity and Related Diseases, 11(4): 749-757. https://doi.org/10.1016/j.soard.2014.05.012
  10. Leblebicioglu, H., Erben, N., Rosenthal, V. D., Sener, A., Uzun, C., Senol, G., Ersoz, G., Demirdal, T., Duygu, F., & Willke, A.(2015). Surgical site infection rates in 16 cities in Turkey: findings of the Inter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Consortium (INICC).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3(1): 48-52. https://doi.org/10.1016/j.ajic.2014.09.017
  11. Pomey, M. P., Contandriopoulos, A. P., Francois, P., & Bertrand, D.(2004). Accreditation: a tool for organizational change in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17(3): 113-124. https://doi.org/10.1108/09526860410532757
  12. 황복주, 김재열(2015). 의료기관인증제도와 병원 조직 성과와의 관계. 회계연구, 20(1): 209-232.
  13. 이영환, 임정도(2015). 의료기관 인증 후 환자 안전 및 질 관리 변화와 경영활동 변화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 286-299.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286
  14. 신문주(2014).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요양병원의 조직문화, 직무만족, 경영성과 및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2(10): 455-466. https://doi.org/10.14400/JDC.2014.12.10.455
  15. 백현희, 이혜승(2016). 인증여부에 따른 병원 직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의료서비스 효과 비교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4): 259-272.
  16. 이희태(2013). 의료기관인증제도가 병원의 서비스 질 관리체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29(3): 307-328.
  17. 최영로(2009). 국제물류기업의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복합운송주선업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25(4): 45-62.
  18. Jabes, J. & Zussman, D.(1989). Organizational culture in public bureaucracy.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 55(1): 95-116. https://doi.org/10.1177/002085238905500108
  19. 이윤현(2007). 병원직원의 직무만족요인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0: 127-156.
  20. Sathe, V.(1983). Implication of corporate culture: A manage's guide to action, Organizational Dynamics Autumn:12.
  21. 우정식, 김영훈, 윤병준, 이해종, 김한성, 최영진, 한휘종, 윤서중(2013). 병원인증제도가 리더십, 조직문화, 병원경영 활동 및 성과에 미친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지, 18(2): 33-56.
  22. 한우석(2008). 의료기관 평가가 병원의 운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김희래(2012). 의료기관인증제가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 조직문화 및 병원경영 활동에 미친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희태(2014). 의료기관인증제도가 의료기관에 서비스지향성, 구성원의 고객지향성,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0(4): 317-341.
  25. 이명선, 오지현, 황혜민, 권은진, 이정희, 박은영(2011). 의료기관 평가에 관한 병원종사자들의 경험: 포커스 그룹연구. 대한간호학회지, 41(4): 568-579. https://doi.org/10.4040/jkan.2011.41.4.568
  26. 김문옥, 김계하(2014).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의무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의무인증 시행 후 업무수행. 노인간호학회지, 16(1): 68-76.
  27. 최연순(2011). 간호사의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지도가 간호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조홍주(2012).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의료기관 근무자들의 인식 및 태도. 부산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윤희(2013). 임상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지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유정, 이혜승(2018).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삭감율과 이의신청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327-339.
  31. Fairbrother, G., Gleeson, M.(2000). EQuIP Accreditation: Feedback from A Sydney Teaching Hospital. Australian Health Review, 23(1): 153-62. https://doi.org/10.1071/AH000153
  32. Peterson, C.A.(2003). Management, Faculty, and Accreditation Outcomes: A Survey of Physical Therapy Faculty and Program Director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Education, 17(2): 22-31. https://doi.org/10.1097/00001416-200307000-00004
  33. 최희경(2008). 노인 돌봄 종사자의 소진 결정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8(1): 157-176.
  34. Scotti, D. J., Harmon, J., & Behson, S. J.(2007). Links among high-performance work environment,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n extension to the healthcare sector.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52(2): 109-124. https://doi.org/10.1097/00115514-200703000-00008
  35. 김정선, 김진경, 한우석, 심문숙(2012). 요양병원평가가 요양병원 종사자의 근무환경,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 26(1): 137-146. https://doi.org/10.5932/JKPHN.2012.26.1.137
  36. 이혜승, 박현린(2020). 의료기관 인증 후 환자의 질향상과 병원운영효과 인식도 조사연구 -요양병원과 양방병원 대상.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559-570.
  37. 강상구, 이상일, 윤상목(2014). 노인요양병원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6(1): 131-147.
  38. 정연자, 최성우, 박종, 한미아(2019). 의료기관 인증 후 요양병원 종사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안전과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3(3): 39-51. https://doi.org/10.12811/kshsm.2019.13.3.039
  39. 김경태(2013). 요양병원의 직원교육을 통한 조직성과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Amin, M. & Nasharuddin, S. Z.(2013). Hospital service quality and its effects on patient satisfaction and behavioural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overnance, 18(3): 2059-4631.
  4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10000/ 202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