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 통계청(2020). 2020 고령자 통계.
- OECD(2019). OECD Health Statistics 2019.
- 양승훈(2018).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적인 스쿼트 자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161-168.
- 이혜승, 김환희(2020).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201-208.
- 엄동춘, 남은숙, 이호연, 이은봉, 윤영임, 채공주(201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통증, 질병활성도,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 및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간호학회지, 42(3): 434-442. https://doi.org/10.4040/jkan.2012.42.3.434
- 이미경, 이인희, 주정혜, 홍문숙, 서재곤, 성영희(2005).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조기퇴원 후 가정간호 운동프로그램이 슬관절 기능 상태와 삶에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근관절건강학회지, 41(12): 143-154.
- 심수진(2018).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기초연구. 통계청 2018년 상반기 연구보고서 제II권, 60-113.
- OECD, Labor Force Statistics by Sex and Age indicators. (https://stats.oecd.org)
- OECD(2019). OECD Society at a Glance 2019.
- OECD(2019). OECD Pensions at a Glance 2019.
- 장명숙, 박경순(201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형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원, 32(2): 132-266.
- 최현석, 하정철(2012).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3): 559-568.
- 조동훈(2015).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패널분석. 응용경제, 17(1): 5-26.
- 우태균, 반정호(2012). 중고령자 삶의 질 변화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연구, 28(2): 349-372.
- 이민아, 김지범, 강정한(2011). 동거형태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 만족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갖는 매개효과. 보건과 사회과학, 29: 41-67.
- 이금자, 이현지(2008). 노인 코호트에 따른 삶의 질 결정 요인. 노인복지연구, 41: 159-182.
- 진기남, 이규식(2000). 노인의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삶의 질. 보건과 사회과학, 67: 24-53.
- 배나래, 박충선(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 정명숙(2007).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복지연구, 37: 249-274.
- 이현지, 조계화(2006).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26(4): 717-731.
- 최외선(2007).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 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7(4): 755-773.
- 최송식, 박현숙(2009).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29(4): 1277-1293.
- 윤현숙, 원성원(2009).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30(4): 1077-1093.
- 홍경숙(2010). 생태체계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석(2003). 노후생활에서의 설별 차이. 한국인구학회지, 26(1): 59-77.
- 안계춘(1995). 한국 인구의 노령화와 특성. 한국사회학, 29: 717-732.
- 질병관리본부(2020). 지역사회건강조사 2019년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 김성아, 정해식(2019).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 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보건복지부포럼, 95-104.
- 홍주연, 김환희(2020). 노인의 성별에 따른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4): 244-253. https://doi.org/10.5392/JKCA.2020.20.04.244
- 김경숙(2017).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행복감 형향요인: 2015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 활용. 동서간호학회지, 23(2): 97-106.
- 김철수, 유성호(2009).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4): 51-73.
- 전명진, 문성원(2016).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 노인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8(2): 153-171.
- 최경희, 조덕호(2009). 도.농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지역별 노인복지정책 수선순위 결정. 도시행정학보, 26(3): 49-70.
- 임선아(2016).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패널 학술대회, 892-903.
- 조성희, 이화영(2015).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8957-8965.
- 박재홍, 정지홍(2010). 독거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음주의 매개 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47(1): 309-330.
- Liu, L.J., Guo, Q. (2008). Depressive Life satisfaction in a sample of empty-nest elderly: a survey in the rural area of a mountainous county in China. Quality of Life Research, 17(6): 823-830. https://doi.org/10.1007/s11136-008-9370-1
- 이윤정(2015). 노인 건강수준의 지역 간 격차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347-358.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