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heratainment Low Extremity Complex Exercise using Unstable Surface on Knee and Plantar Pressure in Patient with Genu Varum

불안정 지지면을 적용한 테라테이먼트 하지복합운동이 안굽이 무릎 하지 변형자의 무릎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 Kim, Gi-D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 Heo, M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gju University)
  • 김기도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허명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atainment low extremity complex exercise using unstable surface on knee and static plantar pressure in patient with genu varum. 25 adult subjects were recruited and randomized into stable surface exercise group(SEG) and unstable surface exercise group(UEG). Subjects carried out complex exercise(elastic band exercise & squat exercise) for 40 minutes, 4 times per week for 5 weeks. The knee joint distance and Q-angle of all subjects measured, the foot pressure measured distribution on the front and rear of both foots during pre and post. The most outcome at post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pre outcome in the both group(p<.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ow extremity complex exercise using unstable surface may be appropriate for improving structure of knee joint and static plantar pressure in patient with genu varum. This will enable the application of low extremity complex exercise using unstable surface in rehabilitation therapy of genu varum and it will help guide the selection of the therapist as one therapeutic basis.

본 연구는 불안정 지지면을 적용한 테라테이먼트 하지복합운동이 안굽이 무릎 하지 변형자의 무릎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굽이 무릎 2등급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안정 지지면 운동 그룹(SEG)과 불안정 지지면 운동그룹(UEG)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복합운동 프로그램은 탄력밴드를 이용한 하지운동과 스쿼트 운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5주간, 주 4회 40분 실시하였다. 무릎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무릎사이 간격과 Q-각을 측정하였으며, 정적 족저압을 평가하였다. 무릎사이 간격과 Q-각 측정 결과 각 집단에서 모두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무릎 사이 간격은 감소하고 Q-각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실험 후 집단 간 비교 검사 결과, 무릎사이 간격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정적 족저압 평가 결과 각 집단에서 모두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양쪽 발의 앞쪽 비율(FFR)은 감소하고, 뒤쪽 비율(RFR)은 증가하였다. 안정 지지면 운동그룹의 왼쪽 발 앞쪽 비율(FFR)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하지복합운동이 안굽이 무릎 하지 변형자의 무릎 구조 교정 및 정적 족저압 개선에 효과적이며, 불안정 지지면은 하지복합운동의 효과를 증가 시킬 수 있는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김보미(1998). 특수고 및 일반고 학생들의 척추이상 및 하지변형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이주립(1996). 스포츠 의학: 여대생들의 척추 이상에 관한 분석연구. 한국체육학회논문지, 35(4): 311-317.
  3. Novak, C.B., & Mackinnon, S.E.(1997). Repetitive use and static postures: a source of nerve compression and pain. J Hand Ther, 10(2): 151-159. https://doi.org/10.1016/S0894-1130(97)80069-5
  4. 정지만, 임비오(2016). 내반슬 여성과 일반인 여성의 스쿼트 동작 시 하지 근육의 활성도 차이. 한국여성체육학회논문지, 30(4): 387-397.
  5. Mansfield, P.J., & Neumann, D.A.(2009).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2nd ed, Mosby.
  6. Greenberg, L.A., & Swartz, A.A.(1971). Genu varum and genu valgum. Another look. Am J Dis Child, 121(3): 219-221. https://doi.org/10.1001/archpedi.1971.02100140085006
  7. Miller, E.J., Riemer, R.F. Haut Donahue, T.L., & Kaufman, K.R.(2009). Experimental validation of a tibiofemoral model for analyzing joint force distribution. J Biomech, 42(9): 1355-1359. https://doi.org/10.1016/j.jbiomech.2009.03.019
  8. Issa, S.N., Dunlop, D., Chang, A., Song, J., Prasad, P.V., Guermazi, A., Peterfy, C., Cahue, S., Marshall, M., Kapoor, D., Hayes, K., & Sharma, L.(2007). Full-limb and knee radiography assessments of varus-valgus alignment and their relationship to osteoarthritis disease features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rthritis Rheum, 57 (3): 398-406. https://doi.org/10.1002/art.22618
  9. Shtarker, H., Volpin, G., Stolero, J., Kaushansky, A., & Samchukov, M.(2002). Correction of combined angular and rotational deformities by the Ilizarov method. Clin Orthop Relat Res, 402: 184-195. https://doi.org/10.1097/00003086-200209000-00017
  10. Fisher, D.S., Dyrby, C.O., Mundermann, A., Morag, E., & Andriacchi, T.P.(2007). In healthy subjects without knee osteoarthritis, the peak knee adduction moment influences the acute effect of shoe interventions designed to reduce medial compartment knee load. J Orthop Res, 25 (4): 540-546. https://doi.org/10.1002/jor.20157
  11. 유병규, 김은예(2015). 탄성밴드운동과 스트레칭을 이용한 교정운동프로그램이 내반슬 대학생들의 무릎간 간격, Q-각 및 족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2064-2072. https://doi.org/10.5762/KAIS.2015.16.3.2064
  12. Hayes, K.W., & Falconer, J.(1992). Differential muscle strength decline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developing hypothesis. Arthritis Care Res, 5(1): 24-28. https://doi.org/10.1002/art.1790050107
  13. Ribeiro, C.H., Severino, N.R., Cury, Rde.P., de Oliveira, V.M., Avakian, R., Ayhara, T., & de Camargo, O.P.(2009). A new fixation material for open-wedge tibial osteotomy for genu varum. Knee, 16(5): 366-370. https://doi.org/10.1016/j.knee.2009.01.007
  14. Lo, W.N., Cheung, K.W., Yung, S.H., & Chiu, K.H.(2009). Arthroscopy-assisted computer navigation in high tibial osteotomy for varus knee deformity. J Orthop Surg, 17(1): 51-55. https://doi.org/10.1177/230949900901700112
  15. Haslam, P., Armstrong, M., Geutjens, G., & Wilton, T.J.(2007). Total knee arthroplasty after failed high tibial ostotomy long-term follow-up of matched groups. J Arthroplasty, 22(2): 245-250. https://doi.org/10.1016/j.arth.2006.01.031
  16. 권소영, 정주하, 양점홍(2013). 지지면에 따른 8주간 탄성밴드운동이 내반슬 성인여성의 슬관절 간격.족저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논문지, 22(3): 1109-1119.
  17. 송희복, 이한준, 정광환(2018). 내반슬 환자의 재생마사지(Renewal Massage)와 수정 스쿼트 운동이 인체정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논문지, 57(2): 495-508.
  18. 정세나(2007). 탄성밴드를 이용한 하지 근력 강화운동이 낙상경험 노인이 균형능력과 보행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안익근, 전재국, 김동야(2015). 단시간의 스쿼트 운동으로 피로 유발된 대퇴사두근에 대한 키네시오 테이핑의 즉각적 효과.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논문지. 21(1): 21-28.
  20. Palmitier, R.A., An, K.N. Scott, S.G., & Chao, E.Y.(1991). Kinetic chain exercise in knee rehabilitation. Sports Med, 11(6): 402-413. https://doi.org/10.2165/00007256-199111060-00005
  21. Verhagen, E., van der Beek, A., Twisk, J., Bouter, L., Bahr. R., & van Mechelen, W.(2004). The effect of a proprioceptive balance board train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nkle sprains: a prospective controoled trial. Am J Sports Med, 32(6): 1385-1393. https://doi.org/10.1177/0363546503262177
  22. Silsupadol, P., Shumway-Cook, A., Lugade, V., van Donkelaar, P., Chou, L.S., Mayr, U., & Woollacott, M.H.(2009). Effects of single-task versus dual-task training on balanc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0(3): 381-387. https://doi.org/10.1016/j.apmr.2008.09.559
  23. 한상민(2009). 교정운동이 내반슬 하지 변형자의 무릎 사이 간격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Huberti, H.H., & Hayes, W.C.(1984). Patellofemoral contact pressure. The influence of q-angle and tendofemoral contact. J Bone Joint Surg Am, 66(5): 715-724. https://doi.org/10.2106/00004623-198466050-00010
  25. 문성기(2000). 내반슬, 외반슬의 부정정렬이 하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논문지, 6(2): 31-38.
  26. 백창민(2012). 편평족 성인 남성의 열린사슬 저항운동과 닫힌사슬저항운동에 따른 족부 압박면과 발목 등속성 근력 비교.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