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y to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Management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Writ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tudent Surveys in J University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인식 분석을 통한 교과 운영 개선 방안 : J대학의 학생 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 Cho, Bo-Ram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Cheongju University) ;
  • Bak, Jong-Ho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Joongbu University)
  • 조보람 (청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 박종호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writing learning, self-evaluation of writing ability, recognition of writing ability, and recognition of writing education direction to J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writ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ways to improve writing education. Through this, the improvement plan of writing education was discussed. As a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college students perceived writing ability as important, and they wanted practical writing classes that received feedback and wrote actual writing rather than theoretical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construct and develop the contents of the article. In order to make writing education a practical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theoretical lectures are important, but it is necessary to give enough time and opportunity to write in practice, and to develop customized practical writing.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writing clas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o make writing ability lead to practical competence even after graduation through the method of university graduati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ek the direc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writing.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찾고자 J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학습 내용, 글쓰기 자기 능력 평가, 글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 글쓰기 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글쓰기 교육의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론 수업보다는 실제 글을 써보고 피드백을 받는 실제적인 글쓰기 수업을 원하였다. 또한 글의 내용을 구성하고 전개해가는 부분에 대한 능력을 키우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교육이 대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역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론 강의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글을 써볼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부여해야 하며, 전공 맞춤형 실무글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수업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글쓰기 수업이 되도록 해야하며, 대학 졸업 인증 요건 등의 방법을 통해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해서도 글쓰기 능력이 실무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는 글쓰기와 관련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상훈, 윤유진(2012). 대학생의 글쓰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글쓰기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 7(3): 1-19.
  2. 이재영, 김지영(2020). 대학핵심역량에 기반한 글쓰기역량측정도구 개발 방향 설계. 인문사회21, 11(5): 1703-1718.
  3. 정희모(2005).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작문연구, 0(1): 111-136.
  4. 박솔잎(2009).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글쓰기 센터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재성(2011). '강의-실습-과제' 연계 대학 글쓰기 교육 모델 연구. 인문논총, 23: 45-69.
  6. 오선영(2012).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함의. 리터러시연구, 4: 151-171.
  7. 박상신, 김영철, 송현주, 김위경, 윤민주, 지현배(2012). 글쓰기 교육과정 구축 및 운영 사례. 리터러시연구, 5: 107-131.
  8. 차봉준(2015). 대학 교양 글쓰기 연구. 리터러시연구, 13: 193-225.
  9. 김현정(2018).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 리터러시연구, 9(1): 9-40.
  10. 윤재연(2020). 협업역량 강화를 위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H대학의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중심으로. 국제어문, 85(0): 175-20.
  11. 김지혜(2014). 대학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이화어문논집, 32: 151-170.
  12. 김현정(2015). 융복합 시대의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리터러시연구, 14: 131-161.
  13. 최윤희(2017). 이공계열 학생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1(1): 581-608.
  14. 박상민(2013). 교수.학습 과정에서 글쓰기 피드백 활동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 사고와 표현, 6(1): 143-174.
  15. 한래희(2019). 자기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법 연구. 사고와 표현, 12(2): 147-182.
  16. 류수영, 이혜지(2018). 외국인용 글쓰기 교재에 대한 고찰: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2(5): 157-169.
  17. 임지원(2020). 문화융합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를 위한 국어교재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7): 389-395.
  18. 서수현, 정혜승(2015).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 글쓰기의 어려움에 대한 분석. 작문연구, 26: 1-32.
  19. 김혜연(2015).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 전력 유형과 인식 조사. 국어교육연구, 35: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