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Labor Unions on Job Training Programs

노동조합이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

  • 이희선 (한양대학교 응용경제학과) ;
  • 권다영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
  • 최충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20.10.13
  • Accepted : 2020.12.24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f labor unions on job training programs using two different longitudinal data, Workplace Panel Survey (WPS) and Korean Labor and Inocme Panel Study (KLIPS). By applying the Correlated Random Effect (CRE) model to both individual-level and establishment-level data, we observe that labor unions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establishments provide employees with job training programs and workers participate in the trainings. Our results shed light on the role of labor unions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job training programs for workers.

본 연구는 사업체패널조사와 노동패널조사를 사용하여 노동조합이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상관임의효과(Correlated Random Effect: CRE) 모형을 적용한 사업체 및 개인 단위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두 결과 모두에서 노동조합은 교육훈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의 존재는 사업체의 교육훈련 실시를 약 4.7%p, 개별 근로자들의 교육훈련 참여를 약 1.7%p 높이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상의 분석 결과는 근로자를 위한 교육훈련을 늘리기 위한 노동조합의 역할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배.고석남. 「재직자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추정」. 「사회과학연구」 33집 1호 (2017. 2): 149-175.
  2. 김안국.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결정요인」. 「노동경제논집」 31권 1호 (2008. 4): 105-133.
  3. 김안국.안정화, 「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노동조합의 역할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4)
  4. 김주섭. 「직업훈련 참가결정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2권 3호 (2002. 10): 81-100.
  5. 노용진. 「노사관계의 성격과 기업의 교육훈련투자」. 「인사관리연구」 31권 1호 (2007. 3): 1-26.
  6. 노우진.최충. 「사업체의 임금피크제 도입 결정요인」. 「응용경제」 21권 2호 (2019. 6): 93-122.
  7. 문영만. 「재직자의 교육훈련이 임금, 직무만족도, 이직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19권 2호 (2019. 6): 103-133. https://doi.org/10.22914/JLP.2019.19.2.004
  8. 신우리.송헌재. 「우리나라 노동조합이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39권 3호 (2016. 9): 99-124.
  9. 이영면.나인강. 「노동조합이 기업의 교육훈련투자 및 구성원의 숙련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 관계연구」 22권 2호 (2012. 6): 31-58.
  10. 정승국. 「교육훈련과 노동조합 효과 분석」. 「산업노동연구」 12권 2호 (2006): 235-264.
  11. 조동훈.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동조합의 임금효과 분석」. 「노동경제논집」 32권 2호 (2008. 8): 103-128.
  12. 조성은.이영민. 「Longitudinal Research on Education and Training Investment of Korean Corporations」.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2권 1호 (2020. 3): 101-123.
  13. 한치록. 「계량경제학강의」 (제2판). 박영사. 2017.
  14. 한치록. 「패널데이터강의」 (제2판). 박영사. 2019.
  15. Becker, H. Human Capital.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16. Boheim, R., A. Booth. "Trade Union Presence and Employer-provided Training in Great Britain." Industrial Relations 43 (3) (July 2004): 520-545. https://doi.org/10.1111/j.0019-8676.2004.00348.x
  17. Chamberlain, G. Panel Data Handbook of Econometrics. 2d ed., 1984.
  18. Duncan, Stafford. "Do Union Members Receive Compensating Wage Differential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0 (3) (June 1980): 355-371.
  19. Dustmann , U Schonberg. "Training and Union Wag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1 (2) (May 2009): 363-376. https://doi.org/10.1162/rest.91.2.363
  20. Frazis, H., Gittleman, M. and Joyce, M. "Correlates of Training: An Analysis Using Both Employer and Employee Characteristic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53 (3) (April 2000): 433-462.
  21. Freeman, R.B. and J.L. Medoff. What Do Unions Do? New York: Bacis Books, 1984.
  22. Hashimoto. "Firm-Specific Human Capital as a Shared Invest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1 (3) (June 1981): 475-482.
  23. Hussain, RM. "An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to Transfer and Transfer of Training." Far East Journal of Psychology and Business 5 (1) (October 2011): 47-56.
  24. Metcalf, D. "Unions and Productivity, Financial Performance and Investment: International Evidence." International Handbook of Trade Unions (2003): 118-171.
  25. Mundlak. "On the Pooling of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 Data."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46 (1) (January 1978): 69-85. https://doi.org/10.2307/1913646
  26. Ryan, P. 「영국.프랑스.독일의 코포라티즘과 인력개발」. 송종래 편. 「한국과 EU국가들의 노사관계」. 법문사, 1996.
  27. Wooldridge, M.J. "Correlated random effects models with unbalanced panels." Michigan State University (July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