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a Reading 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Enhanc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03.14
  • Accepted : 2020.04.28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picture-book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elf-estee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first-year students at a middle school.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20 students each. A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al study.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study found that the picture-book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the activity. Individual participants seemed to have equal catharsis and insights into their emotional response to the characters' actions and sit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의 B중학교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독서 활동 과정에서 일어난 참여자들 간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과, 참여자 개인이 등장 인물의 행동 및 상황에 정서적으로 반응하여 동일시와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통찰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심리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현숙(2005).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2. 김인례(2005). 기독교인의 우울증 치료 방안으로서의 독서치료 연구. 석사학위논문, 나사렛대학교.
  3. 김태련, 조혜자, 이선자, 방희정, 조숙자, 조성원 외(2004).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김현진(2009). 그림책의 독서치료적 조망: 자아존중감 향상 제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5. 김현희, 김재숙, 강은주, 나해숙, 양유성, 이영식, 이지영, 정선혜(2010). 상호작용을 위한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
  6. 김희숙(2008). 자아 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7. 김희화(199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 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8. 나미현(2015). 과정중심 독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9. 마쓰이 다다시(2012). 어린이와 그림책. 서울: 샘터사.
  10. 배정미(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1. 서주형(2017).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도예 프로그램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2. 손정표(2010). 신독서지도방법론. 대구: 태일사.
  13. 신명호(2009). 그림책의 세계. 파주: 주니어김영사.
  14. 신민섭, 박선영(2007). 서울대 신민섭 교수의 여덟 살 심리학. 서울: 원앤원북스.
  15. 안민희(2003). 독서요법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내적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6. 유민이(2017).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고등학생의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집단상담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7. 이숙란(2002).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사회 교육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8. 이지혜(2002).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9. 이현림, 이혜경, 배강대(2005). 독서 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인간 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6(4), 1246.
  20. 임연수(2018).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선택적 읽기 활용 독서 집단 상담 프로그램.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1. 조원성(1996).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이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2. 천혜민(2008).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정서 지능이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23. 최미정(2010). 그림책 활용 독서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감능력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24. 최보가, 전귀연(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41-54.
  25.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독서치료연구회(편)(2001).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
  26. 현은자, 김세희(2008). 그림책의 이해1. 파주: 사계절.
  27.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28. Doll, B., & Doll, C. A. (1997). Biblio therapy with young people librarian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together. Englewood, Colo.: Libraries Unlimited.
  29.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19th ed.) (1941). Philadelphia: Saunders. In M. T. Moody & H. K. Limper (1971). Bibliotherapy. Methods and material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0. Hynes, A. M., & Hynes-berry, M. (1994). Biblio/poetry therapy-the interactive process: A handbook. St. Cloud, MN: North Star Press of St. Cloud.
  3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 on University Press.
  32.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33.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1961). In M. T. Mooty & H. K. Limper (1971). Bibliotherapy: Methods and material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4. 이영식(2001). 독서치료과정 4단계(Hynes& Hynes-Berry). http://bibliotherapy.pe.kr/jboard/?p=detail&code=lecture1&id=19&page=10&mode=srch&what=subject&request=독서치료에서 검색
  35. 이영식(2007).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http://bibliotherapy.pe.kr/jboard/?p=detail&code=lecture1&id=461&page=1&mode=srch&what=subject&request=그림책에서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