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선원 임금채권의 보장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Guarantee of Fisher Wage Claims

  • 임종선 (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
  • Yim, Jong-Sun (Fisheries Economic Institute,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 투고 : 2020.09.03
  • 심사 : 2020.09.30
  • 발행 : 2020.09.30

초록

A fisher means any person employed to provide his/her labor in a fishing vessel in exchange for a wage. There is no concept of a fisher in Seafarers Act. This act shall not apply to seafarers who are in service on board a fishing vessel the gross tonnage of which is less than 20 tons. However, of the total 63,112 fishing vessels, only 2,829 fishing vessels have a total tonnage of more than 20 tons. Fishermen engaged in fishing vessels with a gross tonnage of which is less than 20 tons are not guaranteed to be paid arrears through the Wage Claim Guarantee Fund for Seafarer (Article 56). In addition, fishermen working on a fishing vessel are excluded from the Wage claim Guarantee Act. The Labor Standards Act shall apply to fishermen engaged in fishing vessels with a gross tonnage of which is less than 20 tons. Fishermen and seafarers are at a higher risk of living security than regular workers. Guaranteeing the payment of wages is essential for fishermen to improve the life and employment stability. In order to guarantee fisher wage claims, the concept of a fisher in the Seafarers Act must be realized by sources such as the Wage Claim Guarantee Fund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tep by step expansion of members in the wage claim guarantee fund for seafarers and interest for delayed payment of wages, etc.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창영 (2016), 선원법 해설 제2판, 법문사, 479-537.
  2. 구창희 (2011), "선원법상 선원근로자 보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노동연구, 23, 200-201.
  3. 김근주.김명수.오승규.황수옥 (2016), 체불임금 해결시스템의 국제비교 연구 - 임금채권보장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연구원, p. 8.
  4. 김동인 (2007), 선원법 제2판, 법률문화원, 431-454.
  5. 김세종.이동주.권혁찬.김민수 (2006), 산업재해 관련 규제 개선을 위한 연구, 28-29.
  6. 김명중 (2015), "일본에서 사업주의사회보험료 부담과 비정규직 근로자 증가의 관계", 국제노동브리프, p. 67.
  7. 김인현 (2014), "선박압류/가압류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해양법학회지, 36 (2), p. 83.
  8. 김형배 (2011), 노동법 제20판, 박영사, p. 88.
  9. 김준호 (2013), 민법강의 제19판, 법문사, 426-428.
  10. 류동근.전영우.김영운.김상열.박호.남형식.류기진 (2016), 외국인선원 고용제도 개선 연구용역, 해양수산부, p. 26.
  11. 박명준 (2013), "독일 자영업적 자율직업인의 사회보험", 국제노동브리프, p. 27.
  12. 박민규.소기동.이경숙.차민경 (2009), 선원법상 임금채권보장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연구, 한국원양산업협회, 35-107.
  13. 박민규 (2010), "선박소유자 파산에 따른 선원 임금채권 보호에 관한 연구", 해사법연구, 22 (3), 26-27.
  14. 박용섭 (1996), "주요 해운국의 선원 사회보장제도 - 일본과 영국의 선원보험법을 중심으로 -", 해법.통상법, 8 (1), 17-18.
  15. 서철원 (2014), 어선원 복지제도 발전방향 연구, 해양수산부, 3-49.
  16. 손점열 (2017), "선박우선특권에 의한 선박채권자의 보호 -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 45.
  17. 송재우 (2015), "선원임금채권의 보호에 관한 소고 - 선박우선특권 및 임금우선변제권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56 (3), 16-17.
  18. 신영태.황기형.마창모.정혜란 (2008), 어선원 고용실태와 제도개선방안, 농림수산식품부, p. 40.
  19. 신진희 (2011), "임금채권 우선변제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노동법포럼, 7, 256-258.
  20. 양석완 (2016), "선박우선특권상 피담보채무를 지는 자의 범위에 관한 고찰", 경영법률, 26 (3), p. 348.
  21. 엄주천 (2013), "임금채권보장법상 체당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4 (2), p. 60.
  22. 윤대성 (2008), "기업도산과 임금채권의 보호", 성균관법학, 20 (3), p. 273.
  23. 이균성 (2010), 신 해양법 대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 178.
  24. 이상윤 (2011), 노동법 제6판, 법문사, p. 35.
  25. 이승길 (2008), "일본에서 임금채권보장법의 동향", 성균관법학, 20 (3), p. 304.
  26. 임종률 (2011), 노동법 제9판, 박영사, 376-527.
  27. 임종선 (2019), "선원임금채권보장기금 운영 효율화 방안", 수시연구, 5, 23-28.
  28. 임현 (2010), "현행 부담금 제도의 법적성질 및 분담금 차등화에 관한 검토", 토지공법연구, 48, p. 405.
  29. 장화익.최영렬.오호영.손경호.하갑례.류지영 (2007), 임금채권보장제도 10년사 정리, 노동부, 92-149.
  30. 전현철 (2017), "도산절차의 유형 및 운영체계에 관한 고찰", 법학논총, 41 (1), 232-233.
  31. 조귀연 (1990), "선원법과 근로기준법과의 관계", 해양한국, 206, 77-78.
  32. 조일권.김인재 (2014), "임금우선특권의 법적 성질과 효력", 법학연구, 17 (1), p. 225.
  33. 채호일.방강수.김진이.최철호.박형준, 체불행정혁신제도 시행효과 평가와 발전방안, 노동부, 13-14.
  34. 최용철 (2014), "선박우선특권 및 저당권제도에 관한 연구", 일감법학, 28, p. 391.
  35. 최종현 (2014), 해상법상론, 박영사, p. 201.
  36. 한국해양수산개발원.한국법제연구원 (2018), "선원분야 법률 체계 개편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p. 166.
  37. 황수옥 (2017), "독일의 임금채권보장제도 : 파산기금", 국제노동브리프, p. 24.
  38. 황수옥 (2017), "독일의 임금채권보장제도가 한국 사회에 주는 함의", 이슈페이퍼, p. 15.
  39. 현창종 (2012), 근로기준법실무 개정증보 6판, (주)중앙경제, 724-727.
  40. 해양수산부 (2019), 해양수산통계연보, 276-277.
  41. 해양수산부 (1991), 선원행정사례집, 노정 33750-5643, p. 65.
  42. BSG SozR 3-4100 $\S$168, Nr. 5 und Nr. 18.
  43. David, R. et al. (2001), Admiralty and Maritime Law in the United States, Caroline Academic Press, 469.
  44. Kuhl, SGB III $\S$165, Rn. 14 f.
  45. ILO (2011), Work in Fishing Convention and Recommendation, 2007; Action Plan 2011-2016, January 1.
  46. Schon, LPK-SGB III $\S$165, Rn. 3.
  47. vgl zu dieser Problematik unter der Geltung des AFG Peters-Lange in: Gagel, AFG, $\S$141, a Rn. 2.
  48. 中村眞澄 箱井崇史 (2013), 海商法, 成文堂, p. 396.
  49. 吉田 清弘/ 野村 剛司 (2012), "未払賃金立替払制度 実務ハンドブック", 金融財政事情 1949号, p. 101.
  50. 戶田修三 (1987), 海商法, 文眞堂, p.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