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Pozzolanic Admixtures Using FOFA

야자수 폐기물(FOFA)을 활용한 포졸란계 혼화재의 대체재료 개발

  • 장종민 (건설구조물 내구성혁신 연구센터) ;
  • 장현오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산업융합센터)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RAJKUMAR. R, AKKINENI SURYA TEJA, PANDIA RAJAN R,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RJET),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Mechanical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Metakaolin and Copper slag.' -pp.678-685, 2015년
  2. 최희용, 김무한, 김문한, 황혜주, 최성우,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3권, 2호, '혼화재 종류 및 활성황토 대체율별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pp.123-129, 2001년
  3. Weerachart Tangchirapat, Tirasit Saeting, Chai Jaturapitakkul, Kraiwood Kiattikomol, Anek Siripanichgon, Waste Management, volume 27, issue 1, 'Use of waste ash from palm oil industry in concrete' -pp.81-88, 2007년 https://doi.org/10.1016/j.wasman.2005.12.014
  4. 오병환, 고재군, 콘크리트학회지, volume 3, no.2,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강도 및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p.87-95, 1991년
  5. Vanchai Sata, Chai Jaturapitakkul, Kraiwood kiattikomol,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ume 16, issue 6, 'Utilization of Palm Oil Fuel Ash in High-Strength Concrete' -pp.623-628, 2014년 https://doi.org/10.1061/(ASCE)0899-1561(2004)16:6(623)
  6. 한국콘크리트학회, 개정증보판 1쇄, '최신 콘크리트공학', 2011년 10월
  7. 이승헌, 시멘트, No158, '포졸란 반응(Pozzolanic Reaction)에 대하여' pp.40-44, 2003년
  8. 황광률, 콘크리트학회지, 14권, 5호, '플라이 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술 현황' pp.96-103, 2002년 9월
  9. Weerachart Tangchirapat, Chai Jaturapitakkul, Cement Concrete Composites, 32, 'Strength, drying shrinkage, and water permeability of concrete incorporating ground palm oil fuel ash' pp.767-774, 2010년 https://doi.org/10.1016/j.cemconcomp.2010.08.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