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계열 직업계고에서의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nd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 투고 : 2020.01.11
  • 심사 : 2020.02.17
  • 발행 : 2020.02.28

초록

본 연구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인식을 기반으로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과정평가형 자격의 도입 가능성과 기대 효과에 대한 동의 정도, 그리고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 수준이나, 도입 취지와 목적, 그리고 필요 정도에 대한 동의 정도는 낮았다. 둘째, 과정평가형 자격을 취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로는 교육을 받는 동시에 자격 취득, 구체적이고 유의미한 수행의 관점에서 학습목표 제시, NCS 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 경력 개발 및 형성 가능, 산업 현장 중심의 지식과 기술 습득 가능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업계열 직업계고에 과정평가형 자격을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별 우선 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값보다 모두 높은 요구 영역으로는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 시수 유연화, NCS 개정에 따른 적절한 경과 조치 마련, 필수능력단위 편성 시수 완화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preparing utilizing and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it,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awareness about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f teachers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nalyze possibility to introduce course assessment qualification, degree of agreement for expected effects, and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qualification. Concret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was common, but the degree of agreement for introducing goal, purpose, and necessities was low. Second, for the expected effects to be obtained when acquiring course assessment qualifications, there wer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 at the same time of education, suggestion of studying goal from an angle of concrete and significant performance, systematic education based on NCS, possibility to develop and form training career, and possibility to acquire industrial field-centered knowledge and technology in order. Third, to draw priority of each item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the importance and necess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for the sectors whose requirements are more than average, there were flexibility of course assessment type qualification classes, preparation of proper measure by NCS revision, relief of edited classes of necessity ability unit, etc.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희, 박성재(2002). 청년층의 학교교육과 직무의 일치, 제1회 산업.직업별 고용구조 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움 자료집. 중앙고용정보원.
  2. 강순희, 안준기(2012). 특성화고 졸업자의 자격취득의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효과. 직업과 자격 연구, 1(1), 37-52.
  3. 고용노동부(2014).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직업능력개발 혁신 3개년 실천계획.
  4. 고용노동부(2019). 2020년도 '과정평가형 자격' 운영기관을 모집합니다. 보도자료.
  5. 관계부처 합동(2012). 제3차 국가기술자격 제도발전 기본계획('13-'17년).
  6. 교육부(2018). 2018년 교육통계연보.
  7. 김상진, 김상호, 이동임(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정과 연계한 자격제도 운영방안.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김인엽 외(2016). NCS 기반 교육과정과 연계한 국가기술자격 교육.훈련과정 개편 방안 연구.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김인엽, 전종호, 이세정(2016).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원 관련법제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김인엽 외(2017). 교육과정과 연계한 국가기술자격 개편 방안.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신미영(2006). 실업계 고교의 직업능력 향상 교육과 자격제도의 연계 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이영현 외(2002).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자격제도의 방향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조세형 외(2016). 과정평가형자격 운영실태 및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14. 주영효 외(2015).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교육부.
  15. 진미석(2009).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직업교육과 훈련의 위상. 한국교육 60년: 성취와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한국산업인력공단(2019). 2020년도 교육‧훈련과정 모집을 위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권역별 설명회 자료집.
  17. Gay, L. R., Mills, G. E., & Airasian,P.(2006).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s (8th ed.). Uppers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Prentice Hall
  18. 국가법령정보센터(http://law.go.kr). 2019.11.01. 발췌.
  19. 과정평가형.일학습병행자격포털(https://c.q-net.or.kr/). 2019.11.01.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