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외부공간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to Establish the Management Direction of Outdoor Space in an Elementary School

  • 정나라 (농촌진흥청 국립원에특작과학원) ;
  • 정현정 (전북 김제초등학교)
  • 투고 : 2020.08.20
  • 심사 : 2020.09.24
  • 발행 : 2020.09.30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외부공간 관리를 위한 방향설정을 위하여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학교 외부공간의 나무와 꽃의 식재 만족도와 옥외 휴게공간의 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근무년수가 길수록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에 학교 외부공간 관리의 문제점으로 인력, 예산, 관심의 부족을 언급하였다. 학교 외부공간은 안전한 놀이공간 확보, 식물교육공간 확보, 수업실습공간 확보, 휴식공간 제공을 위해 관리되어야 한다. 학습 지원하는 장소이자 놀이공간 및 휴식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이를 위해 벤치, 퍼골라, 야외교실, 생태연못, 텃밭, 화단 등의 시설이 포함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식물과 계절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그늘을 제공하는 식물유형을 식재하며 식물 표찰을 설치하여 식물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교사는 외부공간의 관리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정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교 공간 혁신에 대응하여 실내 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교육적, 정서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외부공간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예산과 인력의 확보 및 이를 지원할 정책의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managing the space outside an elementary school. Satisfaction with outdoor school spaces is influenced by the satisfaction with tree and flower plantation and outdoor rest spaces. This study found that the longer the working years of a teacher, the higher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outdoor spaces in the school. Respondents emphasized the lack of manpower and budget, as well as the indifference of the administration as hindrances to the management of outdoor spaces in the school. The outdoor space in the school should include a secure play area, plant education space, class practice spaces, and a rest area. Furthermore, the space outside the elementary school should support learning, playing, and resting. To this end, facilities such as benches, pergolas, outdoor classrooms, ecological ponds, farms, and flower beds should be provided. In an outdoor space, plants featured in textbooks, seasonal plants, and those that provide shade can be planted along with labels to provide information and thereby promote learning. The teachers expected that the management of the external space will have an educational and emotional effect on students. In response to the innovation of the school spac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nage the external spaces to achieve educational and emotional effects by organically connecting the outdoor spaces with the indoor space. For this purpose, it is required to provide support for securing budgets and manpower, and to introduce relevant polic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2] 초등학교 교육과정.
  2. 김미실 외(2011).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공간구성 특성. 한국디자인포럼 제32권. 2-4.
  3. 김성근(2016). 표준설계도 폐지이후 초등학교 외부공간의 변화가 학생의 공간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39.
  4. 김재호(2007).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식물교육 내용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9권 제3호. 29-32.
  5. 김정호(2013). 초등학교 교육공간에 대한 교육적 논의.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31.
  6. 서미선(2020). 고등학교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휴식시간대 교실 밖 외부공간 사용실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7. 이선영 외(2013). 도심형 소규모 초등학교의 외부공간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33-42.
  8. 이숙정 외(2013). 초등학교 환경교육에 대한 지역별 교사의 식 비교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7권 1호. 14-18.
  9. 임기택(2020).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10.
  10. 정나라 외(2016). 초등학교 외부환경 관리를 위한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 연구. 인간식물환경학회지 제19권 제15호. 443-445.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초등학생들의 바람직한 놀이활동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방안. KICE 이슈페이퍼.
  12. 한혜령(2020). 초등학교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13. 허병이 외(2010). 사업방식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외부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환경연구원학술지 제9권 제3호. 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