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met healthcare needs and metrics related to quality of lif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by processing additional irradiated raw materials of the Korean Medical Panel. The metric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cluded six variables: athletic ability, self-care, daily activities, pain/trouble, uneasiness/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unmet healthcare need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ll six quality of life variables. A review of the magnitude of the linear regression β values for those variables showed that the relative level of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variable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ain/troubl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uneasiness/depression, daily activities, athletic ability, and self-care.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pplications related to strengthening working-level links between health and welfare is considered an effective policy response to the continued pres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such application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ith unmet healthcare needs.
본 연구는 미충족 의료 경험과 삶의 질 관련 측정지표 간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두 변수간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의 부가조사 원자료를 가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과 관련된 측정지표로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6개 변수를 투입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미충족 의료 경험은 본 연구에 투입한 6가지의 삶의 질 하위변수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β값을 활용해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검토한 결과 통증/불편, 주관적 건강상태, 불안/우울, 일상 활동, 운동능력, 자기관리의 순으로 차별적 영향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해 삶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미충족 의료에 대한 정책 대응방안으로서 보건과 복지의 실무 연계 강화와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