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화 <기생충>(2019)의 표현성 연구 : 장르를 변주하는 캐릭터와 배우의 연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Expression of the Film (2019) : Focusing on Genre-Shifting Characters and Actors' Acting

  • 이아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Lee, A-Young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Chung-Ang University)
  • Received : 2020.05.25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수직적인 구조로 현실 세계의 위계질서를 뚜렷하게 나타내는 공간 속에 한국의 역사와 현재를 재현하고, 극복할 수 없는 현실의 문제점과 우리 사회에 숨어있는 여러 가지 갈등의 요소들을 복잡하게 뒤섞인 인간의 감정과 관계로 재현하는 영화 <기생충>은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비현실적인 캐릭터들이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 이성과 비이성의 경계를 오가며 우리에게 익숙한 삶의 풍경을 사소한 실수, 이상한 집착, 기이한 행동, 불안한 심리, 처절한 사투로 낯설게 한다. 이러한 행동과 충돌, 의문을 증폭시키는 캐릭터의 성격은 영화 <기생충>의 독특한 뉘앙스, 특유의 유머가 되어 '장르의 규칙에서 벗어나 현실을 담는다'는 봉준호 감독의 일관된 영화적 스타일을 나타내고, 장르를 변주하는 표현의 특징이 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캐릭터를 통해 영화 <기생충>의 표현성을 분석해보았다. 또한, 캐릭터의 성격은 영화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영화적 기법, 공간, 소품 등)과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의미의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배우의 이미지와 연기를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서 봉준호 감독은 캐릭터의 성격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배우를 캐스팅했는지, 배우의 연기는 영화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어떠한 조화를 이루며 어떠한 특징을 갖고,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The film "Parasite" portrays Korea's history and its present in a space that clearly represents the real world's hierarchy as a vertical structure. It demonstrates the problems of an insurmountable reality and the elements of various conflicts occurring below the surface of Korean society through a complex mix of human emotions and relationships. The most realistic yet unrealistic characters cross boundaries between being victims and perpetrators, defamiliarizing ordinary scenes from everyday life through their small mistakes, strange obsessions, bizarre behavior, anxious psychology, and desperate struggles. 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on of the film "Parasite" through its characters with the belief that the film expresses director Bong Joon-ho's consistent cinematic philosophy of taking reality beyond the traditional rules of film genres. By doing so, Bong creates a feature of the expression that shifts genres a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mplify related behaviors, conflicts and questions, and that this is the core of the unique nuance and distinct humor of this film. In addition,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interact with all the film's elements (cinematic techniques, space, props, etc.), evoking effects of various meanings, which are transmitted through the actors'images and acting. In this respect, the study analyzes how the actors were cast in order to realistically reproduce the characters of the actors, how their acting was harmonized with the film's elements, and its features as well as how they were expressed.

Keywords

References

  1. 미하일 얌폴스키(2017). 영화와 의미의 탐구1: 언어-신체-사건, 김수환, 이현우, 최선 옮김, 나남, 193.
  2. 거장, 한국 최고의 흥행 영화감독, 디테일의 종결자 봉준호 감독, 내셔널지오그래픽코리아. 2012.07.27.
  3. 김형석. 영화인 봉준호 상식의 경계를 허물다. 네이버캐스트, 2009.06.02.
  4. Ehrlich, D. 'Parasite'Review: Bong Joon Ho Delivers a Brilliant and Devastating Electric Shock of Economic Anxiety, IndieWire May 21, 2019.
  5. 고레에다 히로카즈(2017).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이지수 옮김, 바다출판사, 190.
  6. Collider FYC Screening Series lnterview Bong Joon Ho with Scott Mantz, Jan 18, 2020.
  7. 봉준호, 장르가 되다, OCN, 2020.02.10.
  8. Writers Guild Theatre, LA lnterview Bong Joon Ho with Rian Johnson, Jan 18, 2020.
  9. Landmark Theatre, LA lnterview Song Kang Ho with Pete Hammond, Oct 12, 2019.
  10. 감독 봉준호, MBC, 2020.02.10.
  11. 자크 오몽(2006). 영화 속의 얼굴. 김호영 옮김, 마음산책, 147, 136-138, 54.
  12. Gledhill, C.(1991). Stardom: Industry of Desire, Routledge, 183, 210-211.
  13. Santa Barbara Film Festival lnterview Bong Joon Ho with Scott Feinberg, Jan 23, 2020.
  14. 자클린 나카시(2007). 영화배우. 박혜숙 옮김, 문예신서344, 159-160, 203.
  15. 앤드루 호튼(2003).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 주영상 옮김, 한나래, 26, 62.
  16. 찰리 채플린(2007), 나의 자서전. 류현 옮김, 김영사, 442-443.
  17. 토마스 엘새서, 말테 하게너(2012). 영화이론. 윤종욱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111.
  18. 벨라 발라즈(2003). 영화의 이론. 이형식 옮김, 동문선, 83.
  19. 질 들뢰즈(2002). 시네마I: 운동-이미지. 유진상 옮김, 시각과 언어, 182, 168.
  20. 봉준호, 한진원 외, 기생충 각본집, 플레인아카이브, 2019.09.30.
  21. 봉준호, 기생충 스토리보드북, 플레인아카이브, 2019.09.30.
  22. 슬라보이 지젝(2001).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 김소연 옮김, 새물결, 19-20.
  23. 이아영(2019). 배우 송강호의 사실적인 캐릭터와 연기 ; 영화 <택시운전사>(2017)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158.
  24. 미하일 얌폴스키(2017). 영화와 의미의 탐구 2: 언어-신체-사건. 김수환, 이현우, 최선 옮김, 나남,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