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Wave' News Analysis Using News Big Data

'한류' 경향에 관한 국내 언론 기사 빅데이터 분석 연구

  • Hwang, Seo-I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Chung-Ang University) ;
  • Park, Jeong-Bae (Department of PerformingArts Planning & Management, Chung-Woon University)
  • 황서이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
  • 박정배 (청운대학교 공연기획경영학과/문화예술경영)
  • Received : 2020.06.17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korean wave' and its meaning in Korean society from 2000 to 2019 by applying an agenda setting theor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97,992 newspaper articles which reported 'korean wave'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word 'korean wave' mainly appeared in korean-related regions in the korean press. culture and economy. second, a total of 9 topics related to korean wave issues appeared. This was followed by 'broadcast', 'export',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education', 'beauty and fashion', 'music and performance', 'tourism', 'media(platform)', and 'region'. Lastly, korean wave was mainly discussed at the cultural and economic ares. In addition, it was clustered into five characteristics: 'cultural hallyu', 'business hallyu', 'education', 'environment', and 'geography'.

본 연구는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 관련 이슈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의제설정이론을 적용하였고,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언론 기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류' 관련 이슈에 대해 다룬 54개 언론 미디어 보도기사 197,992건의 제목, 부제, 본문, 키워드를 수집하여 핵심 토픽과 토픽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는 한류 관련 지역, 문화, 경제 등과 관련된 단어들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한류 관련 이슈는 총 9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방송한류', '한류 수출', '국내외정세', '한류 교육', '뷰티·패션 한류', '음악·공연 한류', '관광한류', '미디어(플랫폼)', '권역 및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는 주로 문화적 차원과 경제적 차원에서 의미화되었고, '문화한류', '경제한류', '교육', '환경', '지리'와 같이 5개의 특성으로 클러스터링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 5월 30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이를 수정 보완한 것임. 본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1078538).

References

  1. 임학순(2014). 우리나라 한류연구의 경향 분석. 한류비즈니스연구, 창간호: 31-47.
  2. 손승혜(2009). 학술 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해 본 한류 10년. 언론과사회, 17(4): 122-153.
  3. 윤여광(2019). 방탄소년단의 글로벌 팬덤과 성공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13-25.
  4. 이민하(2019).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브랜드 마케팅: 방탄소년단의 브랜딩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351-361.
  5. 박성현(2014). 한류 소비자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류비즈니스연구, 창간호: 47-71.
  6. 이영지.오효종.안승권(2019). 대중음악 아카이브를 위한 K-POP 팬덤 기록 특성 분석 및 활용 방안. 기록학연구, 60: 161-194. https://doi.org/10.20923/kjas.2019.60.161
  7. 고정민(2009). 한류 아시아를 넘어서 세계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8. 국가브랜드위원회, KOTRA, 산업정책연구원(2011). 문화교류를 통한 전략적 국가 브랜드맵 작성.
  9. 송정은, 김익기, 장원호(2013). 동남아지역의 경제한류: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15(1): 57-90.
  10. 장원호, 김익기, 금주(2013), 문화한류와 경제 한류의 관계 분석 : 태국의 사례를 통한 시론적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182-197.
  11. 황낙건, 최형배, 김영택(2012). K-POP과 K-POP 스타가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6(4): 5-14.
  12. 김필수, 김종호(2013). 일본 애니메이션과 K-POP의 확산과정 비교를 통한 K-POP의 성공 요인과 위협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4): 1-10.
  13. 김준희(2019). K-pop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1(2): 461-490.
  14. 배성웅, 박정배(2015). 한류행사특성이 스폰서십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70-77. https://doi.org/10.5762/KAIS.2015.16.1.70
  15. 홍성수, 박정배(2018). 한류관광콘서트의 국가별 참가자의 관여도 비교분석 연구. 문화와융합, 40(1): 515-534.
  16. 황낙건(2014). 중국 내 K-DRAMA 특성이 한류 문화콘텐츠 만족과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1): 13-21.
  17. 김윤미(2017). 한류드라마와 동아시아 문화정체성. 드라마연구, 53: 71-98.
  18. 김미경, 김보경(2014). 한류관광 관련 연구동향 내용분석. 호텔경영학연구, 23(3): 1-18.
  19. 유세경, 이석, 정지인(2012). 중국 일간지의 한류 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57(1): 202-226.
  20. DiMaggio, P., Nag, M., & Blel. D.(2013). Exploiting affinities between topic modeling and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ulture: Application to newspaper coverage of U.S. government arts funding. Poetics, 41(6): 570-606. https://doi.org/10.1016/j.poetic.2013.08.004
  21. 양희수, 현은정(2019). 신문기사 담론 토픽모델링분석을 통한 방탄소년단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융합, 41(1): 55-92.
  22. 김유빈, 조남욱(2017). 토픽모델링과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사회연결망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
  23. McCombs, M., & Shaw, D. L.(1972).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36(2): 176-187. https://doi.org/10.1086/267990
  24. Ghanem, S.(1997). Filling in the tapestry: The second level of agenda setting. M. McCombs.
  25. 차민경(2015). 국내 언론에 나타난 예술경영 관련 이슈의 의미연결망분석. 문화정책논총, 29(2): 168-200. https://doi.org/10.16937/JCP.29.2.201508.168
  26. 김호경, 권기석, 장덕희(2016). 언론의 해양환경에 대한 의제설정 언어네트워크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385-39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385
  27. Weaver, D.(1977), Political issues and voter need for orientation. In D.L. Shaw and M.E. McCombs(Eds.), The emergence of American public issues, 107-120.
  28. 최가희.권상희(2020). 영화뉴스와 소셜구전(WoM)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34(1): 289-326.
  29. 성미경(2016). 방송심의 의미연결망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Manyika. J., Chui. M., Brown. B., Bughin. J., Dobbs. R., Roxburgh. C., & Byers. A. H.(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McKinsey & Company.
  31. 정용찬(2012). 빅데이터. 커뮤니케이션북스.
  32. 한국데이터진흥원(2014). 데이터분석 전문가 가이드. 한국데이터진흥원.
  33. 한국문화정보원(2016). 문화분야 빅데이터 추진체계 수립 연구. 진한엠앤비.
  34. 이석민(2019). 인문사회과학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방법론. 윤성사.
  35. 유재명. 마인드스케일. https://mindscale.kr/course/topic/lectures./2019.03.10
  36. Blei, D., Ng, A., & Jordan, M.(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993-1022.
  37. 안주영, 안규빈, 송민(2016).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매체별 에볼라 주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2): 289-307. https://doi.org/10.4275/KSLIS.2016.50.2.289
  38. 강범일, 송민, 조화순(2013).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신문 자료의 오피니언 마이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315-334. https://doi.org/10.4275/KSLIS.2013.47.4.315
  39. 박양우, 황서이(2018).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한 한국 예술경영 연구의 동향 변화. 예술경영연구, 50: 5-31.
  40. 박정배, 황서이, 김문기(2020). 인문콘텐츠분야 연구의 경향 분석: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56: 123-131.
  41. 허명회(2012). 사회네트워크분석 입문. 자유아카데미.
  42. Freeman, L. C.(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 215-239. https://doi.org/10.1016/0378-8733(78)90021-7
  43. 이수상(2014).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44. 황고은, 문신정(2017). 영상콘텐츠분야의 정권별 의미연결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217-2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3.217
  45. 이성민(2020). 2019 한류백서. KOFICE.
  46.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글로벌(2019). 글로벌 한류 트렌드. KOFICE.
  47. 김용락(2020). 2020 해외한류실태조사. KOF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