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cial Network Analysis(SNA)-Based Korean Film Producer-Director-Actor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Films Released Between 2013 and 2019

한국영화 제작자·감독·배우 네트워크 분석: 2013~2019년 개봉작 중심으로

  • Cho, Hee-Young (International Film Business Academy, Busan Asian Film School)
  • Received : 2020.05.23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selected 127 powerful Korean film producers, directors, and actors whose stable audience drawing power has been proven over the past seven years from 2013 to 2019, and viewed their network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SNA) to explain their power structure. It also explained the changes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box office hits from 1998 to 2012. The producers who showed the highest audience drawing power over the past seven years were KANG Hae-jung, JANG Won-seok, LEE Eugene, HAN Jae-duk. BONG Joon-ho, KIM Yong-hwa, and RYOO Seung-wan as directors and SONG Kang-ho, HA Jung-woo, and HWANG Jung-min as actors were confirmed to exhibit the most stable audience drawing power. Meanwhile, the network formed by the 127 leading producers, filmmakers, and actors was analyzed based on closeness/ degree/eigenvector/betwenness centrality, and the result discovered a strong network involving JANG Won-seok, HAN Jae-duk, CHO Jin-woong, Don LEE, and HWANG Jung-m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cluded producers, the position which has never been discussed in previous local studies to analyze the network influencing star casting, and selected accurate box office hits by checking whether the concerned films actually reached break-even point rather than simply relying on the number of audiences or total revenue they garnered. Nonetheless, it left a hole to be filled in that it did not include the role of the management companies in the network. Therefore, a relevant follow-up discussion would be needed.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7년간 가장 안정적인 관객동원력이 검증된 127인의 유력 제작자와 감독, 배우를 선별하고, 이들 간의 네트워크를 사회연결망 분석(SNA)을 통해 조망하였다. 또한 1998년부터 2012년까지에 흥행작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변화 추이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최근 7년간 최상위 관객동원력을 보여준 제작자는 강혜정, 장원석, 이유진, 한재덕이었고, 감독으로는 봉준호, 김용화, 류승완이 선정되었다. 배우의 경우 송강호, 하정우, 황정민이 안정적인 관객동원력을 확인받았다. 한편 127인의 유력 영화인들이 형성한 관계망을 근접 중심성, 연결 중심성, 위세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제작자로는 한재덕, 장원석, 배우로는 조진웅, 마동석, 황정민을 주축으로 한 강력한 소그룹 네트워크가 발견되었다. A급 스타 배우가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국내 영화 제작 현실을 고려하면 이러한 편향된 네트워크로 인한 긍정적인 측면 못지않게 다양성 훼손 등의 부작용도 있을 수 있기에 경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 동안의 국내 영화 흥행 요인 연구에서 논의된 적이 없는 제작자의 포지션을 연결망에 포함하여 분석했으며, 흥행작 도출에 있어 단순히 동원 관객 수에 의존하지 않고 실질적인 손익분기점 도달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흥행작과 유력 영화인을 선정했다는 데에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관계망에서 매니지먼트사의 위치와 역할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남겼기에 이에 대한 후속 논의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영화진흥위원회.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한국영화산업결산보고서, 영화진흥위원회.
  2. 류설리, 유승호. (2009). 한국영화 주요 배우.감독 네트워크의 관객동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1998-2007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6): 62-71. https://doi.org/10.5392/JKCA.2009.9.6.062
  3. 류설리, 장예빛, 김민규, 정의준, 유승호. (2013). 한국영화 주요 배우.감독 네트워크 분석과 네트워크 불평등에 관한 연구: 2008-2012 영화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16(1): 47-71.
  4. Caves E. R. (2000).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Harvard,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 Levin, A. M., Levin, I. P., & Heath, C. E. (1997). Movie stars and authors as brand names: Measuring brand equity in experiential product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4: 175-181.
  6. 전범수, 박성복, 조아름. (2019). 스타 배우들의 영화 출연 구조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2008년-2017년,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8: 363-389.
  7. 조아름. (2019). 국내 개봉 흥행 영화의 속성에 따른 배우 캐스팅의 특성과 성과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Litman B. R. (1983).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The Journal of Popular Culture, 16(4): 159-175. https://doi.org/10.1111/j.0022-3840.1983.1604_159.x
  9. Garrison, L. C. (1971). Decision Processes in Motion Picture: A Study of Uncertainty, Ph.D.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10. Simonet, T. (1978). Regression Analysis of Prior Experiences of Key Production Personnel as Predictor of Revenues from High-Grossing Motion Picture in American Release, New York: Amo Press.
  11. De Vany, A. & Walls, W. D. (1999). Uncertainty in the movie industry: Does star power reduce the terror of the box offic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3(4): 285-318. https://doi.org/10.1023/A:1007608125988
  12. Chisholm, D. C. (2004). Two-part sharecontracts, risk, and the life cycle of stars: Some empirical results from motion picture contract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8(1), 37-56. https://doi.org/10.1023/b:jcec.0000009808.60007.ea
  13. Pokomy, M. & Sedgwick, J. (1999). Movie stars and the distribution of financially successful film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3(4): 319-323. https://doi.org/10.1023/A:1007540912759
  14. 김휴종. (1998), 한국 영화스타의 스타파워 분석, 문화경제연구, 1(1):165-200.
  15. 강선주. (2017). 흥행영화 요소 분석: 2016년 개봉한 상업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5): 1-15.
  16. 유현석. (2001). 영화 흥행 변수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13: 231-254.
  17. 유현석. (2002). 한국 영화의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6(3): 183-213.
  18. 김은미. (2003). 한국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7(2): 190-220.
  19. 김정호. (2008). 한국영화 스타파워 분석: 2003-2007 배우와 감독, 한국영화, 38: 11-51.
  20. 김소영, 임승희, 정예슬 (2010). 영화 유형별 영화 흥행 성과 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381-393. https://doi.org/10.5392/JKCA.2010.10.2.381
  21. 이지훈, 김윤정. (2013). 관객 중심 특성 중 영화흥행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1): 1-9.
  22. 류제운, 김학용. (2010). 한국영화 100선에 등장하는 영화배우 네트워크 확장 패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7): 420-428. https://doi.org/10.5392/JKCA.2010.10.7.420
  23. 김학용. (2011). 네트워크 기반 2000년대 한국영화의 관객 동원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 429-437. https://doi.org/10.5392/JKCA.2011.11.1.429
  24. 황예나, 남윤재. (2017). 한국 흥행영화의 배우 관계망 분석: 2012-2016년도 한국 흥행 영화 출연 배우들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5(3): 163-184.
  25. 노혜령, 황용석. (2018). 영화 투자.배급사의 사회연결망 중심성과 흥행성과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62(5): 253-292.
  26. 오관석. (2009). 지역사회 엘리트의 영향력 측정에 관한 연결망 분석, 지역사회연구, 17(4): 53-73.
  27. 김용학. (1987). 사회연결망 분석의 기초개념: 구조적 권력과 연결망 중심성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58: 141-163.
  28. 김용학. (2010). 사회연결망 이론, 박영사.
  29. Borgatti, S. P., Everett, M. G., and Freeman, L. C. (2002). Ucinet 6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30.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https://doi.org/10.1016/0378-8733(78)90021-7
  31. Nam, Y., Barnett, G. A., & Kim, D. (2014). Corporate hyperlink network relationships in glob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ystem, Quality & Quantity, 48(3): 1225-1242. https://doi.org/10.1007/s11135-013-98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