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Value and View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for Viewing Dance Performances

무용공연 관람요인에 따른 관람가치와 관람만족 관계

  • Baek, U-Young (Gyeongsang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
  • Cho, Dong-Min (Mokpo University, Department of Finance and Insurance) ;
  • Lee, Sang-Ho (Mokpo University, Department of Smart Business)
  • Received : 2020.05.15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audience,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value. For data processing, SPSS Ver. 21.0 and AMOS Ver. The program of 21.0 was used.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analyzed using a two-step approach,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s was verified using bootstrapping. In addition, a full mediating effect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ere presented using the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viewing factors influenced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the viewing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viewing satisfaction had an intention to revisit and influenced the viewing value. It was also found that the viewing value had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factors of the dance performance and the viewing value, it was found that the viewing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attendance factor of the dance performance was not related to the intention to revisi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viewing and the value of viewing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viewing factors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Through these studies, the dance performance should overcome the inherent limitations of space-time limitations and present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id- to long-term marketing strategy that can respond quickly.

본 연구는 무용공연의 관람요인이 관람객의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관람만족과 관람가치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통하여 무용공연 관람객이 관람하는 원인이 무엇이고, 재관람을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지를 도출하여 무용공연 관람객이 기대하는 수준 높은 공연, 공간적 변화 및 브랜딩, 차별화 전략 등의 저변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019년 10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전통 한국창작무용 공연을 관람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추출하였고, 선정된 모집단이 응답한 30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하여 SPSS Ver. 21.0과 AMOS Ver. 21.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2단계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3단계 회귀 분석 매개효과를 이용하여 완전매개효과와 부분매개효과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공연의 관람요인은 관람만족과 관람가치에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의 관람만족은 재관람의도와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람가치와도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공연의 관람가치는 재관람의도에도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공연의 관람요인과 관람가치의 관계에서 관람만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가치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공연의 관람요인은 재관람의도에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무용공연의 관람요인과 재관람의도의 관계에서 관람만족과 관람가치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무용공연은 시공간의 제약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무용공연의 대중화 실현을 위한 환경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숙. (2004). 주요국가들의 기초예술에 대한 환경변화와 지원정책에 관한연구.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1: 1-60.
  2. 한진희, 조광민, 석부길. (2009). 무용 공연장의 서비스 품질에 따른 관람객 만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5): 347-356.
  3. 정옥조. (2003). 무용공연의 관람환경과 고객애호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지제욱. (2001). 무용공연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최현주. (2002). 무용공연 경쟁 구조 분석: 관람 동기 유사성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오윤정. (2001). 무용공연시 관객동원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정학. (2006). 관람 소비수준에 따른 마케팅믹스 요인이 무용공연 만족도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7(4): 156-163.
  8. 이정학, 이용건, 이지혜. (2012). 무용공연장 마케팅믹스 요인이 공연 관람객만족과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8(1): 279-289.
  9. 이강태. (2008). 경기지연이 관람만족과 경기몰입.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최형화. (2008). 무용공연 서비스품질과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 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연수, 조한범. (2012).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가치와 관람몰입 및 관람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7: 61-79.
  12. 임종원, 홍성태, 김재일, 이유재. (2004). 소비자 행동론: 이해와 마케팅의 전력적 활용. 경문사.
  13. 강민희. (2005). 웰빙트랜드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가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지경숙. (2004). 소비가치 이론에 근거한 척추수술 환자의 병원선택 요인.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우현, 이선희, 이해종, 전기홍. (1999). 의료서비스 마케팅. 퇴설당.
  16.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Free press.
  17. 국승희. (2009). 무용공연 관람객의 공연선택 및 관람 후 행동모형 분석. 한국체육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Bettman J. R., & Park, C. W. (1980). Effect of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Phase of the choice process on comsumer decision processes: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 234-247. https://doi.org/10.1086/208812
  19. 김양희. (2006). 무용공연 환경이 관람객의 만족 및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선정. (2006). 무용공연환경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가 관람만족 및 관람지속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양미선. (2004). 무용공연관람요인과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사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진화, 정옥조. (2008). 무용공연 선택요인에 따른 관람만족 및 재관람 의사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6(56): 211-226.
  23. 안정훈. (2011). 무용공연 활성화 촉진을 위한 전략과 관객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박선우. (2014). 무용공연 관람경험에 따른 무용 공연 선택요인 및 재관람의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백맹. (2017). 공연예술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무용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 중국의 공연예술 현황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서영. (2019). 국악공연의 관람선호경향 분석에 따른 활성화 방안 연구. 인문사회21, 10(4): 1341-1354.
  27. Sheth, J. N., Bruce I. N., & Barbara L. G. (1991).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s. Cincinnati: Ohio, South-Western Publishing Co.
  28. 이재화. (2010). 창작국악 공연유형에 따른 관람 만족 및 관람가치에 대한 분석 연구. 추계예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상일, 김윤희, 최형화. (2009). 무용공연 서비스품질과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 223-233.
  30. 명금록. (2014). 무용공연관람만족 척도 개발. 동덕여자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32. Holmbeck, G. M. (1997).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ro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4): 599-610. https://doi.org/10.1037/0022-006X.65.4.599
  33. 유선영. (2013). 무용공연장 서비스품질이 고객 만족과 재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우창기. (2007). 공연 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서구원, 김경선. (2009). 뮤지컬공연 서비스의 마케팅 믹스요소와 관람동기가 재관람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문화학회지, 7(2): 65-88.
  36. 이은선, 김화례. (2011). 무용공연장에서 마케팅 믹스요인이 관객 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학회논문집, 69: 91-107.
  37. 조선하. (2005). 무용공연 공연만족, 재관람 의사결정 요인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549-558.
  38. 임혜경. (2011). 공연관람 결정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수진. (2014). 한국의 문화적 속성을 반영한 창작무용의 작품가치가 관람만족도 및 국가브랜드 이미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작 발레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지훈. (2017). 공연 컨텐츠, 공연장 내부시설, 배우 캐스팅이 공연관람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공연장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7): 397-406.
  41. 김가영, 유원용. (2008). 무용공연의 환경요인과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 한국무용기록학회지, 14: 39-60.
  42. 문종주. (2005). 프로농구 현장 관람요인이 관람 만족과 재 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정준호. (2005). 프로야구 관중의 의사결정요인에 따른 경기관람만족이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안홍철. (2006). 프로농구 경기장의 관람요인이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정희. (2006). 프로축구 관중의 관람만족과 행동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70. https://doi.org/10.2307/3150499
  47. 강문식, 김효정. (2006).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 충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6(2): 273-294.
  48. 박명숙. (2014) 음악공연의 관람가치,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7): 115-12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115
  49. 박선영, 신종칠, 오동훈. (2005). 소비가치가 주택유형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1): 75-91.
  50. 전재홍, 김건희. (2018). 공연장의 물리적환경이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람동기를 조절변수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5): 1-12.
  51. 전주형. (2000). 서비스 유형별 지각된 가치측정에 관한 연구. 여행학연구, 12: 223-240
  52. Chen, P. T., & Hu, H. H. (2010). The effect of relational benefits on perceived value in relation to customer loyalty: An empirical study in the Australian coffee outlets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9(3): 405-412. https://doi.org/10.1016/j.ijhm.2009.09.006
  53. Parasuraman, A., & Grewal, D. (2000).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Quality-Value-Loyalty Chain: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1): 168-174. https://doi.org/10.1177/0092070300281015
  54. 손화정, 주현식. (2008). 호텔고객의 지각된 가치.고객만족 및 전환비용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30: 116-129.
  55. 한진수, 현경석. (2008). 패밀리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9(3): 89-108.
  56. 김용만. (2010). 프로야구 관람가치가 관람만족, 팀에 대한 태도, 팀이미지, 팀동일시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1(4): 1569-1581. https://doi.org/10.24985/KJSS.2010.21.4.1569
  57. 김선정. (2007). 지역축제에서의 무용공연환경과 관람만족 및 지역충성도의 관계. 한국 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1(3): 205-219.
  58. 황낙건. (2018). 공연 마케팅 믹스 7P 요인이 소극장 뮤지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1-18.
  59. 송은아, 표원섭, 임준묵. (2017). 뮤지컬 공연에서 관객의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4): 37-47.
  60. Stokeler, H. S., & Hasegawa, M. (1974). A Technique for Identifying Values as Behavioral Potentials in Making Consumer Housing Decision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2(4): 268-280. https://doi.org/10.1177/1077727X740020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