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 예방에 미치는 영향 - 성별, 학년, 학교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High School Students on the Prevention of Suicidal Ide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Grader and School Type -

  • 김영환 (학교법인대진대학교 법인사무국)
  • 투고 : 2020.06.23
  • 심사 : 2020.07.27
  • 발행 : 2020.07.31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 고등학생 자살의 위험 요인이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어떤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 세 가지 하위요인을 친구지지, 교사지지, 부모지지로 구분하고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자살생각을 종속변수, 성별, 학년, 학교유형을 조절변수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지지, 친구지지, 부모지지 모두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생각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인문계 학생이 전문계 학생보다 더 높았다. 셋째, 친구지지와 부모지지가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컸다. 넷째, 교사지지와 부모지지가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2학년보다 1학년이 더 컸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일선 고등학교 교사들과 인터뷰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자살과 관련된 사회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고 정책적 수단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how social support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nd verify how the moderating effect worked on risk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Specifically, thre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were classified into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parent support, and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suicidal ideation was dependent variables, gender, grade level, and school type as moderating variabl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support, friend support, and parent support all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suicidal thoughts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and in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than in th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Third, support from friends and parents was more effects in reducing suicidal thoughts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Fourth, the effect that teacher support that support and parent support reduce suicidal thoughts was greater for first graders than second graders. Bases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high school teac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to alleviate social problems related to suicide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meas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지희, 김민정(2014).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학습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4): 167-178.
  2. 김재엽, 이근영(2010).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7(4): 121-149.
  3. 김보영, 이정숙(2009). 청소년 자살 생각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9(5): 651-661.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51
  4. Gould M. S., Greenberg T, Velting D. M, Shaffer D.(2003). Youth suicide risk and preventive intervention: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42(4): 386-405. https://doi.org/10.1097/01.CHI.0000046821.95464.CF
  5. Simon, R. L. & Murphy, P.(1995). Sex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Adolescent suicide ide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4(5).
  6. Queralt, M.(1993).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eted suicide in Latino Adolescent. Adolescence, 28(112): 831-850.
  7. Pfeffer, C. R.(1988).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youth suicide: A clinical respective. Psychiatric Annals, 18: 861-873.
  8. 엄태완, 강명진, 최정순(2008). 청소년의 스트레스,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과 사회적지지: 성차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22: 5-30.
  9. 장선희, 이미애(2010).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8): 27-55.
  10. 박재연(2009).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적 관계 검증. 청소년학연구, 16(10): 249-272.
  11. Cohen, S, & Hoberman H. M.(1983). Positive event and social so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12. O'Carroll, P. W., Berman, A. L., Maris, R. W., & Mosciciki, E.(1996). Beyond the tower of babel: A nomenclature for suicidolog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6(3): 237-252. https://doi.org/10.1111/j.1943-278X.1996.tb00609.x
  13. White, J. L.(1989). The troubled adolescent. New York: Pergamon.
  14.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15. 유성남(2008).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주혁, 유정인(2019). 생활체육 참여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사회적 지지와 운동 강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6): 307-317.
  17. 오진숙, 한혜원(2012). 생활무용참가 여성의 사회적지지가 건강증진행동 및 참가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0(27): 1-16.
  18.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유진(2005).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공업고등학교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Weinberger, M., W. M. Tierney, P. Booher and S. L. Hiner.(1990)."Social support, stress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in Social Science & Medicine. 30(4): 503-508. https://doi.org/10.1016/0277-9536(90)90353-T
  21. 김재엽, 정윤경, 이진석(2009). 가정내 자녀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121-149.
  22. 김명숙(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장미경(2004). 청소년의 사회망 지향; 사회적 지지 과정과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청소년 상담연구, 12(1): 3-14.
  24. 박은희(2016).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희망,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성적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한미현, 유안진(1996). 아동이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17(1): 173-188.
  26. 박치홍(2014). 중학생의 자살과 DAS반응 특성 연구: 위험 요인과 보호요인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업적 탄력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김종권(2018).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송인한, 권세원, 박단비(2012). 친구의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352-376.
  30. 홍명숙(2017). 청소년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개발연구, 17(1): 63-98.
  31. 홍예진, 박주희(2015).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23(2): 189-210.
  32. 김도희(2015). 부모의 학대와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1): 487-515.
  33. 유용식(2019).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2): 231-242.
  34. 이인정(2011).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31(4): 34-62 https://doi.org/10.15709/HSWR.2011.31.4.34
  35. Lai Kwok, S. Y. C., & Shek, D. T. L.(2010). Personal and family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in hong ko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95(3): 407-419. https://doi.org/10.1007/s11205-009-9528-4
  36. Stewart, S. M., Felice, E., Claassen, C., Kennard, B. D., Lee, P. W. H., & Emslie, G. J.(2006).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 Medicine, 63(2): 296-306.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01.005
  37. 오승환(2009).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우울,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학교사회복지, 16: 53-73.
  38. 김지현(2016). 피학대경험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조절 요인에 관한 고찰. 아동보호연구, 1(1): 51-68.
  39. 이지숙(2013).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대처방법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3): 321-344.
  40. 여지영, 박태영(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8): 121-145.
  41. 김지현(2017). 청소년의 아동학대 피해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홍나미(2012). 청소년 자살생각에 대한 부모 학대와 또래 괴롭힘의 영향에서 대인관계 내 재화와 절망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4(1): 151-175.
  43. Taft, C. T., Schumm, J. A., Panuzio, J. & Proctor, S. P.(2008). An examination of family adjustment among Operation Desert Storm veterans. Journal of Consulting and Psychology, 76: 648-656. https://doi.org/10.1037/a0012576
  44. Dick, G.(2005). Witnessing marital violence as children: men's perceptions of their father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32(2): 1-25. https://doi.org/10.1300/J079v32n02_01
  45. Woznica, J. G. & Shapiro, J. R.(1990). An analysi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s: The expendable child.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15: 789-796. https://doi.org/10.1093/jpepsy/15.6.789
  46. Olweus, D.(1994).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and effect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ble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 1117-1190.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4.tb01229.x
  47. 김보영(2008).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고선(2009). 학교환경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박재연(2010). 청소년의 자살위기와 레질리언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Rigby, K. & P. Slee.(1999). Su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in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 Inc.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51. 김정수, 노성덕(2003). 청소년의 자살충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대학생활연구, 제21호. 153-172.
  52. 박병금(2006).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자살생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제10호: 41-76.
  53. 김동숙(201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연구: 공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박종익(2012).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신선철(2012). 일부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임채곤(2013). 사이버 범죄에 관한 연구: 허위 사실유포죄, 사이버모욕죄, 인터넷 실명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7. 조성진, 전홍진, 김장규, 서동우, 김선욱, 함봉진, 서동혁, 정선주, 조맹제(2002).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1(6): 1142-1155.
  58. 김계수(2010).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