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특성을 고려한 주택상품개발의 기본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 of Housign Product Develop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ownhouse

  • 성기선 (동양미래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과)
  • Seong, Ki-Seon (Department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Dongyangmirae University)
  • 투고 : 2020.05.22
  • 심사 : 2020.06.26
  • 발행 : 2020.06.30

초록

최근 주택시장의 경향을 반영하여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개발이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활주택으로서의 특성과 소비자들의 니즈를 잘못 판단하여 도시생활에 적합하지 않거나 무분별한 지역개발의 산물로 전락하는 등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장점은 사생활 침해나 가구 간 소음문제가 없으며, 개별정원과 주차공간의 확충, 접지성 확보, 개성 있는 내·외부 계획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방범, 방재, 보안 등 공동관리 효율성, 출입문 분리를 통한 연속벽 건축, 중앙광장, 공원 등 공용공간 계획 등의 공동주택 측면의 장점도 갖추고 있어서 도시형 주거유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생활공간에 적합한 주택상품개발을 위한 기본 방향을 구축하여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역할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생활주택으로서의 공간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 및 재료활용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주택상품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Nowadays, urban townhous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gions in consideration of the trends of the housing market. Misperceiving the needs of consumers or their characteristics as a house for living, however, they often end up becoming products that are not suitable for urban life or degraded on account of reckless regional development. It is so unfortunate that such trial and error keeps being repeated. Urban townhouses are advantageous because there is no such problem as either invasion of privacy or noise from neighbors, and it is possible to have one's own garden and enlarged parking space, obtain quality of grounding, and plan unique interior and exterior design. They are also equipped with the strengths of apartment houses as well, for example, the efficiency of joint control in crime and disaster prevention or security, architecture of diaphragm walls with the separation of gates, or the planning of common space like a central square or park. Therefore, there is a great chance that they can be developed as the types of urban hous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of developing housing products right as space for urban life and maximize the roles of urban townhouses. By understanding their spatial as well as functional elements as a house for living, this author aims to provide a guideline for housing product development to realize urban townhouses that can meet consumer needs.

키워드

참고문헌

  1. Shim,W.G,, Y, H.Y, L, S, H., Min,C.Y., 2007).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 of 'town house' in Korea. journal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Vol. 23, Tongue 228): 53-62.
  2. 김재국. (2008). 타운하우스 공용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공미나. (2012). 국내 타운하우스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영역성과 프라이버시 구축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Yoo, H.Y., Lee, Y.S., & Shim, W.G. (2009).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Urban Townhous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Planning, 25(12): 81-92.
  5. 천병권. (2008). 타운하우스의 국내 계획사례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Seok, J.H., Lee, M.A., & Lee J.K. (2011).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Plan of Urban Town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ace Design.
  7. Kim, M.J., Jo, M.E. (2011). A Study on the Post-Occupancy Satisfaction of Townhouse Residents: Focused on Residents of 'H Townhouse' located i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rior Design Tongs84: 117-127.
  8. 이동은. (2007). 타운하우스의 국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해안건축사무소. (2007). 성북동 게이트 힐스. http://www.haeahn.com/index.do
  10. 이광훈. (2007). 10년 후 타운하우스가 대세다. 행복이 가득한집, 2007 6월호.
  11. Sung K.S. (2020).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Townhouse: Focused on the Residents of the Urban Farmers' Townhouse in Paju, Volume 15, Volume 3, No. 64 of the Korean Society for Space Design, 108-120.
  12. 랜도건축. (2018). 전망좋은 타운하우스 해외사례. https://blog.naver.com/lando1982/221230244453
  13. Oh, S.G. (2012). The Concept and Planning Direction of Urban Town 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ousing, 7(2): 5-9.
  14. 류지원. (2004). 공동주택의 환경친화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미선. (2008). 서비스 지능화 수준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