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한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Lee, Na-Rae (Division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나래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03.19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ways to improve the perceived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and future direction of the elderly welfare project. As an analysis method,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wen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DL, IADL, social participation, depression, nutritional condi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which of these factors influenced. Also, to see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 post-test(Scheffe) was used after one-way variance analysis(p<0.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L, IADL, social participation, and nutritional condition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ve state.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perceived health statu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the more the group perceived that their health was bad, the more severe it was. perceived health condition was found to be most associated with depressive status. and the positively perceived health conditions showed that the degree of depressive status also decreased, indicating that it is effective to actively manage depression to promote perceived health conditions.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 및 노인복지 사업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와 ADL, IADL, 사회 참여, 우울 상태, 영양 상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그 중 어떠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 상태의 정도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 후 사후검정(Scheffe)을 사용하였다(p<0.5).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와 ADL, IADL, 사회 참여, 영양 상태는 양의 상관관계, 우울 상태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ADL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 또한, 주관적 건강 상태에 따른 우울 정도를 알아본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자신의 건강 상태가 나쁘다고 인식하는 집단일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 상태는 우울과 가장 영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집단일수록 우울의 정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건강 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6).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
  2. 성정숙, 박재순. (2005).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 노인간호학회지, 7(1): 71-78.
  3. 장인협, 최성재. (2000).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4. 이정숙, 이인수. (2006). 한국의 건강불평등과 정책방향. 아세아연구, 49(10): 66-103.
  5. 이금재, 박재숙. (2006). 재가 도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3): 221-230. https://doi.org/10.4069/kjwhn.2006.12.3.221
  6. Prieto-Flores, M. E., Moreno-Jimenez, A., Fermandez-Mayoralas, G., Rosenberg, M. W., Rojo-Perez, F., & Forjaz, M. J. (2012).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health status and quailty of life domains in subjective health in old age. Social indicator research, 106: 27-39. https://doi.org/10.1007/s11205-011-9791-z
  7. 이미애. (2014). 노인 우울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의 조절 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4): 461-471. https://doi.org/10.7856/kjcls.2014.25.4.461
  8. Connelly, J. E., Philbrick, J. T., Smith, G. R., & Wymer, K. A. (1989). Health perceptions of primary care patients and the influe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Medical care, 27(3): 99-109.
  9. 유대현, 여인성. (2013).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 생활 및 운동능력, 사회적 관계의 인과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2(1): 351-361.
  10. 김승곤. (2005).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노인복지연구, 28: 187-206.
  11. 정덕진. (2014). 장애노인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 효과. 보건사회연구, 34(2): 247-275. https://doi.org/10.15709/HSWR.2014.34.2.247
  12. 서문진희, 이현아. (2011).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4(54), 361-385.
  13. 남연희, 남지란. (2011).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45-162.
  14. 염지혜. (2013).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대한 비교 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농촌사회, 23(1): 193-239.
  15. 김유미. (2016). 우리나라 여성과 남성의 건강: 기대수명, 사망률 및 주관적 건강 지표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1226-3648.
  16. Farmer, M. M., & Ferraro, K. F. (1997). Distress & perceived health: Mechanism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lath and Social Behavior, 38(3): 298-311. https://doi.org/10.2307/2955372
  17. 신은영. (1996). 노인의 인지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0(2): 135-145.
  18. 조근종. (2000).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사회적지지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9(3): 198-207.
  19. Peirce, Robert S., Frone, Michael, R., Russell, Marcia, Cooer, M. Lynne., & Mudar, Pamela. (2000). A longitudinal model of social contact,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lchol use. Health Psychology, 19(1): 28-38. https://doi.org/10.1037/0278-6133.19.1.28
  20. 강영희. (2005). 신체건강, 인지기능 및 심리사회 건강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강희숙, 김근조. (2000).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노인복지연구, 28: 187-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