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인수인계 경험이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Clinical Competence and Experience of Handover on Self-efficacy of Handover Reporting among Nursing Students

  • 투고 : 2020.03.18
  • 심사 : 2020.06.26
  • 발행 : 2020.06.30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인수인계 경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G시에 소재한 4년제 2개교 간호대학생 255명을 2019년 6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ents 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은 57.3점(100점 만점에 76.4점), 임상수행능력은 69.8점(100점 만점에 73.5점),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은 33.8점(100점 만점에 51.2점)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은 성(F=4.60, p<.001), 연령(F=16.72, p<.001), 학년(t=-6.39, p<.001), 임상실습 만족도(F=3.68, p=.027), 인수인계 교육 경험(t=26.44, p<.001), 인수인계 경험(t=4.84, p<.001), 인수인계에 대한 두려움(F=16.97, p<.001), 환자안전에 있어서 인수인계 중요도(F=6.42,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은 의사소통능력(r=.249, p<.001)과 임상수행능력(r=.426, p<.001) 간에 유의한 순 상관 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수인계에 대한 두려움(β=-.294, p<.001), 임상수행능력(β=.252, p<.001), 학년(β=.191, p=.001), 인수인계 경험(β=.185, p<.001), 성별(β=.150, p=.003), 인수인계 교육 경험(β=.126, p=.017)순으로 모형의 설명력은 40.0%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 시 인수인계 경험을 포함한 인수인계 교육을 제공하여 인수인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mmunication competence, clinical competence and experience of handover which influence self-efficacy of handover among nursing student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A total of 255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nursing departments in G-city.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lf-administrated from June to September,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s results of the study, communication competence 57.3, clinical competence 69.8 and self-efficacy of handover was 33.8. Self-efficacy of handov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F=4.60, p<.001), age(F=16.72, p<.001), grade(t=-6.39, p<.001),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F=3.68, p=.027), education experience about handover(t=26.44, p<.001), experience of handover(t=4.84, p<.001), fear of handover(F=16.97, p<.001), and handover importance of patient's safety(F=6.42, p=.002). Self-efficacy of handover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r=.249, p<.001) and clinical competence(r=.426, p<.001).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ear of handover(β=-.294, p<.001), clinical competence(β=.252, p<.001), grade(β=.191, p=.001), experience of handover(β=.185, p<.001), gender(β=.150, p=.003), and education experience about handover(β=.126, p=.017) were significant factors of self-efficacy of handover explaining 40.0%(F=29.26, p<.001) of the variables. In conclusion, to enhance self-efficacy of handover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for increasing experiences of handover, education experience about handover, and clinical competence.

키워드

과제정보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the Honam University in 2019

참고문헌

  1. Johnson, M., Jeffereies, D., & Nicholls, D. (2012). Exploring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information within nursing clinical hando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8(5): 462-470. DOI : 10.1111/j.1440-172X.2012. 02059.x
  2. 이환모, 천자혜. (2012).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인증의 의미. 대한의사협회지, 55(1): 17-22. DOI : 10.5124/jkma.2012.55.1.17
  3. Weingart, C., et al. (2013). Making good better: implementing a standardized handoff in pediatric transport. Air Medical Journal, 32(1): 40-46. DOI : 10.1016/j.amj.2012.06.005.
  4. Agarwal. H. (2012). Standardized postoperative handover process improves outcomes on the intensive care unit: A model for operational sustainability and improved team performance. Critical Care Medicine, 40(7): 2109. https://doi.org/10.1097/CCM.0b013e3182514bab
  5. Welsh, C.A., Flanagan, M.E., & Ebright, P. (2010).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nursing handoffs: Recommendations for redesign, Nursing Outlook, 58(3): 148-154. DOI : 10.1016/j.outlook.2009.10.005
  6. Benson, E., Rippin-Sisler, C., Jabusch, K., & Keast, S. (2007). Improving nursing shift-to-shift repor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2(1): 80-84. https://doi.org/10.1097/00001786-200701000-00015
  7. 정연옥, 석소현, 박용익, 박성철, 진정근, 백승주, 이혜용, 이지언, 박순영, 이정우. (2014). 간호사간 인계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의료커뮤니케이션, 9(1): 61-71.
  8. 김선호, 김은만, 최윤경, 이향열, 박미미, 조의영, 김을순. (2013). 국내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수인계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임상간호연구, 19(2): 181-194. https://doi.org/10.22650/JKCNR.2013.19.2.181
  9. Rubin, R.B., Graham, E.E., & Mignerey, J.T. (1990).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Communication Education, 39(1): 1-14. https://doi.org/10.1080/03634529009378783
  10. Hsu. L.L., Huang, Y.H., & Hsieh, S.I. (2014). The effects of scenario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on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nd myocardial infarction knowledg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5(3): 356-364. DOI : 10.1016/j.pec.2014.03.101
  11. Collins G. (2014). Using simulation to develop handover skill. Nursing Times, 110(8): 12-14.
  12. 김유정, 정인주. (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아존종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3): 297-308. DOI : 10.21184/jkela.2018.4.12.3.297.
  13. Barre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8.00511.x
  14. 양선희, 심인옥. (2016).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자기효능감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612-622. DOI : 10.5392/JKCA.2016.16.05.612
  15. 김혜경. (2018).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조직 의사소통 만족감이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수진, 황은희. (2018). 간호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8(7): 1-13. DOI : 10.22251/jlcci.2018.18.7.1
  17. 도지영, 신수진. (2019). 간호대학생 대상의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6(2): 117-126. DOI : 10.7739/jkafn.2019.26.2.117
  18. Bandura, E.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y, 37(2): 122-147. DOI : 10.1037/0003-066X.37.2.122
  19. 김윤화, 최윤숙, 전혜영, 김명자. (2016). SBAR 프로그램이 암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19(1): 20-29. DOI : 10.7587/kjrehn.2016.20
  20. 김선호, 김은만, 최윤경, 이향열, 박미미, 조의영, 김을순. (2013). 국내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수인계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임상간호연구, 19(2): 181-194. https://doi.org/10.22650/JKCNR.2013.19.2.181
  21. 김은만, 유미, 이향열, 고지운, 조의영, 김을순. (2014). 국내병원 간호사의 인수인계 실무표준, 표준지침 및 표준화된 항목개발에 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20(1): 1-14. https://doi.org/10.22650/JKCNR.2014.20.1.1
  22. 김기영. (2018). 종합병원 병동간호사의 인수인계에 대한 평가와 인수인계 오류경험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나연. (2018).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효과: 신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6(2): 57-68. DOI : 10.17333/JKSSN.2018.6.2.57
  24. 박선남, 김윤수, 임영순. (2015). 간호대학생을 위한 아동간호 인수인계 교육요구도 조사. 한국아동간호학회지, 21(3): 204-215. DOI : 10.4094/chnr.2015.21.3.204.
  25. Rubin, R.B., Martin, M.M., Bruning, S.S., & Power, D.E. (1993). Test of self-efficacy mod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Quarterly, 41, 210-220. https://doi.org/10.1080/01463379309369880
  26. 허경호. (2003). 포괄적 대인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지, 47(6): 380-408.
  27. 이원희, 김조자, 유지수, 허혜경, 김경숙, 임성민. (1999).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연세대학교간호학논문집, 13. 17-29.
  28. 양진주, 박미영. (2004).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0(2): 271-277.
  29. Lee, J., Mast, M., Humbert, J., Bagnardi, M., & Richards, S. (2016). Teaching handoff communication to nursing students: a teaching intervention and lessons learned. Nurse Educator, 41(4): 189-193. https://doi.org/10.1097/NNE.0000000000000249
  30. 황은희, 도지영, 신수진. (2017). 한국판 Perceived self-efficacy of handoff reporting (PSH-K) 도구의 타당화. Health & Nursing, 29(2): 25-33.
  31. Riesenberg, L.A., Leisch, J., & Cunningham, J.M. (2010). Nursing handoff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0(4): 24-34. https://doi.org/10.1097/01.NAJ.0000370154.79857.09
  32. 심정신(2019).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자신감,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플립러닝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541-549. DOI : 10.21184/jkela.2019.12.13.8.541.
  33. 김정희. (2016).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을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김정희, 김현영. (2017).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요구 분석 및 시나리오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429-448. DOI : 10.22251/jlcci.2017.17.1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