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Trend of Korean Creative Dance by Analyzing Research Topics : Application of Text Mining

연구주제 분석을 통한 한국창작무용 경향 탐색 : 텍스트 마이닝의 적용

  • Received : 2020.07.21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end of phenomena and trends in research are contextually consist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 of dance through the subject analysis of the Korean creative dance study by utilizing text mining. Thus, 1,291 words were analyzed in the 616 journal title, which were established on the paper search website. The collection, refining and analysis of the data were all R 3.6.0 SW. According to the study, keywords representing the times were frequently used before the 2000s, but Korean creative dance research types were also found in terms of education and physical training. Second, th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the dance troupe's performance was high after the 2000s, but it was confirmed that Choi Seung-hee was still in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study of Korean creative dance. Third, an analysis of the overall research subjects of the Korean creative dance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on 'Art of Choi Seung-hee in the modern era' was the highest proportion. Fourth, the Hot Topics, which are rising as of 2000, appeared as 'the performance activities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 and 'the choreography express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dance'. However, since the recent trend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s performance is advocating 'modernization based on tra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rend of Korean creative dance since the 2000s has been focused on the use of traditional dance motifs. Fifth, the Cold Topic, which has been falling as of 2000, has been shown to be a study of 'dancing expressions by age'. It was judged that interest in research also decreased due to the tendency to mix various dance styl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enre of Korean creative dance.

이 연구는 현상의 흐름과 연구의 경향이 맥락적으로 일치한다는 가정을 바탕에 두고 있다. 이에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한국창작무용 연구의 주제 분석을 통해 춤의 경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논문 검색 웹사이트에 구축되어 있는 616편의 논문제목에서 1,291개의 단어를 분석하였다. 데이터의 수집 및 정제, 분석은 모두 R 3.6.0 SW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0년대 이전에는 시대를 나타내는 키워드가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으나 교육 및 신체훈련 측면에서의 한국창작무용 연구유형도 발견되었다. 둘째, 2000년대 이후에는 무용단의 공연활동과 관련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최승희가 여전히 한국창작무용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한국창작무용 연구의 전체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근대시대 최승희의 예술', '현대 전통의 수용 양상과 가치', '전통춤의 안무적 표현 및 활용', '국립무용단의 공연 활동', '시대별 춤 표현',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총 6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다. 이 중 '근대시대 최승희의 예술'에 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00년을 기준으로 상승하고 있는 Hot 토픽은 '국립무용단의 공연 활동'과 '전통춤의 안무적 표현 및 활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국립무용단의 공연 기조가 '전통을 기반으로 한 현대화'를 표방하고 있으므로 2000년대 이후 한국창작무용의 경향이 전통춤을 모티프로 한 안무적 표현과 그 활용에 공통적으로 집중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2000년을 기준으로 하락하고 있는 Cold 토픽은 '시대별 춤 표현'에 관한 연구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창작춤의 장르적 정착 이후 다양한 춤 스타일의 혼재에 따른 경향으로 연구에 대한 관심도 역시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지영(2013). 국내 학술지 등재제도 개선에 따른 무용학회 운영의 선진화 방안: KCI 학술지 내용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32(2): 249-276.
  2. 김기화, 김지영, 백현순(2019). 재인(才人)계열 춤의 전형성: 이동안류 춤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37(2), 51-72. https://doi.org/10.15726/JKD.2019.37.2.003
  3. 김태원(2019). 한국창작춤의 네 단계 변모와 그 미학. 공연과 리뷰, 24(4), 36-65.
  4. 최윤실(2020). 한국창작춤의 작품 경향 연구: 한국무용제전 참가작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윤덕경(2006). 한국춤 연구에 관한 맥락적 고창: 한국무용연구회의 25년간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24(1), 5-36.
  6. 이연수, 박윤지(2020). 스크린무용예술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통해 바라본 스크린무용 예술의 방향성. 한국무용학회지, 20(1), 13-23. https://doi.org/10.26743/KAOD.2020.20.1.002
  7. 추나영(2017). 한국무용학회지 연구동향 분석. 한국무용학회지, 17(2), 57-66.
  8. 이보름, 김기화(2018). 한국 일무의 연구동향과 성과. 한국무용연구, 36(1), 75-100. https://doi.org/10.15726/JKD.2018.36.1.004
  9. 양효순(2011). 한국무용분야 학술연구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우경, 유지영(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무용 연구주제 동향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3(5), 215-228.
  11. 김미경(2020). '한국무용'장르의 연구동향. 한국무용연구, 38(2), 29-51. https://doi.org/10.15726/JKD.2020.38.2.002
  12. 김미경(2020). '한국무용'장르의 시계열적 동향분석. 한국측정평가학회지, 22(2), 1-13.
  13. 정재만(1982). 공동작업이 무용창작에 미치는 영향: 흥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1(1), 91-109.
  14. 김나영(1990). 1980년대 창작 한국춤에 대한 미시적 분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12, 175-203.
  15. 황서이, 황동열(2018).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술경영 연구동향 분석. 예술경영연구, 47, 5-29.
  16. 정세라(2015). 시대적 패러다임을 통해 본 국립 무용단 극무용의 흐름과 무대 표현양상 변화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헤럴드경제(2020.05.29). '지젤', '제의', 코로나 19 재확산에 국립예술단체 공연 줄취소.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529000679
  18. 황서이, 박정배(2020). '한류' 경향에 관한 국내 언론 기사 빅데이터 분석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4(5),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