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Healthcare-Related Major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보건계열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Ju, Eun-Sol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a University of Health) ;
  • Bang, Yo-So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gju University) ;
  • Oh, Eun-Ju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a University of Health)
  • 주은솔 (동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 방요순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오은주 (동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20.07.21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related fields with their major and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 subjects were 180 college students who had completed clinical practice as part of their healthcare-related majors at C University in A-gun, B-do Province. Their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2 and March 5, 2020; 16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Questionnaires with missing or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ents showed a mean of 3.99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3.33 points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3.71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produc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those with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also present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ealthcare-relat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with clinical practice should be enhanced to increas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본 연구는 보건계열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를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도 B군에 위치한 C대학교 보건계열 재학생 중 임상실습을 이수한 180명의 대학생들이다. 3월 2일부터 5월 29일까지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연구를 위한 설문지에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누락이 있는 것을 제외한 총 16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계열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평균은 3.99점, 진로결정수준의 평균은 3.33점, 임상실습만족도 평균은 3.71점이었고,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수준,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도 높았다. 따라서 보건계열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여야 함을 제안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박수길, 이영희(2002).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41-160.
  2. 배성숙, 노희진, 문소정(2014).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5(1): 45-59.
  3. 양은주(2017).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예술교육연구, 15(4): 55-74.
  4. 후맹함, 김영현(2018). 재한 중국유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43(1): 275-299. https://doi.org/10.32780/KTIDOI.2018.43.1.275
  5. 유봉민(2011). 취업스트레스, 진로태도성숙 및 정신건강의 관계 :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강민정(2015).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구조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채민정, 정효주(2016).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임상실습 만족도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3): 213-222.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3.213
  8. 문인오, 이경완(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83-91.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83
  9. Milsom, A., & Coughlin, J.(2015). Satisfaction with College Major: A Grounded Theory Study. NACADA Journal, 35(2): 5-14. https://doi.org/10.12930/nacada-14-026
  10. 강정원(2018).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299-315.
  11. 박현희, 김순이(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6): 369-378.
  12. Nauta, M.M.(2007). Assess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5(4): 446-462. https://doi.org/10.1177/1069072707305762
  13. 윤정헌(2013). 관광전공 선택요인, 전공만족 및 학습태도와 성취도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5(4): 239-257.
  14. 이향숙, 노종수, 추민숙(2010).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따른 전공취업에 대한 인식 변화.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8(1): 107-120.
  15. 권혜진, 김보람, 신혜원(2009). 서울지역 4년제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유.무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이화간호학회지, 43: 41-50.
  16. 안병덕, 신원우(2016).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의 전공 관련만족도 및 자원봉사경험이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3): 293-314.
  17. 구현영, 임형석(2013).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311-32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11
  18. 김가미, 소용준, 박준성(2018).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9(1): 63-83.
  19. 김보람, 김봉환(2015). 진로탐색집단상담프로그램이 학업중단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8(2): 1-22.
  20. 손은령, 이순희(2012). 대학생의 낙관성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5(3): 181-199.
  21. 이윤우(2010). 직업카드를 활용한 여대생의 집단 진로탐색활동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3(1): 119-133.
  22. 정효경, 곽동주, 이종도(2016). 치기공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기공학회지, 38(4): 353-363. https://doi.org/10.14347/KADT.2016.38.4.353
  23. 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 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동재(2004).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Osipow, S.H., Carney, C.G., & Barak, A. (1976).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2): 233-243.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81-6
  26. 고향자(1993).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조결자, 강현숙(1984).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14(2): 63-74.
  28. 이순희, 김숙영, 김정아(2004). 간호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행정학회지, 10(2): 219-231.
  29. Hayes, A.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30. 이송현(2016).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현숙(2019).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7): 359-368. https://doi.org/10.14400/JDC.2019.17.7.359
  32. 양명희, 박명지, 김희정(2010).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직업흥미 수준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9(2): 137-156.
  33. 이미선, 김한나(2019).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상담이 전공일치 취업결정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취업진로연구, 9(1): 33-53.
  34. 박영기(2016). 교육과정 중 현장실습이 진로 결정과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 - 관광관련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 호텔리조트연구, 15(4): 593-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