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ddle Aged's Dementia Knowledge, Attitudes and Needs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중년층의 치매지식, 태도 및 치매예방교육 요구도

  • 김혜정 (목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20.06.24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is study was execute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which improves knowledge for dementia prevention of the middle aged and enhances positive attitude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apply to communities by inquiring into the middle aged's dementia knowledge, attitudes and needs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18 people aged 40 to 64 in N city from October 15th to November 30th 2018. For data analysi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pplied. The study result displayed that the score of the middle aged's dementia knowledge was above average(9.13±2.20). The question 'Dementia is a disease.' earned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88.1%), whereas the question 'Dementia is caused by medical, neurologic or psychiatric disorders.' earned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30.3%). The scores of attitudes towards dementia(34.33±5.69) and needs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23.58±3.46) were above average.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s dementia and needs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r=.275, p<.000).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positive attitudes towards dementia had a close relation with needs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These findings implies that there will be a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bout dementia for the middle aged and seek proper political improvements of dementia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the country.

본 연구는 중년층의 치매지식, 태도 및 치매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중년층의 치매예방을 위한 지식 향상과 긍정적 태도 강화를 통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적용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N시에 거주하는 40세~64세의 중년층 218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층의 치매지식 평균점수는 중간이상 수준(9.13±2.20)이었다. 치매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치매는 병이다' 88.1%이었고 '치매는 내과, 신경과, 정신과 질환 등의 병에 의해 걸린다' 30.3%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치매에 대한 태도(34.33±5.69), 치매예방교육 요구도(23.58±3.46)는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치매에 대한 태도와 치매예방교육 요구도((r=.275, p<.000)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치매예방 교육요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층의 치매관련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와 국가가 함께 상호 협력하여 치매에 대한 바람직한 정책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황민지, 방요순(2019). 선택형 인지자극프로그램 훈련이 경도치매노인의 인지, 일상생활 활동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3(7): 521-529.
  2. 이은지, 조미경(2017). 지역주민의 치매 인식도, 치매태도 및 우울에 대한 조사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23(2): 180-189. https://doi.org/10.14370/JEWNR.2017.23.2.180
  3. 중앙치매센터(2018). https://www.nid.or.kr. 대한민국 치매현황.
  4. 중앙치매센터(2019). https://www.nid.or.kr. 대한민국 치매 현황.
  5. 보건복지부(2015). https://www.mohw.go.kr
  6. 문정희, 조인주(2017). 중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인문사회과학연구, 18(1): 407-433. https://doi.org/10.15818/IHSS.2017.18.1.407
  7. 이주영(2019). 중년 성인의 치매관련 지식과 낙관적 편견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영휘, 우선미, 김옥란, 이수연, 임혜빈 (2009).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치매지식, 태도, 자기효능과 예방행위와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1(6): 617-627.
  9. 박미정, 오두남, 문혜경(2018).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와 치매예방 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653-663.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653
  10. 김중환(2016). 농촌지역 중.장년층의 치매태도와 치매지식에 따른 치매예방행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효정, 양재석(2016). 치매케어 제공자의 치매관련 직무특성, 치매태도와 치매 케어 자신감의 관계. 한국노년학, 36(1): 137-149,
  12. Boustani, M. A., Hsieh, M. D., Frame, M. G., Aaustrom, A. J., Perkins, X., Cai, G. A., Sachs, A. M., Torke, P., Monahan, H. C., hendrie.(2011). Caregiver and Noncaregiver Attitudes Toward Dementia Screening. Journal of the Amercican Geriatric Society, 59(4): 681-686.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1.03327.x
  13. 송영희(2002). 중년의 치매에 관한 인식과태도: 사오십대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황은혜, 김보경, 김혜린(2013), 청소년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재활간호학회지 16(2): 133-140. https://doi.org/10.7587/kjrehn.2013.133
  15.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16. 박선남, 임희수(2020). 성인의 치매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347-356. https://doi.org/10.14400/JDC.2020.18.4.347
  17. 양은미(2019).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치매예방교육요구에 미치는 영향: 노화불안과 치매두려움의 매개효과 검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이주연(2014). 중.장년 여성의 치매인식도와 치매예방 교육요구도 조사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19. 하은호(2018). 간호대학생의 치매 교육요구도 영향요인. 한국기술학회논문지, 19(3): 353-363.
  20. 이경희, 정은서(2018). 치과위생사와 치위생학과 교수위 치매에 대한 지시 및 태도와 교육요구도. 한국치위생학회지, 18(4): 547 -560.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49
  21. 조현오(1999). 치매에 대한 일반인의 지식과 태도 조사연구. 한양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희정, 김지숙(2019). 중년층의 치매정책지식, 치매지식, 치매태도와 치매예방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대회, 339-344.
  23. 김경미(2015). 도농복합시 노인의 지역에 따른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인자(2001). 일반노인의 치매지식정도 조사연구. 한림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오봉욱(2016). 사이버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5(1): 111-127.
  26. 김경숙(2012). 제주시민의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연구. 제주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혜경(2017). 농촌지역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지식과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선우홍미(2014).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김혜정, 노은아(2018). 뇌블럭 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7-197.
  30. 장윤정(2014). 치매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관한 한일비교: 노인입소시설 케어워커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회지, 34(2): 334- 348.
  31. Burgener, S. C., Twigg, P.(2002). Interventions for persons with irreversible dementia.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20(1): 89-124. https://doi.org/10.1891/0739-6686.20.1.89
  32. Alushi, L., Hammond, J. H., Wood.(2015). "Evaluation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s for pre-registration bealthcare students-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35(9): 992-998. https://doi.org/10.1016/j.nedt.2015.04.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