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Regarding Education Method on Idiomatic Expressions Appearing in the Korean Drama fo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드라마 <도깨비> 속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 Received : 2020.06.23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to improve the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make learning more interesting and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drama, , which was popular in Korea, was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Since idomatic language is formed and used based on Korean history, culture, and social background, dramas containing Korean culture and sentiments can be said to be suitable material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By analyzing the drama , 277 significant vocabularies were extracted from the drama based on vocabulary actually used. Among these, 124 idiomatic expressions were extracted after excluding overlapping expressions. Idiomatic expressions extracted in this way were classified based on vocabulary used more than 2 times. In addition, in order to select idiomatic expressions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learners, 46 final express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vocabulary. Lastly, when the materials selected in the drama were used for education, the precau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on idiomatic language were classified into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grades and presented.

이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드라마를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여 한국어 관용표현의 효율적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흥미와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한국에서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도깨비>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였다. 관용표현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 사회적 배경을 통해 형성되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문화와 정서가 담겨있는 드라마는 관용표현의 교수·학습에 적합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용 관용표현을 선정하기 위해 드라마 <도깨비>를 분석하여 실제 발화된 어휘를 바탕으로 드라마 내에서 277개의 유의미한 어휘를 추출하였다. 그중 중복 표현된 어휘를 제외하고 기준으로 124개의 관용표현을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관용표현은 사용 빈도 2회 이상의 어휘를 기본으로 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는 교육용 관용표현 선정을 위해 어휘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최종 한국어 교육용 관용표현 46개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드라마 <도깨비>에서 선정한 자료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때 교수·학습의 유의사항과 초급, 중급, 고급 등급별 관용표현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김천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것임(gc18065).

References

  1. 강현화 외(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 박해숙(2009). 속담의 문화적 배경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문금현(2001).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국어교육, 105:233-262.
  4. 윤은미.우인혜(2017).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새국어교육, 110:213-245.
  5. 유경수, 홍웅기(2011).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시크릿 가든>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49:291-328.
  6. 장훼이메이(2014). 한국 드라마를 활용한 감정표현 관용어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정희(1999). 영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0(1):221-240.
  8. 신혜원, 김은아, 김은영(2006),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의 실제. 한국어교육, 17(1):265-286.
  9. 박명실(2010).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양순(2014).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세종학당재단(2016). 세종학당 연차보고서. 세종학당재단.
  12. 김혜정(2017). 한류 드라마에 나타나는 설화적 질서와 논리. Journal of korean Culture 39:147-179.
  13. 닐슨코리아(2017). http://www.nielsenkorea.co.kr/
  14. 심재기(1986).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론적 연구, 관악어문연구, 11:27-54.
  15. 문금현(1999). 국어의 관용표현 연구. 서울. 태학사.
  16. 김현진(2015). 한국어 교육용 관용 표현 연구. 한국어와 문화, 17:99-129.
  17.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18.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2009).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19. 강현화(2012, 2013, 2014).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1단계, 2단계, 3단계. 국립국어원.
  20. 김의준(2019). 김은숙 드라마 <도깨비>의 몰입기제 구축과정 분석 - 관람자 예측성과 가설 구성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2):79-91.
  21. 김옥분(2000). 신체어 관용구의 인지. 한국학연구, 11:33-50.
  22. 문금현(1998).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이중언어학, 15:295-326.
  23. 안주호(1997).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24. 조동주(2018).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김열규(2003). 도깨비와 귀신 ; 한국의 남과 여. 한국학논집, 30:205-220.
  26. 정염방(2017). 실생활 한.중 언어문화 표현양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 논문지, 11(6):20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