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Returned Farming Infrastructure and Returned Farming Characteristics on the Satisfaction after Returning Farming

귀농 인프라와 귀농자의 특성이 귀농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i-Hu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Future College, Seowon University) ;
  • Kim, Myung-Soo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Future College, Seowon University)
  • 이지훈 (서원대학교 미래대학 경영학전공) ;
  • 김명수 (서원대학교 미래대학 경영학전공)
  • Received : 2020.03.19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rough this study, the policy proposals were intended to be presented to the head of the farming policy.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judging the returning farmer on his own, he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to consult with his family and increase access to agriculture. Second, by opening up SNS and YouTube to returning farmers, they should instill confidence in rural areas by providing them with information about the joy of rural life and the success of farming so that they can easily access information about rural life through villages, youth associations and women's associati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vibrant rural areas by providing infrastructure around farmland, providing various amenities for settling young people and forming a family farmers' association. Third, the head of the return farming policy should come up with customized support policies for the return farming (e.g., one-year farm support, free farm support, institutional sales guarantee, tourism in advanced countries, modernization of farmland facilities). Public relations strategies should also be strengthened so that such policies can lead to agriculture.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bsidized economic activities (e.g. Airbnb, donation of expertise and work-related personnel before returning home, rural experience, etc.).

본 연구는 귀농 준비, 귀농지 주변환경, 귀농 지원 정책, 가족 지지도, 귀농 의도가 귀농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귀농 지원정책 담당자들에게 귀농 장려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적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귀농자들이 혼자 판단하기 보다는 충분히 가족들과 상의할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고, 귀농의 준비를 다양화함으로써 귀농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귀농지 주변에 대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마을 주민과 청년회 및 부녀회 등을 통해 농촌생활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SNS, 유튜브 등을 개설하여 귀농생활의 즐거움과 귀농성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귀농에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젊은 층이 귀농 및 귀농 정착을 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 시설 제공, 귀농자 모임 결성 등을 통해 젊은 농촌 만들기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귀농 정책 담당자는 귀농자에 대한 맞춤형 지원 정책(예: 1년간 귀농해보고 정착하기, 농지 무상지원, 기관에서 판로 확보 보증제, 선진국 견학, 농지 시설현대화 지원 100% 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책이 귀농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홍보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농사 외에 부수적인 경제 활동꺼리(거주지에 대한 숙박 제공-에어비앤비, 귀농 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직장 업무와 관련된 재능 기부, 농촌 체험 등)등을 할 수 있도록 귀농자들에게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문호, 오내원, 임지은. (2012).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귀농.귀촌 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189.
  2. 농림식품부장관. (2018.9.11.). [기고] 도시농부가 부르는 신(新)농가월령가.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9112126005&code=990304
  3. 이지흠, 하규수. (2017). 귀농 귀촌에서 귀농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12(5): 39-53.
  4. 황서연 기자. (2019.03.28.). 귀농 80%는 실패, 막연히 가면 망한다. 티브이데일리(TV Daily).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5537326321445707002
  5. 서규선,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7-153.
  6. 이동하. (1998). 귀농자의 농촌적응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시자. (2010). 귀농자의 안정적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조영재, 조은정. (2013). 농촌지역 귀농.귀촌인 정주현황 및 커뮤니티실태 분석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9(4): 191-202.
  9. 이정화, 강경하, 윤순덕, 박공주. (2005). 도시 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 의사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5(3): 139-153.
  10. 임혜영. (1999). 귀농자의 적응과 복지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병관. (2019). 귀농.귀촌 거주자의 도시회귀 의향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2. 강대구. (2007). 귀농동기에 따른 귀농정착 과정. 한국농업교육학회, 39(1): 59-98.
  13. 정윤길, 이준호. (2005). 역할스트레스와 역할 내.외 성과간 관계 및 조직기반 자긍심의 조절효과.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7(2): 167-186.
  14. 이명호, 송두한, 허훈. (2013).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정부예산의 효율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15. 강대구. (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 방안연구. 농림부.
  16. 권은희. (2003).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관한 연구: 개인 및 가족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다음 백과사전. (2020).
  18. 박은경. (2008). 귀농인 이주 만족도 조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선영. (2013). 저소득층의 긍정적 정서 및 우울감과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 및 조절역할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0(0): 189-214.
  20. 오수호. (2012). 귀농.귀촌 가구의 이주 정착 특성과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진양명숙, 김주영. (2014). 도시민 농촌 이주에 나타난 농촌성 담론 분석. 농촌사회, 24(2): 123-160.
  22. 진명숙, 박성정. (2012). 귀농.귀촌여성의 농촌 생활 경험 분석. 여성연구, 83(2): 275-297.
  23. 서병숙, 이현. (1995). 사회적 지원망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3(3): 43-57.
  24. 허철무. (2014). 귀농자의 귀농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김경호, 정성호. (2018). 귀농.귀촌인의 농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학회, 19(1): 5-26.
  26. 이지훈. (2017). 캐릭터 스토리의 독창성과 캐릭터의 매력성 및 친근성이 캐릭터 재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6): 47-56.
  27. Nunnally, J.C. (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URL:https://books.google.co.in/books/about/Psychometric_theory.html?id=WE59AAAAMAAJ
  28. Bagozzi, R.P., & Yi, Y. (199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29. Challagalla. G.N., & Shervani, T.A. (1969). Dimension and Type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60(1): 89-105. https://doi.org/10.2307/1251890
  30. Singh, J., & Rhoads, G.K. (1991). Boundary Role Ambiguity in Marketing Oriented Positions: A Multidimensional, Multifaceted Operationaliz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3): 328-338. https://doi.org/10.2307/3172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