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조성비를 지원받음.
참고문헌
- 강한빛, 이주엽. (2017). 성인에서의 상완신경총 손상. 대한의학협회지, 60(12): 971-977.
- 윤병남, 최성혜, 나정호, 성정준, 마은주, 이광우. (2014). 목맴 후 발생한 양측 팔신경얼기손상: 증례보고. 대한외상학회지, 27(3): 79-83.
- 이석진. (2008). 팔신경얼기 손상과 재건에 관련된 말단신경의 형태학적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승범, 이재호, 최인장, 최우익, 진상찬. (2017). 겨드랑동맥의 분지의 형태에 따른 어깨밑동맥의 변이. 대한체질인류학회지, 30(3): 71-76.
- Tessler, J., & Talati, R. (2020). Axillary Nerve Injury. StatPearls Publishing.
- Galvin, J.W., & Eichinger, J.K. (2016). Outcomes Following Closed Axillary Nerve Injury: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ilitary Medicine, 181(3): e291-e297 https://doi.org/10.7205/MILMED-D-15-00205
- Frizziero, A., Vittadini, F., Del Felice, A., Creta, D., Ferlito, E., Gasparotti, R., & Masiero, S. (2019). Conservative Treatment after Axillary Nerve Re-Injury in A Rugby Player: A Case Report.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5(4): 510-514.
- Princeton University. Shoulder Rehabilitation Treatment Includes Activity Modification,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the Affected Limb. www.princeton.edu/2020.3.23
- 김영준, 김태령, 우창훈, 신병철. (2018). 상지말초신경손상에 대한 침술치료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학회지, 28(2): 73-82.
- 성혜련, 양점홍, 김미숙, 강문선, 강주성. (2005). 스위스 볼 운동이 양로원 남성 고령자의 기능적 체력 및 자세동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3(1): 91-99.
- Willardson, J.M. (2007). Core Stability Training: Applications to Sports Conditioning Program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19(3): 979-958.
- Michael, M., & Andre Noel, P. (2000). The Great Body Ball Handbook(2nd ed). Productive Fitness Products.
- 이호정. (2006). 탄성밴드 및 스위스 볼 운동이 뇌성마비아 보행의 운동역학적 변인과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승철. (2008). 12주간의 스위스 볼(Swiss Ball) 운동이 노인의 건강체력과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채정훈. (2006). 스위스 볼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친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명수. (2015). 팔신경얼기에서 분지되는 신경가지의 형성과 분포.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우정수, 허미선, 김호정, 이규석. (2011). 허리엉치신경얼기의 말단가지를 이루는 척수신경구성.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4(2): 97-103.
- 방종호. (2014). 성공적인 겨드랑신경 신경이전술을 위한 겨드랑신경과 노신경 위팔세갈래근가지의 국소해부학 및 형태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승호, 남용석, 곽대순, 지종훈. (2009). 어깨관절경 수술을 위한 어깨위신경과 겨드랑신경의 해부학적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 학술대회 연제초록, 52: 511.
- 김수정, 정소영, 김현주, 유진, 양희준, 이혜연. (2017). 아홉째분절 기원 겨드랑동맥의 변이와, 동반된 팔신경얼기의 변이 보고. 대한체질인류학회 학술대회 연제 초록, 60: 5.
- 김승범, 이인식, 임정훈, 고성은, 이종민, 김세원, 박진영. (2009). 자기공명영상술로 진단된 겨드랑신경 단독손상-증례보고.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11(2): 136-140.
- 민진기, 정상우, 조용현, 홍성기, 윤종현, 최영구. (2007). 겨드랑 접근법을 이용한 팔신경얼기 차단 시 원위부 압박띠 적용의 효과. 대한마취과학회지, 52(3): 291-295.
- 조수영. (2013). 전신 마취하에 관절경하 어깨 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해변 의자 자세로 발생한 저혈압에 Vasopressin의 용량의존성 예방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심준우, 오덕자. (2017). 스위스 볼 운동이 30대 만성요통 여성근로자의 체력, 기능적 움직임 및 허리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4): 1329-1339.
- 이유진. (2014). 스위스 볼 프로그램이 경도인지 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하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방주희. (2016). 테라테인먼트 과제지향 스위스 볼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균형, 기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4): 93-104.
- 임미정. (2009). 스위스 볼을 이용한 체간운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손 기민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Kisner C., & Colby, L.A. (1990). Therapeutic exercise. F.A Davis Company.
- Lehman, G.J., Gordon, T., Langley, J., Pemrose P., & Tregaskis, S. (2005). Replacing a Swiss Ball for and Exercise Bench Causes Variable Changes i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Upper Limb Strength Exercise. Dynamic Medicine, 4(6): 1-7. https://doi.org/10.1186/1476-5918-4-1
- 김지훈, 손경현, 방주희. (2016). 테라테인먼트를 위한 목어깨의 스위스볼 운동이 거북목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1): 111-123.
- 서지윤, 최종덕. (2016). 볼을 이용한 감각운동 훈련이 유방암 절제술 후 여성의 어깨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11(4): 147-156. https://doi.org/10.13066/kspm.2016.11.4.147
- 최임락. (2011). 치료용 볼을 이용한 Wallpush-up-plus 운동 시 자세와 지지면의 변화가 어깨와 체간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 한경옥. (2013). 영상관법이 신체변형장애에 미친 효과: 단일사례연구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 11: 51-65.
- 장금주. (2012). 리다명상이 만성 불안장애 감소에 미친 효과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동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Solway, S. (2002). The DASH Outcome Measure User's Manual: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econdedition. Institute for Work & Health.
- Lee, J.Y., Lim, J.Y., Oh, J.H., & Ko, Y.M. (2008).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Outcome Questionnaire(K-DASH).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7(4): 570-574. https://doi.org/10.1016/j.jse.2007.12.005
- 장현정, 김선엽, 전재국, 신의주. (2013). 비특이성 경부통 환자의 경부통/경부기능장애와 상지 기능장애 간의 상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6): 2862-2868.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862
- 김규상. (2009). 상지 근골격계 기능장애 평가 도구 DASH의 고찰.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2): 156-169.
- 임재영, 송주현, 이한용, 이주엽, 강준원. (2005). 한국어 DASH 설문지의 신뢰도, 타당성 및 반응성. 대한수부외과학회지, 10(4): 192-198.
- Roach, K.E., Budiman-Mak, E., Songsiridej, N., & Lertratanakul, Y. (1991). Development of 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rthritis & Rheumatism, 4(4): 143-149. https://doi.org/10.1002/art.1790040403
- 서현두, 이관우, 정경심, 정이정. (2012). 한국어판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2): 319-336.
- 작업치료교재편찬위원회. (2013). 측정 및 평가. 범문에듀케이션.
- 김유정, 김수미. (2014). 밴드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악력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361-368.
- 이혜림, 김주성, 조수민. (2018).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이 어깨수술 후 통증, 관절운동범위 및 운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4): 409-421. https://doi.org/10.15207/JKCS.2018.9.4.409
- Tyler, T.F., Roy, T., Nicholas, S.J., & Gleim, G.W. (199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ew Method of Measuring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9(5): 270-274.
- Vincent, J., Traywick, L., & Washburn, L.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s We Age Strength Training With Medicine Balls. http://www.uasex.edu/2020.3.23
- 김희주, 강영심, 박지윤. (2015).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세차 직무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장애와 고용, 25(1): 55-78.
- 강동근, 박정연, 정주하, 박정준. (2015). 노인의 기능적 체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 수중운동프로그램 개발. 운동과학, 24(3): 415-423.
- 구향남, 이병인. (2015). 보드게임을 활용한 또래 활동이 장애위험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0(1): 199-211.
- 김용석, 고은숙, 권구영, 박경애, 손현미, 장정연, 정은하, 진혜경, 한상미, 홍지영. (2007). 실천평가: 책임성 있는 전문가를 위한 길잡이. 시그마프레스.
- 김대건. (2016). 경도인지장애 어르신을 위한 인지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1): 107-128.
- 김영종. (2009). 사회복지 조사방법론. 학지사.
- 대한정형외과학회. 상완신경총손상. https://www.koa.or.kr/2020.3.23
- Steinmann, S.P., & Moran, E.A. (2001). Axillary Nerve Injury: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9(5): 328-335. https://doi.org/10.5435/00124635-200109000-00006
- Balakrishnan, R., Yazid, E., & Mohamad Fazlee Bin, M. (2016). Effectiveness of the Core Stabilisation Exercise on Floor and Swiss Ball on Individual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Health, 3(1): 347-356.
- 정명균, 안왕훈, 조혜영. (2010). 스위스 볼을 적용한 체간안정화 운동이 외상성 뇌손상환자의 자세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1(2): 845-852.
- 노재귀, 조성초, 김광균, 안대섭, 김종수. (2008). Swiss Ball 운동이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6(4): 303-312.
- Moezy, A., Sepehrifar, S., & Solaymani Dodaran, M. (2014).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based Exercise Therapy on Pain, Posture, Flexibility and Shoulder Mobility in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 Controlled Randomized Clinical Trial. Medical Journal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28.87: 1-15.
- Park, Y.H., Sung, Y.B., & Lee, J.H. (2015). Effects of Swiss Ball Exercise on Functional Activity and Pain in Shoulder Dislocation Patient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88: 204-207. https://doi.org/10.14257/astl.2015.88.43
- University of Western States. Shoulder Exercises: Building Strength and Endurance. www.uws.edu/2020.3.23
- Badcock, L.J., Lewis, M., Hay, E.M., McCarney, R., & Croft, P.R. (2002). Chronic Shoulder Pain in the Community: A Syndrome of Disability or Distres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61(2): 128-131. https://doi.org/10.1136/ard.61.2.128
- Boudreau, S., Boudreau, E.D., Higgins, L.D., & Wilcox, R.B. (2007). Rehabilitation Following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7(12): 734-743. https://doi.org/10.2519/jospt.2007.2562
- Ahn, J.A., Kim, J.H., Bendik, A.L., & Shin, J.Y. (2015).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A Swiss Ball on Neck-Shoulder Pain and Mobility of Adults with Prolonged Exposure to VDTs.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4): 981-984. https://doi.org/10.1589/jpts.27.981
- Beate, C. (1998). The Swiss Ball: Theory, Basic Exercises and Clinical Application. Pringer-Verlag.
- Granacher, U., Gollhofer. A., Hortobagyi. T., Kressig R.W., & Muehlbauer, T. (2013). The Importance of Trunk Muscle Strength for Balance, Functional Performance, and Fall Prevention in Seniors: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icine, 43(7): 627-641. https://doi.org/10.1007/s40279-013-0041-1
- Kwak, Y.S., Um, S.Y., Son, T.G., & Kim, D.J (2008).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Senile Dementia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9(6): 471-474. https://doi.org/10.1055/s-2007-964853
- Duncan, R.L, & Turner, C.H. (1995). Mechanotransduction and the Functional Response of Bone to Mechanical Strain.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57(5): 344-358. https://doi.org/10.1007/BF00302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