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테라테인먼트 스위스 볼 운동이 겨드랑신경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 통증 및 장애,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개별대상연구

The Effect of Theratainment Swiss Ball Exercise on the Upper Limb Function, Pain and disability, Daily Activities of a Patient with Axillary Nerve Injury: Single Subject

  • 손보영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 방요순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Son, Bo-You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Bitgoeul Hospital Occupational Therapy) ;
  • Bang, Yo-So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gju University)
  • 투고 : 2020.03.20
  • 심사 : 2020.04.27
  • 발행 : 2020.04.30

초록

본 연구는 테라테인먼트 스위스 볼 운동이 겨드랑 신경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 통증,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9년 11월 5일부터 2020년 2월 25일까지 G광역시에 거주하는 23세 여성 1명으로, 개별사례실험 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겨드랑신경 손상 환자에게 다양한 방향과 점진적 무게의 운동 형태로 반복 훈련을 제공하였다. 이는 어깨의 구조의 안정성, 가동성을 높이고, 사용가능한 어깨 기능을 강화시켜 통증을 완화에 효과적이었고 다양한 환경 안에서 활동에 따른 자세 변화의 적응력과 대응능력을 발휘하게 하여, 최대한의 독립적 생활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테라테인먼트 스위스 볼 운동은 겨드랑신경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 통증 및 장애,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기에 중재방법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환자치료에 전문성을 요구하는 작업치료사의 치료적 접근법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조사와 반복연구를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theratainment swiss ball exercise on the upper limb function, pain, and daily activities of a patient with axillary nerve injury. The research duration was from November 5th, 2019 to February 25th, 2020. The research subject was a 23-year-old female patient living in the metropolitan city of G in South Korea, and the A-B-A' type of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repeated training was provided to the patient in the form of exercises employing different directions and gradually increased weights. The training increased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mobility of the shoulder and was effective for pain relief as it strengthened shoulder function. The training helped the subject improve her posture change adaptability and reaction ability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ultimately enabled her to increase and maximize her performance of independent daily activities. This study thus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Swiss ball exercise on the upper limb function, pain and disability, daily activities of a patient with axillary nerve injury and confirmed the potential of the exercise as an intervention method. Continued investigation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 of the Swiss ball exercise will be required for it to be used professionally as a therapeutic approach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treating a variety of patient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조성비를 지원받음.

참고문헌

  1. 강한빛, 이주엽. (2017). 성인에서의 상완신경총 손상. 대한의학협회지, 60(12): 971-977.
  2. 윤병남, 최성혜, 나정호, 성정준, 마은주, 이광우. (2014). 목맴 후 발생한 양측 팔신경얼기손상: 증례보고. 대한외상학회지, 27(3): 79-83.
  3. 이석진. (2008). 팔신경얼기 손상과 재건에 관련된 말단신경의 형태학적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승범, 이재호, 최인장, 최우익, 진상찬. (2017). 겨드랑동맥의 분지의 형태에 따른 어깨밑동맥의 변이. 대한체질인류학회지, 30(3): 71-76.
  5. Tessler, J., & Talati, R. (2020). Axillary Nerve Injury. StatPearls Publishing.
  6. Galvin, J.W., & Eichinger, J.K. (2016). Outcomes Following Closed Axillary Nerve Injury: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ilitary Medicine, 181(3): e291-e297 https://doi.org/10.7205/MILMED-D-15-00205
  7. Frizziero, A., Vittadini, F., Del Felice, A., Creta, D., Ferlito, E., Gasparotti, R., & Masiero, S. (2019). Conservative Treatment after Axillary Nerve Re-Injury in A Rugby Player: A Case Report.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5(4): 510-514.
  8. Princeton University. Shoulder Rehabilitation Treatment Includes Activity Modification,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the Affected Limb. www.princeton.edu/2020.3.23
  9. 김영준, 김태령, 우창훈, 신병철. (2018). 상지말초신경손상에 대한 침술치료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학회지, 28(2): 73-82.
  10. 성혜련, 양점홍, 김미숙, 강문선, 강주성. (2005). 스위스 볼 운동이 양로원 남성 고령자의 기능적 체력 및 자세동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3(1): 91-99.
  11. Willardson, J.M. (2007). Core Stability Training: Applications to Sports Conditioning Program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19(3): 979-958.
  12. Michael, M., & Andre Noel, P. (2000). The Great Body Ball Handbook(2nd ed). Productive Fitness Products.
  13. 이호정. (2006). 탄성밴드 및 스위스 볼 운동이 뇌성마비아 보행의 운동역학적 변인과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승철. (2008). 12주간의 스위스 볼(Swiss Ball) 운동이 노인의 건강체력과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채정훈. (2006). 스위스 볼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친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강명수. (2015). 팔신경얼기에서 분지되는 신경가지의 형성과 분포.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우정수, 허미선, 김호정, 이규석. (2011). 허리엉치신경얼기의 말단가지를 이루는 척수신경구성.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4(2): 97-103.
  18. 방종호. (2014). 성공적인 겨드랑신경 신경이전술을 위한 겨드랑신경과 노신경 위팔세갈래근가지의 국소해부학 및 형태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승호, 남용석, 곽대순, 지종훈. (2009). 어깨관절경 수술을 위한 어깨위신경과 겨드랑신경의 해부학적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 학술대회 연제초록, 52: 511.
  20. 김수정, 정소영, 김현주, 유진, 양희준, 이혜연. (2017). 아홉째분절 기원 겨드랑동맥의 변이와, 동반된 팔신경얼기의 변이 보고. 대한체질인류학회 학술대회 연제 초록, 60: 5.
  21. 김승범, 이인식, 임정훈, 고성은, 이종민, 김세원, 박진영. (2009). 자기공명영상술로 진단된 겨드랑신경 단독손상-증례보고.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11(2): 136-140.
  22. 민진기, 정상우, 조용현, 홍성기, 윤종현, 최영구. (2007). 겨드랑 접근법을 이용한 팔신경얼기 차단 시 원위부 압박띠 적용의 효과. 대한마취과학회지, 52(3): 291-295.
  23. 조수영. (2013). 전신 마취하에 관절경하 어깨 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해변 의자 자세로 발생한 저혈압에 Vasopressin의 용량의존성 예방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심준우, 오덕자. (2017). 스위스 볼 운동이 30대 만성요통 여성근로자의 체력, 기능적 움직임 및 허리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4): 1329-1339.
  25. 이유진. (2014). 스위스 볼 프로그램이 경도인지 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하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방주희. (2016). 테라테인먼트 과제지향 스위스 볼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균형, 기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4): 93-104.
  27. 임미정. (2009). 스위스 볼을 이용한 체간운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손 기민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Kisner C., & Colby, L.A. (1990). Therapeutic exercise. F.A Davis Company.
  29. Lehman, G.J., Gordon, T., Langley, J., Pemrose P., & Tregaskis, S. (2005). Replacing a Swiss Ball for and Exercise Bench Causes Variable Changes i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Upper Limb Strength Exercise. Dynamic Medicine, 4(6): 1-7. https://doi.org/10.1186/1476-5918-4-1
  30. 김지훈, 손경현, 방주희. (2016). 테라테인먼트를 위한 목어깨의 스위스볼 운동이 거북목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1): 111-123.
  31. 서지윤, 최종덕. (2016). 볼을 이용한 감각운동 훈련이 유방암 절제술 후 여성의 어깨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11(4): 147-156. https://doi.org/10.13066/kspm.2016.11.4.147
  32. 최임락. (2011). 치료용 볼을 이용한 Wallpush-up-plus 운동 시 자세와 지지면의 변화가 어깨와 체간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33. 한경옥. (2013). 영상관법이 신체변형장애에 미친 효과: 단일사례연구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 11: 51-65.
  34. 장금주. (2012). 리다명상이 만성 불안장애 감소에 미친 효과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동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Solway, S. (2002). The DASH Outcome Measure User's Manual: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econdedition. Institute for Work & Health.
  36. Lee, J.Y., Lim, J.Y., Oh, J.H., & Ko, Y.M. (2008).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Outcome Questionnaire(K-DASH).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7(4): 570-574. https://doi.org/10.1016/j.jse.2007.12.005
  37. 장현정, 김선엽, 전재국, 신의주. (2013). 비특이성 경부통 환자의 경부통/경부기능장애와 상지 기능장애 간의 상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6): 2862-2868.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862
  38. 김규상. (2009). 상지 근골격계 기능장애 평가 도구 DASH의 고찰.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2): 156-169.
  39. 임재영, 송주현, 이한용, 이주엽, 강준원. (2005). 한국어 DASH 설문지의 신뢰도, 타당성 및 반응성. 대한수부외과학회지, 10(4): 192-198.
  40. Roach, K.E., Budiman-Mak, E., Songsiridej, N., & Lertratanakul, Y. (1991). Development of 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rthritis & Rheumatism, 4(4): 143-149. https://doi.org/10.1002/art.1790040403
  41. 서현두, 이관우, 정경심, 정이정. (2012). 한국어판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2): 319-336.
  42. 작업치료교재편찬위원회. (2013). 측정 및 평가. 범문에듀케이션.
  43. 김유정, 김수미. (2014). 밴드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악력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361-368.
  44. 이혜림, 김주성, 조수민. (2018). 어깨재활운동 융합프로그램이 어깨수술 후 통증, 관절운동범위 및 운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4): 409-421. https://doi.org/10.15207/JKCS.2018.9.4.409
  45. Tyler, T.F., Roy, T., Nicholas, S.J., & Gleim, G.W. (199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ew Method of Measuring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9(5): 270-274.
  46. Vincent, J., Traywick, L., & Washburn, L.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s We Age Strength Training With Medicine Balls. http://www.uasex.edu/2020.3.23
  47. 김희주, 강영심, 박지윤. (2015).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세차 직무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장애와 고용, 25(1): 55-78.
  48. 강동근, 박정연, 정주하, 박정준. (2015). 노인의 기능적 체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 수중운동프로그램 개발. 운동과학, 24(3): 415-423.
  49. 구향남, 이병인. (2015). 보드게임을 활용한 또래 활동이 장애위험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0(1): 199-211.
  50. 김용석, 고은숙, 권구영, 박경애, 손현미, 장정연, 정은하, 진혜경, 한상미, 홍지영. (2007). 실천평가: 책임성 있는 전문가를 위한 길잡이. 시그마프레스.
  51. 김대건. (2016). 경도인지장애 어르신을 위한 인지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1): 107-128.
  52. 김영종. (2009). 사회복지 조사방법론. 학지사.
  53. 대한정형외과학회. 상완신경총손상. https://www.koa.or.kr/2020.3.23
  54. Steinmann, S.P., & Moran, E.A. (2001). Axillary Nerve Injury: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9(5): 328-335. https://doi.org/10.5435/00124635-200109000-00006
  55. Balakrishnan, R., Yazid, E., & Mohamad Fazlee Bin, M. (2016). Effectiveness of the Core Stabilisation Exercise on Floor and Swiss Ball on Individual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Health, 3(1): 347-356.
  56. 정명균, 안왕훈, 조혜영. (2010). 스위스 볼을 적용한 체간안정화 운동이 외상성 뇌손상환자의 자세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1(2): 845-852.
  57. 노재귀, 조성초, 김광균, 안대섭, 김종수. (2008). Swiss Ball 운동이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6(4): 303-312.
  58. Moezy, A., Sepehrifar, S., & Solaymani Dodaran, M. (2014).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based Exercise Therapy on Pain, Posture, Flexibility and Shoulder Mobility in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 Controlled Randomized Clinical Trial. Medical Journal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28.87: 1-15.
  59. Park, Y.H., Sung, Y.B., & Lee, J.H. (2015). Effects of Swiss Ball Exercise on Functional Activity and Pain in Shoulder Dislocation Patient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88: 204-207. https://doi.org/10.14257/astl.2015.88.43
  60. University of Western States. Shoulder Exercises: Building Strength and Endurance. www.uws.edu/2020.3.23
  61. Badcock, L.J., Lewis, M., Hay, E.M., McCarney, R., & Croft, P.R. (2002). Chronic Shoulder Pain in the Community: A Syndrome of Disability or Distres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61(2): 128-131. https://doi.org/10.1136/ard.61.2.128
  62. Boudreau, S., Boudreau, E.D., Higgins, L.D., & Wilcox, R.B. (2007). Rehabilitation Following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7(12): 734-743. https://doi.org/10.2519/jospt.2007.2562
  63. Ahn, J.A., Kim, J.H., Bendik, A.L., & Shin, J.Y. (2015).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A Swiss Ball on Neck-Shoulder Pain and Mobility of Adults with Prolonged Exposure to VDTs.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4): 981-984. https://doi.org/10.1589/jpts.27.981
  64. Beate, C. (1998). The Swiss Ball: Theory, Basic Exercises and Clinical Application. Pringer-Verlag.
  65. Granacher, U., Gollhofer. A., Hortobagyi. T., Kressig R.W., & Muehlbauer, T. (2013). The Importance of Trunk Muscle Strength for Balance, Functional Performance, and Fall Prevention in Seniors: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icine, 43(7): 627-641. https://doi.org/10.1007/s40279-013-0041-1
  66. Kwak, Y.S., Um, S.Y., Son, T.G., & Kim, D.J (2008).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Senile Dementia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9(6): 471-474. https://doi.org/10.1055/s-2007-964853
  67. Duncan, R.L, & Turner, C.H. (1995). Mechanotransduction and the Functional Response of Bone to Mechanical Strain.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57(5): 344-358. https://doi.org/10.1007/BF00302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