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n the Difficulties of Korean Dance Instructors Targeting Senior People : Extension to the Development of PBL Problems

노인대상 한국무용 지도자의 애로요인 탐색: PBL 문제개발로의 확장

  • Received : 2020.03.20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Korean dance instructors targeting senior people and extends the difficulties found to developing PBL problems applicable to the instructors' education.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employ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our questions and 1:1 interview and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otal nine subfactors were drawn from four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student management, the curriculum, performances, and class environment. First, about difficulties related to student management, 'conflicts between students' and 'demand for personalized class' were explored. Second, regarding difficulties about the curriculum, 'refusal against new teaching methods' and 'leve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bility of acquisition' were explored. Third, concerning difficulties related to having performances, 'lack of time for practicing', 'needs to achieve excellent performances', and 'the administration of organizations in charge' were explored. Fourth, about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class environment, 'environment in general' and 'spatial environment' were explored. Also, based on the difficulties explored from dance instructors for senior people, this researcher has developed four PBL problems through community dance for harmony, joint choreography-based creative dance, playful dance allowing role division, and mirroring-based dance.

본 연구는 노인대상 한국무용 지도자들의 애로요인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발견된 애로요인을 지도자 교육에 적용 가능한 PBL 문제개발로 확장하였다. 이에 크게 4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개방형 설문지와 1:1 인터뷰를 통해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수강생 관리 관련, 교육과정 관련, 공연 수행 관련, 수업 환경 관련의 4가지 애로요인에서 총 9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첫째, 수강생 관리 관련 애로요인으로는 '수강생들 간 갈등'과 '개인 맞춤식 수업 요구'가 탐색되었다. 둘째, 교육과정 관련 애로요인으로는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거부감', '습득력에 따른 수준차이'가 탐색되었다. 셋째, 공연 수행 관련 애로요인으로는 '부족한 연습시간', '공연 성취 욕구', '수행기관의 행정'이 탐색되었다. 넷째, 수업 환경 관련 애로요인으로는 '제반 환경', '공간 환경'이 탐색되었다. 그리고 탐색된 노인무용 지도자들의 애로요인을 바탕으로 화합을 위한 공동체 춤, 공동안무 방식의 창작춤, 역할분배가 가능한 놀이춤, 미러링(mirroring) 기법의 춤으로 4개의 PBL 문제를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성기환. 2019년 1인가구 30%.노인인구비중 14.8%. http://www.insnews.co.kr/design_php/news_view.php?num=60973&firstsec=1&secondsec=142020.03.08.
  2. 양은혜. (2018). 치매예방 리듬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16(1): 39-52.
  3. 홍예주. (2015). 한국무용이 비만여성노인의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과학회지, 32(2): 103-114.
  4. 홍예주. (2016).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노인여성의 체력변인과 유산소능력에 미치는 한국무용의 효과.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117-127.
  5. 김정하, 이경호, 윤정수, 백승현. (2013). 한국무용 수행이 노인 여성의 타액 코티졸과 면역글로불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197-207.
  6. 이한준.(2014). 노인여성의 6개월간 생활무용 참가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Framingham Risk Score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1(2): 197-210.
  7. 김정하, 이경호, 백승현. (2013). 한국무용 수행이 노인여성의 심리적 지수 및 심혈관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91-101.
  8. 유지영. (2017). 균형훈련 매트를 활용한 한국 전통춤 참여가 노인의 동적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5(1): 23-46. https://doi.org/10.15726/JKD.2017.35.1.002
  9. 정문미, 원영신. (2011). 여성 연소노인의 지각 연령과 사회무용지도자 실제에 따른 지도효율성.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1(1): 81-105.
  10. 유지영. (2013). 한국적 태권무의 개발 가능성 탐색. 한국무용연구, 31(3): 247-270. https://doi.org/10.15726/JKD.2013.31.3.011
  11. 백현순, 유지영. (2019).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 무용학과 커리큘럼의 방향모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193-202.
  12. 유지영. (2014).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호 직업, 진로결정 영향인물에 따른 직업가치관: 내적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3(5): 411-420.
  13. 문병남. (2000). 성인발레 수강생들의 애로사항 구조개념 및 척도개발. 한국무용과학회지, 32(4): 33-44.
  14. 백봉선, 유지영. (2017). 노인무용 활동의 애로 사항 탐색.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51-53.
  15. 김현숙. (2000). 무용가의 활동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7: 129-140.
  16. 류가연. (2013). 무용수의 정서지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28: 41-63.
  17. 김기영, 김선정. (2017). 직업무용수의 무용열정과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만족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1): 37-54.
  18. 김인숙, 윤기운. (2011). 직업무용수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코칭능력개발지, 13(4): 55-66.
  19. 오소희, 조윤라. (2019). 유아 무용교사의 직무 환경이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4): 179-195.
  20. 차현정, 최성애, 서명근. (2015). 라인댄스 지도자의 직업가치관이 댄스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3(2): 259-318.
  21. 류가연. (2018). 직업무용수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48: 49-68.
  22. 염치훈. (2015). 직업무용수의 전문직업성이 직무스트레스와 공연품질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54(3): 113-128.
  23. 강경모. (2006). 직업무용수의 역할 스트레스와 직무탈진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중재 효과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5(2): 425-435.
  24. 문행자. (2011). 여성 생활무용지도자의 역할스트레스가 직무탈진과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6: 57-70.
  25. 최정임. (2004). 사례 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 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9(1): 37-61.
  26. 강광순. (2018). 정신간호학 사례기반 문제중심 학습이 비판적사고,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231-240.
  27. 김기화. (2011). 창의적 무용교육과 문제중심학습. 한국무용연구, 29(2): 29-50.
  28. 백현순, 이예순, 김이영. (2012). 한국 민속무용 수업과 PBL. 한국무용연구, 30(1): 1-19.
  29. 고현정. (2017). 앎과 지식 구성을 통한 PBL지식창출 공간 고찰과 대학무용교육 모듈.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3): 45-63.
  30. 김해성. (2013). 예비 무용교사들의 움직임교육 수업향상을 위한 PBL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무용연구, 31(3): 111-149.
  31. 정유진, 백현순. (2016). PBL을 적용한 초등학생 한국무용 수업 설계. 한국무용연구, 34(3): 151-174.
  32. 김지영, 김은혜, 홍애령. (2019). 문제중심학습(PBL)의 무용수업을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 미래사회 대비 대학무용의 변격적 교육. 한국무용학회지, 19(1): 29-47. https://doi.org/10.26743/KAOD.2019.19.1.003
  33. 정애리, 유순화. (2014).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 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7(1): 81-88.
  34. A.Giorgi.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35. E. G. Guba and Y. S. Lincoln.(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36. 유지영.(2015).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문화매개자의 인식 양상: 노인복지기관 담당자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6(1): 211-230.
  37. 유지영. (2015).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114-12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114
  38. 한정화, 김은자, 현진숙, 김나현. (2016). 공격성향 여성노인의 분노 경험. 노인간호학회지, 18(2): 95-105.
  39. 조은혜. (2003). 노인들의 신체활동 참여의 지속성과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7(1): 99-114.
  40. 이주연. (2008).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14: 145-165.
  41. 김자영. (2008).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14: 145-165.
  42. 정희정, 노웅래, 김수경, 김영신, 이용호. (2017). 농촌 여성노인의 신체수행력, 근력,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5(4): 109-132.
  43. 임효진, 한지은, 장경은, 여영기, 박병기. (2015). 노인집단에서 창의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68: 133-160.
  44. 문영미. (1995). 인지적 능력과 연습방법의 차이가 무용동작의 학습 및 재현에 미치는 효과. 대한무용학회논문집, 17: 209-217.
  45. 강영식, 박병관. (2008). 노인의 욕구영역에 따른 노인복지관 노인교육프로그램의 선택 속성. 노인복지연구, 41: 327-351.
  46. 강자영. (2008). 무용공연기획에 따른 공연만족도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황재욱, 홍석범, 신지혜. (2018). 무용전공자들의 지각된 교수행동, 교사-학생 상호작용, 공연자 심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 23-36.
  48. 정소민. (2005). 무용교육의 환경요인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9. 강영식, 박병관. (2008). 노인의 욕구영역에 따른 노인복지관 노인교육프로그램의 선택 속성. 노인복지연구, 41: 327-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