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ourism Resources of Baekje Restoration War : Focus on Yesan Imjon Fortress & Hongju Juryu Fortress

백제부흥전쟁의 관광자원화에 관한 연구: 예산임존성과 홍주주류성을 중심으로

  • 최인호 (청운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Received : 2020.05.25
  • Accepted : 2020.06.23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ways to make tourism resources based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major legacies of Yesan Imjon Fortress and Hongju Juryu Fortress, the center of the war where the core leadership of Baekje Restoration War was located. After the collapse of Baekje, it looked at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war centered on Imjon Fortress, the main characters, Imjon Fortress and Juryu Fortress, and the legends related to the restoration war. The tourism value of Baekje Restoration War is highlighted in terms of location identity and dark tourism. After reviewing cases of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Baekje Restoration War, the method of tourism resourceization was presented. The elements of resourceization include characters, battles, relics, places, and name legends. Reproduction strategy, experience strategy, hard branding strategy and soft branding strategy were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reenactment strategy, the Baekgang Battle reenactment event was presented. Experience strategies include walking and Baekje pottery. As for the hard-branding strategy, installation of sculptures of major characters and upgrading of tourist information signs were suggested. Soft branding strategies raised the need for logo marks, catch phrases, character products, video contents, and story maps through the branding of fortresses related to the Baekje Restoration War.

본 연구는 백제부흥전쟁의 핵심 지도부가 위치했던 항전 중심지 예산임존성과 홍주주류성의 역사적 의의, 주요 유산들을 바탕으로 관광자원화 방법을 탐색했다. 백제패망 이후 임존성을 중심으로 일어난 부흥전쟁의 과정, 주요인물, 임존성과 주류성, 부흥전쟁관련 전설 등을 살펴보았다. 백제부흥전쟁의 관광가치는 장소정체성 측면과 다크투어리즘 측면에서 중요성이 부각된다. 백제부흥전쟁과 유사한 성격을 갖는 사례를 검토한 후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했다. 크게 자원화의 요소로는 인물, 전투, 유물, 장소, 명칭 전설 등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재현 전략, 체험전략, 하드브랜딩 전략, 소프트브랜딩 전략을 제시했다. 재현전략의 사례로는 백강전투 재현 이벤트를 제시했다. 체험전략으로는 도보체험 및 백제토기 체험 전략이 있다. 하드브랜딩 전략으로는 주요인물 조형물 설치와 관광안내표지의 고도화를 제시했다. 소프트브랜딩 전략으로는 백제부흥전쟁 관련 산성의 브랜드화를 통해 로고마크, 캐치 프레이즈, 캐릭터 상품, 영상콘텐츠, 이야기지도 제작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옥(2002), 전설의 세계,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 경상북도(2017), 경북 웰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족적관광의 상품성 평가 중심, 경상북도.
  3. 권덕영(2014). 백제멸망 최후의 광경, 역사와 경계 93, 1-29.
  4. 김병남(2013), 백제 풍왕 시기의 정치적 상황과 부흥운동의 전개 : 도침의 몰락과 복신의 주도 배경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6(1) 35-62.
  5. 김수태(2018), 예산지역의 백제부흥운동, 백제문화 (58), 167-188.
  6. 김영관(2012), 백제부흥운동기 홍성에 대한 연구, 백제문화 (47), 83-104.
  7. 김영순.정미강(2008),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의 스토리텔링 과정 연구, 텍스트언어학 24, 167-192.
  8. 김정헌(2006a), 나라 잃은 원혼이 깃든 바위, 상상력이 녹아있는 우리동네 - 우리고장의 숨겨진 이야기, 한국문인협회 홍성군지부.
  9. 김정헌(2006b), 복신장군이 기거했던 토굴일까, 상상력이 녹아있는 우리동네 - 우리고장의 숨겨진 이야기, 한국문인협회 홍성군지부.
  10. 김정헌(2015), 내포길 주변의 숨겨진 이야기 - 임존성 묘순이 바위와 종콩밥, 홍주타임스 2015년 11월 24일.
  11. 노중국(2004). 백제부흥운동사, 일조각.
  12. 노중국(2005). 백제부흥운동 이야기, 주류성.
  13. 박경하(2015). 귀화인 金忠善(沙也可)의 생애와 역사문화콘텐츠로의 재현 사례, 다문화콘텐츠연구 19, 45-76.
  14. 박석희(2012). 신관광자원론. 대왕사.
  15. 박성흥(2004), 홍주주류성과 백촌강 연구, 내포지방의 고대사와 홍주 주류성과 당진 백촌강 연구, 조양인쇄사.
  16. 박해현(2010). '백촌강 전투'와 한.일 역사 교과서 서술, 한국학논총 34, 239-272.
  17. 박현숙(1996), 백제 泗沘時代의 지방통치체제 연구, 한국사학보 (1), 287-317.
  18. 성부제(2002), 남매장수와 임존성, 예산군지(하), 예산군.
  19. 아즈미노시(www.city.azumino.nagano.jp/site/mizumonogatari/2489.html, 자료검색일 2019.11.9.)
  20. 아즈미노시 관광협회(www.azumino-e-tabi.net/moevent/御舟祭り, 자료검색일 2019.11.9.)
  21. 안지영(2017), 콘텐츠 투어리즘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가능성 모색, 외국학연구 42, 487-504.
  22. 양종국(2008). 의자왕과 백제부흥운동 엿보기, 서경문화사.
  23. 에드워드 렐프(2005),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4. 이도학(2003).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25. 이도학(2003), 백제 조국회복전쟁기의 몇 가지 쟁점 검토, 백제문화 32, 149-157.
  26. 이상훈(2018), 부안 주류성의 군사학적 고찰, 2018 홍주주류성 고증 학술세미나 자료집, 119-136.
  27. 이수진.조응래.조성한.이승훈(2017), 길에 관광을 입히다, 선(線)형 관광, 이슈&진단 274, 1-27
  28. 이재준(2018), 부흥전쟁기 주류성에 대한 종합고찰. 2018홍주주류성 고증 학술세미나 자료집, 17-85.
  29. 이재준(2019), 군사적 관점에서 본 주류성과 백강의 위치, 한국고대사탐구 31, 237-285.
  30. 이충훈(2014). 통합브랜드 구축으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인다. 충남리포트 94, 1-12.
  31. 임재해(2009), 나그네설화의 민속학적 인식과 관광문화학의 새 지평, 실천민속학연구 14, 5-89.
  32. 장성곤.강동진(2017), 지속가능한 다크투어리즘(Dark Tourism)의 개념 정의와 전개과정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8(2), 63-80.
  33. 장재환(2018), 백제 부흥전쟁과 주류성. 2018홍주주류성 고증 학술세미나 자료집, 3-14.
  34. 전성환(2014), 역사인물 콘텐츠의 활용현황과 전망, 충청학과 충청문화, 18, 9-28.
  35. 정수희.이병민(2020), 콘텐츠 투어리즘의 구성요소와 한국형 모델 연구, 문화콘텐츠연구 18, 209-249.
  36. 조효단(2016), 문화유산과 관광적 상상계(Imaginaire touristique)에 대한 연구 - 경주 불국사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8(4), 5-21.
  37. 지원구(2018), 百濟 西方城의 位置와 性格, 백제문화 (58), 131-166. https://doi.org/10.35300/BJCLAB..58.201802.131
  38. 최운식(2002), 오누이 성 쌓기 내기 전설의 의미와 기능 - 홍성지역 석성산성과 학성산성, 복신굴, 상여바위 전설을 중심으로, 한국서사의 전통과 설화문학, 295-315.
  39. 최인호(2008), 대중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지 스토리텔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12), 396-403. https://doi.org/10.5392/JKCA.2008.8.12.396
  40. 최인호.임은미(2008),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구 32(4), 411-429.
  41. 최인호.임은미(2011), 옛길 관광자원의 관리체계 -일본 쿠마노코도(熊野古道)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7(1), 217-232.
  42. 팀 크레스웰(2012), 장소, 시그마프레스.
  43. 한숙영(2006), 유산관광 체험영역에 관한 탐색: 실용적,헤도닉 가치의 관점에서, 관광학연구 30(3), 11-28.
  44. 한숙영.김사헌(2007), 유산과 유산관광의 개념에 관하여: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1(3), 209-223.
  45. 한지연(2018). 도침의 불교사상과 백제부흥운동, 2018 홍주주류성 고증 학술세미나 자료집, 97-110.
  46. Saarinen, J.(2004), Destinations in Chang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ourist Destinations, Tourist Studies 4(2), 161-179. https://doi.org/10.1177/1468797604054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