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 Art as Building Local Community : The Case of "The Rose of Sharon Blooms" in Daejeon

지역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공공미술 연구 : 대전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사례를 중심으로

  • 권두완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장웅조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for building the community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s. We analyze the public art project, "The Rose of Sharon Blooms," in Daejeon. To understand the project we interviewed artists, curators,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about three aspects of public art: visuality, speciality, and communication with citizens. These stakeholder interviews yielded valuable knowledge and insights: First, artworks created from the residents' recycled junk effectively harmonizes and unifies the citizens and their environment. Second, managing a gallery in the neighborhood symbolically values and explicates the public art project and thus enhanced the local identity. Third, public workshops in the neighborhood provide a venue for local citizens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about the public arts, which eventually led to the welcoming atmosphere of the community. However, we found relatively little awareness of the need for partnership aspects among our interviewees, which suggests the importance of ongoing cooperation with other arts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to build vital cultural linkages and introduce varied art forms.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지역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공공미술 프로젝트 운영방법을 모색한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지역공동체를 모아내는 공공미술의 세 가지 측면으로 시각성, 특수성, 소통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소들을 기반으로 방문자, 예술가, 지역주민, 기획자 등 연구대상 이해관계자를 심층 인터뷰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 주민들의 재활용 쓰레기로 함께 만든 공공미술은 시민과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화시키고 통합하고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갤러리는 시민들이 지역의 역사와 상징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지역 정체성 강화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공동체와의 소통공간으로 마련된 공방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공동체 참여를 활성화하는 데 일조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기관과의 연구 협력에 관한 인식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는데, 이는 열린 공동체라는 가치적 측면에서, 더 다양한 예술 형식에 열려있는 자세로 다른 지역과의 문화적 연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강윤주(2020), 문체부 대규모 공공미술 프로젝트 추진 "예술뉴딜로 코로나 극복", 11월08일. URL: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70810030002880
  2. 고영득(2020), 지역과 어우러진 시민 중심 공공미술...지친 삶을 위로하다, 11월08일.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9222045015
  3. 김경환(2016), '도시재생 모범사례' 돈의동 쪽방촌 '행복마을'로 탈바꿈, 11월03일. URL: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16110311070615327
  4. 김소라(2009), 공공미술과 공공디자인, 그리고 도시, 건축, 53(5), 12-15.
  5. 김재중(2019), "소중한 아이들"...안전하고 쾌적한 통학로 만들기, 12월18일. URL: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13424&code=11131400&sid1=cen
  6. 김주연.이미림.권양숙(2010), 도시공간에서의 인간과 공공미술의 유기적 관계 연구-시카고 공공미술 작품 사례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3), 99-108.
  7. 박기관(2013),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도가 지역랜드마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3(2), 61-78.
  8. 박양미(2013), 상징조형물과 디자인 전형성이 지역문화 정체성과 디자인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3), 305-315.
  9. 박현옥(2008),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나타난 주민참여형 공공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4), 205-216.
  10. 서순복(2007), 문화의 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정책적 함의, 한국지방자치연구, 8(3), 23-44.
  11. 송익준(2015), "지역 예술축제 중심으로 도시재생" 대발연.예총 토론회, 09월11일. URL: http://m.joongdo.co.kr/view.php?key=20150910000004371
  12. 심승연.여승민.정강화(2006), 청계천 자연생태공간 LED 조형물 설치,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0-163.
  13. 아름다운 맵(2020), 프로젝트 2017 사업개요. URL: http://maeulmisul.e-bizs.net/?module=Goods&action=SiteGoods&sMode=SELECT_FORM&sCurrSortCd=001010&sSearchField=etc1&sSearchValue=1
  14. 양현미.윤태건(2004), 공공미술의 제도적 기반:'미술을 위한 퍼센트법'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16, 177-202.
  15. 윤영득(2018), 환경예술과 지역발전-크리스토의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연구, 7(3), 101-118.
  16. 이무용(2006),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41(1), 39-57.
  17. 정재영(2015). 낙후된 달동네서 '서민생활 혁신' 모델로, 03월20일. URL: https://www.segye.com/newsView/20150317003766
  18. 조한필.박동민.우성덕(2019), 홍등 끄고 문화예술 불밝힌 대전역 뒷골목, 11월03일. URL: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11/902721/
  19. 조해진(2016), 문화콘텐츠 활용을 통한 지속 가능한 상징조형물 건립에 관한 연구: 강릉시 올림픽 조형물 건립계획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3), 515-524.
  20. 한미애(2007), 공공미술의 평가요소에 관한 모색-서울시 대학로의 조형물과 노원구의 삼중주 조형물을 중심으로, 공공디자인학연구, 2(1), 63-74.
  21. Baldini, A.(2014), Public Art: A Critical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Libraries).
  22. DeShazo, J. L. & Smith, Z.(2015), Developing Civic Engagement in Urban Public Art Programs, Lanham: Rowman & Littlefield.
  23. Grodach, C.(2010), Art spaces, public space, and the link to community development,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45(4), 474-493. https://doi.org/10.1093/cdj/bsp018
  24. Karasyova, S. G.(2006), The ends and means of public art making: A case study of "public art" and "art in public" in the Portland, Oregon metropolitan region. Portland State University.
  25. Kay, A.(2000), Art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role the arts have in regenerating communities,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5(4), 414-424. https://doi.org/10.1093/cdj/35.4.414
  26. Lacy, S.(1995), Mapping the terrain: New genre public art, Seattle: Bay Press
  27. Lehmann, S.(2019), Urban Regeneration, London: Palgrave McMillan.
  28. Lees, L. & Melhuish, C.(2015), Arts-led regeneration in the UK: The rhetoric and the evidence on urban social inclusion.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22(3), 242-260. https://doi.org/10.1177/0969776412467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