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China in the Region : Focusing on Jeonbuk area

지역 내 중국 관련 역사문화자원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정지나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Received : 2020.08.14
  • Accepted : 2020.09.21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z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med during the Goryeo, Chosun, and Anti-Japanese Movement periods after the Silla period with the aim of finding ways to utilize its cultural contents. The viewpoint of analysis was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naturalization, and faith,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of all, from the exchange perspective, the activities of Choi Chi-won, Seogyu, and Song Young-gu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reg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such as leaving a lot of ruins or geographic stories in the area and a heritage of good human exchange.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uralization, Du Kyung-ryeong, Cheon Man-ri, and Jeong Yul-seong contributed to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story and the formation of heritage by doing such as contributing activities to the war, anti-Japanese movement for the n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n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from a religious point of view is the Guan Yu faith, which has become a faith believed by the authorities and civilian as a brave longevity and a symbol of the victory of war. The related symbols, paintings, etc. also are objects of worship and have become valuable local Chinese cultural resources as artistic values. Therefore,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 and utilize these China-relat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good cultural contents by elaborating their stories and local festivals, book culture brandi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s, and exploring various cultures such as Chinese tour courses.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중국관련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그것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라시대 이후 고려시대, 조선시대, 항일운동시대까지 형성된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관점은 교류, 귀화 그리고 신앙의 시각에서 이루어졌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교류적 관점에서 최치원과 서긍 그리고 송영구의 활동은 지역에 많은 유적이나 지리적 스토리를 남기고, 아름다운 인적교류의 유산 등 지역역사문화콘텐츠의 형성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귀화의 관점에서 볼 때 두경령, 천만리, 그리고 정율성은 귀화하여 지역에 한중역사문화를 뿌리내리고, 특히 항일운동, 국가형성에 기여하는 등 귀화를 통한 한중의 역사문화 스토리 및 유산형성에 역시 이바지했다는 점이다. 신앙적인 관점에서는 관우신앙을 들 수 있으며, 그것은 용감한 장수로서, 그리고 전쟁승리의 상징으로서 관과 민이 믿는 신앙이 되었고 그와 관련된 상징물, 회화 등은 숭배의 대상으로서, 예술적 가치로서 귀중한 지역중국문화자원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는 지역 내 중국관련 역사문화자원과 관련된 스토리 정리 및 지역축제로의 발전, 도서문화브랜드화, 국제적인 음악제 추진, 중국인 탐방 코스 등의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이를 통한 한중문화교류 확대, 중국인 관광객 유치 등에 대한 지자체 및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환(2007),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문화재청.
  2. 김상원(2018), 조선통신사의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루트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3. 경기문화재연구원(2012), 수도권 광역경제권 역사문화콘텐츠 활성화 및 활용전략연구.
  4. 김제군(1982), 김제의 전설
  5. 김지영(2016), 조선 후기 관왕묘 향유의 두 양상, 규장각 49집, 501-531
  6. 남관동, 배우정(2015), 국내관우묘의 현황과 수용에 대한 연구, 중국소설논총 제45집, 87-114
  7. 대한예수교장로회전주서문교회100년사편찬위원회(1999), 전주서문교회100년사, 쿰란출판사
  8. 문화재청(2004), 전주객사
  9. 박영철(2017), 군산과 동아시아, 민속원
  10. 박종기(1994), 고려사의 재발견, 휴머니스트
  11. 섭덕휘 지음, 박철상 옮김(2011), 서림청화, 푸른역사
  12. 유흥준(2017),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0(서울편 2), 창비
  13. 이종한(2006), 정율성평전, 지식산업사
  14. 이흥재(2005), 문화예술정책론, 박영사
  15. 이희근(2008), 우리안의 그들 역사의 이방인들, 너머북스
  16. 장일규(2009), 최치원의 사상연구, 서신원
  17. 전라북도 문화유산과(2015), 전라북도의 최치원 유적
  18. 전라북도문화원연합회(2018), 전북의 향토문화유산, 신아출판사
  19. 전북애향운동본부(1984), 전북인물지(하), 전북일보사
  20. 정읍문화원(1999), 정읍문화재지
  21. 중앙일보사(1990), 성씨의 고향(1990), 중앙일보
  22. 조동원, 김대식 외(2005), 고려도경, 황소자리
  23. 종로구청(2012), 동관왕묘 소장유물 기초학술 조사보고서
  24. 하계호(1959), 주해 명성경, 전주 형제당석판인쇄소
  2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4) 21, 웅진출판주식회사
  26. 한국인의족보편찬위원회(1992), 한국인의 족보
  27. 동아일보, 中 '관우신앙'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2010.12.7.
  28. 한겨레, 대통령 중국서 각별한 환대 받아, 시 주석, 최치원선생 시구로 인사말, 2013.6.27
  29. 아주경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방한 서울대 강연 전문클릭, 2014.8.7
  30. 연합뉴스, 시진핑, 최치원 詩 또 인용...한.중 교류 강조, 2015.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