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nitiveness Toward Defendants Accused of Same-Race Crimes Revisited: Replication in a Different Culture

동인종 범죄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한 엄벌주의적 판단의 재고찰: 다른 문화에서의 적용

  • Lee, Jungwon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
  • Khogali, Mawia (Center for Policing Equity) ;
  • Despodova, Nikoleta M.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and the Graduate Center,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 Penrod, Steven D.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Received : 2020.03.20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Lee, Khogali, Despodova, and Penrod (2019) demonstrated that American participants whose races are different from a defendant and a victim rendered more punitive judgments against the defendant in a same-race crime (e.g., White observer-Black defendant-Black victim) compared to a cross-race crime (e.g., White observer-Black defendant-Hispanic victim).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test the replicability of their findings in a different country-South Korea. Study 1a failed to replicate the race-combination effect in South Korea with three new moderators-case strength, defendant's use of violence, and race salience. Study 1b was conducted with the same design of Study 1a in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whether the failure of the replication in Study 1a wa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owever, Study 1b also failed to replicate the race-combination effect. Study 2 conducted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data from Lee et al.'s (2019) study, along with the data from Study 1a and 1b and revealed that the race-salience manipulation in Study 1a and 1b might have caused the null results. We conclude that when people' races are different from both a defendant and a victim, they are likely to render more punitive judgments against the defendant in a same-race crime than a cross-race crime. However, the race-combination effect is only sustained when race-relevant issues are not salient in the crime.

Lee, Khogali, Despodova, 와 Penrod의 연구(2019)에서는 관찰자가 피고인과 피해자의 인종과 다른 경우, 타인종 범죄(예: 백인 관찰자, 흑인 피고인, 히스패닉 피해자)보다 동인종 범죄(예: 백인 관찰자, 흑인 피고인, 흑인 피해자)에서 더 가혹한 판결이 내려지는 것을 밝혀내었다. Lee 등의 연구(2019)는 미국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그러한 인종조합효과가 한국 피험자에게서도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1a는 한국에서 3개의 조절 변인(증거 강도, 피고인의 폭력사용 정도, 인종 특출성)과 함께 인종조합효과를 살펴보았으나, 그 효과의 재현에 실패하였다. 연구1b는 연구1a의 재현실패가 한국과 미국의 문화 차이 때문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1a와 동일한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미국에서 시행되었다. 그러나 연구 1b 역시 인종조합효과를 재현하는 데 실패하였다. 연구2는 연구1a와 연구1b의 데이터와 함께 Lee 등(2019)의 데이터도 통합하여 메타분석적 검토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1a와 연구1b의 인종 특출성 조작이 그 재현실패의 원인일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고인과 피해자의 인종과 다른 사람들은 타인종 범죄보다 동인종 범죄에서 더 가혹한 판결을 내리지만, 이러한 인종조합효과는 그 범죄사건에서 인종 관련 사안이 특출해지지 않을 때만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