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rape myth on evaluating rape victim and perpetrator: focusing on moderation effect of victim's deviant behavior

판단자의 강간통념이 강간사건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 - 강간 사건 전 피해자의 일탈행위 여부의 조절효과 -

  • Received : 2020.11.2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Rape myth acceptance may influence victims are treated and perpetrator blamed and sentenced. And this relationship could be moderated by victim's deviant behavior before rape such as teenage running away from home or drinking alcohol.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rape myth, deviant behavior, blaming victim, pain of victim, responsibility and blame for perpetrator and punishment for the perpetrator.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nts with high rape myth acceptance compared to participants with low rape myth acceptance blamed victim more and blamed and thought responsible the perpetrator less. And this relationship was only significant when the victim had deviant behavior before rape happened. This result shows that specific information(deviant behaior) about victim could trigger rape myth to blame victim and judge the perpetrator leniently.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판단자의 강간통념이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피해자의 강간 사건 전 일탈 행위 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연구에서 일탈 조건과 비일탈 조건으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참가자들에게 피해자 책임과 가해자 책임, 피해자 고통 수준, 가해자 처벌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세 실험에서 모두 강간 사건 전 피해자가 일탈 행동을 보이지 않은 경우(비일탈행동 시나리오 조건)에는 강간통념 수준에 따른 강간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평가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강간 사건 전 피해자가 일탈 행동을 보인 경우(일탈행동 시나리오 조건)에는 강간통념 수준이 높을수록 강간 사건의 책임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게서 찾으려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강간통념 수준이 강간 사건 평가에 미치는 효과가 해당사건의 원인을 피해자에게 귀인하기 용이한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