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심리적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대졸이상 고학력 워킹맘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Scale of Working Moms

  • 정현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Jung, Hyun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Tak, Jinkook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투고 : 2020.10.02
  • 심사 : 2020.12.03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 워킹맘이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문헌연구와 함께 경력의 단절이 없으며 학력이 4년제 대졸이상이고 미성년 자녀가 있는 맞벌이 워킹맘을 대상으로 인터뷰,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7개요인 69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워킹맘 306명에게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12개요인 64문항을 추출하였다. 연구 3에서는 638명에게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차타당도 검증을 위해 638명을 임의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G1)의 319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다른 집단(G2)의 319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G1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에 대한 미안함, 업무평가에서의 차별, 몸과 마음의 탈진, 불공평한 육아와 가사 부담, 도우미와의 갈등, 역량개발의 한계, 사회적 편견, 근태의 어려움 총 8개요인 48문항이 추출되었다. G2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 요인구조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한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과 다중 역할 부정경험의 상관이 유의미해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과 준거변인인 삶의 만족, 조직몰입, 직무열의 모두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준거관련타당도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 의의, 이론·실무적 시사점,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Scale of Working Moms(PDSWM). In the first study, 69items and 17 factors of the inventory were obtained based on interview, open-ended questionnaires. In the second study, the on-line surveys from 306 working mom was carried to analyze factor structure of the PDSWM. The final result showed that the 12 factor model with 64 items was appropriate. The third study was collected from 638 working mom and in order to make certain the cross-validity of the inventory, the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with 319 employee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using data of group 1 showed that the 8 factor structure with 48 items was appropriate. Also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data of group 2 showed that the 8 factor structure indicated a satisfactory fit. Final 8 factors were as follows: 1) Feeling Apologetic to family members 2) Discrimination at workplace 3) burnt-out: both body and mind 4) Unequal distribution of child-rearing and house chore labor 5) Conflict with the babysitter/grandparents 6) Limit in further strengthening work competency 7) Social prejudice 8) Difficulty being on time for work. The PDSW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arious criteria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life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such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