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ith police officier

  • 김현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Kim, Hyun (Dept. of Nursing Science, Howon University)
  • 투고 : 2020.08.04
  • 심사 : 2020.08.30
  • 발행 : 2020.08.31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behavior, job stress of police officer in Korea. Methods: It was a descriptive study, and subjects were comprised 135 police officer by repor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S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WIN 22.0. Result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was 41.30 and Dietary practice guideline score was 4.52, moderate activity practice day was 2.48, waling practice day was 3.8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tres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job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practice guideline score and moderate exercise practice days,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drinking.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lth program that can reduce the job stress of the subject and solve the job stress healthil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묵, 김정원. (2005).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서울: 고려의학.
  2. 공하성, 이우성, 우성천. (2007).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 향상방안: 구급대원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1(1), 19-28.
  3. 김구, 한기민. (2012).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4), 497-523.
  4. 김미선. (2001).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정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9(2), 153-163.
  5. 김귀분, 석소현. (2006). 일 대학 부속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12(1), 14-24.
  6. 김정숙, 김춘자. (2016).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의 관련성.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5(4), 311-319.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11
  7. 김일순. (2006). 금연운동 정책수립에서 NGO의 역할. 보건복지포럼, 116, 80-87.
  8. 김현, 김현리. (2011). 충남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한국산업간호학회지, 20(2), 204-211.
  9. 구종태. (2001).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0. 나경엽. (2008). 경찰공무원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연구: 개인적 특성 차이분석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대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1. 문유석. (2011).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 환경적 유발요인. 지방정부연구, 15(1), 119-141.
  12. 박미숙. (2001). 교정공무원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3. 박주상, 안승남. (2002).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9(1), 49-70.
  14. 권문희 등. (2020).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서울: 은학사.
  15. 보건복지부. (2006). 건강증진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6. 신성원. (2007).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7(2), 137-155.
  17. 유정민. (2001).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8. 유승원, 김규상, 박정일, 김민기. (2002). 여성 소방관의 문제음주 실태 및 관련 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4(2), 124-132.
  19. 우남희, 김숙영. (2009).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8(2), 270-280.
  20. 우제태. (2007). 일선경찰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국공안행정학회보, 27, 144-169.
  21. 장세진, 고상백, 차봉석, 박종구, 강동묵, 강명근, 김성아 외 21명. (2005).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의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7(4), 297-317.
  22. 정혜경, 김미혜, 우나리아. (2007). 충남지역 일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식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2(2), 176-184.
  23. 최서란, 정혜선.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논문분석. (2004).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3(1), 40-47.
  24. 하재혁, 김동일, 서병성, 김원술, 유승호, 김수근. (2008).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2), 104-111.
  25. 한금선, 김근면.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자존감, 건강증진 행위, 가족적응도 및 스트레스 증상 비교. (2007). 정신간호학회지. 16(1), 78-84.
  26. Alexander, L. L., Beck, K. (1990). The smoking behavior of military nurses: the relationship to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Advanced Nurses, 15(7), 843-849.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0.tb01916.x
  27. Allen, N. J.,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28. Andrew, G., Isskidiam, C., Carter, G. (2002). Short fall in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British journal of Counseling Psychiatry, 179(5), 417-419.
  29. Faul, F., Erdfelder, E., Lang, A. G., Buchner,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30. Stratton, J. G. (1984). Police passage. Manhattan: Glennon Publishing co.
  31. US Department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2). Healthy people 2000: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Washington DC: Author.
  32. Walker, S. N., Volkan, K., Sechrist, K. R., Pender, N. J. (1998).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1(1), 76-90. https://doi.org/10.1097/00012272-198810000-0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