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윤희, 김미영, 이에리쟈. (2008). 재가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양상태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8(1), 122-130. https://doi.org/10.4040/jkan.2008.38.1.122
- 고상백, 장세진, 강명근, 차봉석, 박종구. (1997). 직장인들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예방의학회, 30(3), 540-554.
- 김기홍. (2006). 한국농촌마을 사회자본의 특징에 관한 연구: Trust&Network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태준, 최상덕, 장근영, 이기홍, 전주혜. (2009).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연구.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 김혜연. (2011).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민간자원 연계사업 참여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1-29.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선우덕 외 5명. (2014). 노인 보건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성혜영, 조희선. (2006).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26(1), 105-123.
- 손주희. (2017). 노인의 경제적 지위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대학원
- 신근영. (2016).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강릉: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 신학진. (2011). 노인의 사중고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로당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3), 653-672.
- 오영은. (2017). 농촌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이금옥. (2007). 농촌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 구조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성균. (2006). 한국 자영업자의 사회적 자본과 소득수준. 한국사회학, 4(5), 178-206.
- 이지원. (2017) 초고령사회에 따른 노인건강의료 분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5(4), 181-203.
- 이현기. (2010). 노인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자본:사회 자본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0, 263-290.
- 이현주, 정순둘, 김고은. (2013).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노인의 사회적 자본 경험과 의미. 노인복지연구, 60, 143-168.
- 이화. (2015). 노년기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장서진. (2013). 사회자본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수준이 치매 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문화적 특성인 가족 건강성의 조절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전길양, 김정옥. (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8(1), 155-170.
- 전상남. (2019). 노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3), 29-42.
- 전상남, 송현종. (2017).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과 적정수면시간과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 43(1), 2017.
-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 진재문, 김수영, 문경주. (2017). 노인차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2), 135-166.
- 최민정. (2015).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124-163.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124
- 최윤정, 박유신, 김찬, 장유경. (2004).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의 건강자가평가에 따른 기능적 건강 및 영양 위험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37(3), 223-235.
- 통계청. (2019).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 하성규, 박기덕. (2011).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서울 아파트단지와 여주농촌 마을 비교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2(4), 133-153.
- Coleman J.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4-121. https://doi.org/10.1086/229033
- Cohen S. (1987).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Ed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 (pp. 1-32). New York: Lawrence Erlbaum.
- Cohen S, Hoberman H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79-125.
- Diener E.(2012). New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for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American Psychology, 69, 851-864.
- Farmer MM, Ferraro KF. (1997).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8(3), 298-311. https://doi.org/10.2307/2955372
- Gallagher EN, Vella-Brodrick DA.(2008).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 1551-1561. https://doi.org/10.1016/j.paid.2008.01.011
- Jeon SN, Shin H, Lee HJ. (2012). Dynamics of Constructs in Successful Aging of Korean Elderly: Modified Rowe and Kahn's Model.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3(3), 137-181. https://doi.org/10.1016/j.phrp.2012.07.003
- Lin N. (2000).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Contemporary Sociology, 29(6), 785-795. https://doi.org/10.2307/2654086
- Marsden PV. (1987). Core Discussion Networks of America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1), 122-131. https://doi.org/10.2307/2095397
- Mickelson KD, Laura DK. (2003). Social distribution of social support: The mediating role of life even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3), 265-281. https://doi.org/10.1023/B:AJCP.0000004747.99099.7e
- Orkibi H, Ronen T, Assoulin N. (2014).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sraeli adolescents attending specialized school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6, 515-526. https://doi.org/10.1037/a0035428
-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 35-42.
- Rowe JW, Kahn R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 Seeman TE, Bruce ML, McAvay GJ. (1996).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onset of ADL disability: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Th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1(4), 191-200.
- Smith, AM, Shelley JM, Dennerstein L. (1994). Self-rated health: biological continuum or social discontinuit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9(1), 77-83. https://doi.org/10.1016/0277-9536(94)90167-8
- Yoon E, Lee RM, Goh M. (2008). Accultur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 246-255. https://doi.org/10.1037/1099-9809.14.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