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농촌 마을 주거환경 서비스 개선 연구 -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도산2리 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rvice in Rural Village by Apply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 Focused on Dosan 2-ri Village, Janggok-myeo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

  • 유아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 조광수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투고 : 2020.07.02
  • 심사 : 2020.08.22
  • 발행 : 2020.08.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utilizes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centered on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rural residents, who are the main beneficiaries of the service, to derive specific problems and needs, and to propose a service improvement plan suitable for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selected Dosan 2-ri Village,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as the target of the survey, used personas and Customer Journey map of service design method to derive specific core issues and insights from the village residents. By developing this, the final five service directions for 'Air care service', 'Self-driving garbage collection and treatment service', 'Emergency/disaster networking service', 'Contaminant removal service' and 'Mobility share service' were deriv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each key keyword. This study is not just a study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but it focuses on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rural residents and extracts elements that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lifestyles and patterns of the residents.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more realistic improvement of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rvice development research.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paces is focused on urban areas, and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rural areas in residential areas. Therefore, by making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rvices suitable for rural areas and by creating residential spaces and environments in rural areas in a comfortable and safe manner,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atisfaction in rural areas and improvement of healthy housing welfare as well as to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of rural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훈, 강순주, 고령사회를 대비한 농촌지역의 주택변화와 주거 요구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
  2. 김유지 외 4인, 대성동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공 커뮤니티서비스 디자인-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6(6), 2015.
  3. 김지연, 고영준, 고령자의 안전생활을 위한 ICT융합 서비스디자인 시나리오 제안, DID논문집, 17(3), 2018.
  4. 김혜선, 농촌 노인의 주거실태와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대불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 송길호, 농촌지역 주거재생을 위한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15(6), 2014.
  6. 유아현 외 3인, 헬스케어 기반의 농촌 주거환경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9.
  7. 유훈식, 김용기, 반영환, 서비스 디자인을 활용한 고령자의 사회적 소통 확장을 위한 사용자 경험 시나리오 개발,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13(4), 2013.
  8. 윤정아, 박영호, 이돈일, 서비스 디자인 측면의 공공 공간 특성 연구: 국내외 국제공항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6(1), 2015.
  9. 이경은, 남경숙, 노인 전용 공동 주거의 서비스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2012.
  10. 이선민, 이연숙, 거주자요구에 기반한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8(6), 2008.
  11. 이희승, 농촌지역 노인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최병숙 외 4인, 농촌노인의 노인공동주거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3), 2006.
  13.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2014
  14. 통계청, 2019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http://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