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ng Characteristics in Plan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Gifted Classes and Invention-Gifted Classes Based on PCK

PCK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영재수업과 발명영재수업 구성과 실천의 특징 비교

  • Received : 2020.05.04
  • Accepted : 2020.06.11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in plan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gifted classes and invention-gifted classes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o do this, we selected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conducting elementary science-gifted classes and/or invention-gifted classes were selected at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eachers tended to organize the science-gifted classes with a focus on the exploration of causes and application activities for scientific phenomena, but tended to organize the invention-gifted classes with a focus on producing creative output based on methodology. They were all emphasizing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in planning and practicing both science-gifted classes and invention-gifted classes. However, there we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 elements of creativity required by each class. They tended to select subjects for science-gifted classes based on regular science curriculum, while selecting subjects for invention-gifted classes focused on creative design rather than considering the practical art curriculum related to invention-gifted education. They tended to pursue and practice STEAM education in both science-gifted classes and invention-gifted classes.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se class goals and points, they were using experiments and practices,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and conducting evaluations. However, some shortcomings were also revealed in the proce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희, 윤소정(2015). 공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사고개발, 11(1), 19-44.
  2. 강호감, 김은주, 최선영(2005). 초등과학영재학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과학교육논총, 18, 107-117.
  3. 강훈식(2013).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대한화학회지, 57(6), 789-800. https://doi.org/10.5012/jkcs.2013.57.6.789
  4.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5. 권진희, 강훈식(2019).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15-426.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15
  6. 권치순, 장성구(2014). 델파이 기법을 통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의 목적과 담당교사의 수업전문성 설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99-109.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99
  7. 김경한(2019).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511-542.
  8. 김기열, 김기수(2014). 발명 창의성의 개념 고찰 및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169-188.
  9. 김민서, 여상인(2014). 초등 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사고양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3(3), 558-565.
  10. 김민환, 김성훈, 노태희(2019).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41-456.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41
  11. 김용익, 문대영, 박기문, 박수진, 이주호, 전철만(2012).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의 재구조화 및 타당성.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281-305.
  12. 김유정(2011). 과학영재를 위한 비유 생성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14.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하민수, 조희형(2020). 과학 교육론과 지도법. 파주: 교육과학사.
  15.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214
  16. 맹희주, 서혜애(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17. 문공주, 황요한(2017). 무엇이 발명영재를 과학영재와 구별하는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357-378.
  18. 문대영(2013).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내용과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3), 77-90.
  19. 문성환, 성혜경, 이한규(2012). 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초등교육, 23(2), 231-245.
  20. 박계화, 정영란(2018). 초임 과학교사의 PCK와 수업에서 발현되는 PCK의 비교에 대한 사례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2(5), 293-304. https://doi.org/10.24231/RICI.2018.22.5.293
  21.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81-300.
  22. 박문철, 강충열(2016). 초등학교 발명영재와 수학.과학영재의 창의적 성향 비교. 초등교육학연구, 23(1), 1-29.
  23.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2020학년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24. 서혜애, 이선경(2004).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 학습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219-227.
  25. 이갑정, 신동희(2020).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1), 45-56.
  26.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안성훈, 진병욱(2013).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35-452. https://doi.org/10.9722/JGTE.2013.23.3.435
  27.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전미란, 류지영, 이행은, 이윤조, 이경표(2014). 발명영재교육의 정체성 및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24(4), 597-612. https://doi.org/10.9722/JGTE.2014.24.4.597
  28. 이지영, 강훈식(2015).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 그리기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17-82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17
  29.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5).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 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31-442.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31
  30.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31.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32. 조은영, 이신동(2019). 하브루타 토론이 영재의 학습유형에 따라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9(2), 259-279.
  33. 조환옥, 김영민(2017). 중등 과학영재 수업과 영재교육교사 전문성 요인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27(4), 547-563. https://doi.org/10.9722/JGTE.2017.27.4.547
  34. 최용준, 양정모, 진석언(2019). 잠재프로파일분석(LPA)에 기반을 둔 발명영재학생의 기질 및 성격 분석. 창의정보문화연구, 5(2), 117-134.
  35. 최유현, 노진아, 이명훈, 이봉우, 문대영, 강경균, 임윤진, 김동하(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48-168.
  36. Barendsen, E. & Henze, I. (2019). Relating teacher PCK and teacher practice using classroom observ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5), 1141-1175. https://doi.org/10.1007/s11165-017-9637-z
  37. Corbin, J. & Strauss, A. (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38.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39.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Hany, E. A. (1994). The development of basic cognitive components of technical creativity: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high and average intelligence. In R. F.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 115-154). Norwood, NJ: Ablex.
  41.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4.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42. McMillan, J. H. (201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6th ed). Boston, MA: Pearson.
  43. Wiener, G. J., Schmeling, S. M. & Hopf, M. (2018). The technique of probing acceptance as a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 PCK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6), 849-875. https://doi.org/10.1002/tea.21442
  44.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418-10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