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승희, 윤소정(2015). 공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사고개발, 11(1), 19-44.
- 강호감, 김은주, 최선영(2005). 초등과학영재학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과학교육논총, 18, 107-117.
- 강훈식(2013).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대한화학회지, 57(6), 789-800. https://doi.org/10.5012/jkcs.2013.57.6.789
-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 권진희, 강훈식(2019).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15-426.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15
- 권치순, 장성구(2014). 델파이 기법을 통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의 목적과 담당교사의 수업전문성 설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99-109.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99
- 김경한(2019).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511-542.
- 김기열, 김기수(2014). 발명 창의성의 개념 고찰 및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169-188.
- 김민서, 여상인(2014). 초등 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사고양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3(3), 558-565.
- 김민환, 김성훈, 노태희(2019).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41-456.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41
- 김용익, 문대영, 박기문, 박수진, 이주호, 전철만(2012).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의 재구조화 및 타당성.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281-305.
- 김유정(2011). 과학영재를 위한 비유 생성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하민수, 조희형(2020). 과학 교육론과 지도법. 파주: 교육과학사.
-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214
- 맹희주, 서혜애(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 문공주, 황요한(2017). 무엇이 발명영재를 과학영재와 구별하는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357-378.
- 문대영(2013).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내용과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3), 77-90.
- 문성환, 성혜경, 이한규(2012). 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초등교육, 23(2), 231-245.
- 박계화, 정영란(2018). 초임 과학교사의 PCK와 수업에서 발현되는 PCK의 비교에 대한 사례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2(5), 293-304. https://doi.org/10.24231/RICI.2018.22.5.293
-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81-300.
- 박문철, 강충열(2016). 초등학교 발명영재와 수학.과학영재의 창의적 성향 비교. 초등교육학연구, 23(1), 1-29.
-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2020학년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 서혜애, 이선경(2004).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 학습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219-227.
- 이갑정, 신동희(2020).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1), 45-56.
-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안성훈, 진병욱(2013).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35-452. https://doi.org/10.9722/JGTE.2013.23.3.435
-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전미란, 류지영, 이행은, 이윤조, 이경표(2014). 발명영재교육의 정체성 및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24(4), 597-612. https://doi.org/10.9722/JGTE.2014.24.4.597
- 이지영, 강훈식(2015).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 그리기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17-82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17
-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5).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 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31-442.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31
-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 조은영, 이신동(2019). 하브루타 토론이 영재의 학습유형에 따라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9(2), 259-279.
- 조환옥, 김영민(2017). 중등 과학영재 수업과 영재교육교사 전문성 요인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27(4), 547-563. https://doi.org/10.9722/JGTE.2017.27.4.547
- 최용준, 양정모, 진석언(2019). 잠재프로파일분석(LPA)에 기반을 둔 발명영재학생의 기질 및 성격 분석. 창의정보문화연구, 5(2), 117-134.
- 최유현, 노진아, 이명훈, 이봉우, 문대영, 강경균, 임윤진, 김동하(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48-168.
- Barendsen, E. & Henze, I. (2019). Relating teacher PCK and teacher practice using classroom observ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5), 1141-1175. https://doi.org/10.1007/s11165-017-9637-z
- Corbin, J. & Strauss, A. (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any, E. A. (1994). The development of basic cognitive components of technical creativity: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high and average intelligence. In R. F.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 115-154). Norwood, NJ: Ablex.
-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4.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 McMillan, J. H. (201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6th ed). Boston, MA: Pearson.
- Wiener, G. J., Schmeling, S. M. & Hopf, M. (2018). The technique of probing acceptance as a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 PCK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6), 849-875. https://doi.org/10.1002/tea.21442
-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418-10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