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영인, 최지은 (2015). 다자녀의 부모로 살아가기: 세 자녀 부모의 다자녀 양육에 대한 생각과 역할 형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4), 83-104. doi:10.7466/JKHMA.2015.33.4.83
-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 (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doi:10.4069/kjwhn.2013.19.3.188
- 김미옥, 송승민, 이사라 (2015). 맞벌이 가정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와 양육 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모와 취업모 관점에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239-269.doi:10.14698/jkcce.2015.11.239
- 김양은, 하지영 (2016). 여대생들의 출산 및 양육, 자녀가치관을 통해 살펴본 저출산에 관한 이해. 열린부모교육연구, 8(3), 121-140.
- 김은영, 이주연 (2014).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양육죄책감과 아버지 양육지원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67-180. doi:10.7466/JKHMA.2014.32.1.167
- 김은주, 서영희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육아지원연구, 7(1), 93-113. doi:10.16978/ecec.2012.7.1.005
- 김인지, 이세인, 이숙현 (2010).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세대 간 양가감정에 관한 질적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5), 73-85. https://doi.org/10.6115/khea.2010.48.5.073
- 노진형, 김은주 (2006). 둘째 자녀 출산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7(4), 111-138.
- 배광일 (2011). 출산 의도 및 출산 행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배광일 (2015). 모의 심리적 특성 및 가정환경이 출산의도와 출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연구, 46(4), 59-84. doi:10.16999/kasws.2015.46.4.59
- 성정원 (2011). 보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관련된 변인: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삼식, 최효진, 계봉오, 김경근, 김동식, 서문희 등 (2016). 결혼․출산 행태 변화와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재림 (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세대 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doi:10.7466/JKHMA.2013.31.2.001
- 이주연 (2014).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59-177. doi:10.14698/jkcce.2014.10.3.159
- 이진경, 이재림 (2018). 한국판 세대 간 심리적 양가성 척도 타당화: 청년자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3), 105-130. doi:10.21321/jfr.23.3.105
- 이진희, 배은경 (2013). 완벽성의 강박에서 벗어나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enough mother)로-위니캇의 유어정서발달이론과 어머니노릇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연구, 13(2), 35-75.
- 보건복지부 (2019. 2). 제3차(2016-2020)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수정).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4200&CONT_SEQ=327714&FILE_SEQ=249906에서 2020년 7월 30일 인출
- 전연우, 김윤숙, 조희숙 (2012). 손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외할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75-199.
- 정나래, 김희수, 안선희 (2017).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대한 남편의 협력 및 어린이집 만족도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141-155. doi:10.7466/JKHMA.2017.35.4.141
- 정미라, 김지원, 이영은 (2015).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55-281.
- 정은희, 최새은 (2016). 둘째자녀 출산 포기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가족과 문화, 28(3), 131-161. doi:10.21478/family.28.3.201609.005
- 주은선, 강명진, 최민정 (2018). 외조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조모와 어머니의 보고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5), 19-46. doi:10.14698/jkcce.2018.14.05.019
- 진경선 (2019). 만 0 세 자녀 어머니들의 심리적 변인과 향후 7년 이내 후속 출산 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4(2), 175-192.
- 최새은, 정은희, 최슬기 (2019). 육아휴직제를 사용한 남성의 가정 및 직장에서의 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39(4), 280-319. doi:10.15709/hswr.2019.39.4.280
- 최옥채 (2019). 저출산 시기 다자녀 부모의 결혼과 출산 경험. 동광, 114, 54-90.
- 최항준 (2015).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89-114.
- 통계청 (2019. 8). 2018년 출생통계(확정) 보도자료.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967829 에서 2020년 7월 30일 인출
- 홍승아, 최인희, 김난주, 김지미 (2018). 성평등관점에서 본 저출산 대응전략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Ajzen, I., & Klobas, J. (2013). Fertility intentions: An approach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emographic Research, 29, 203-232. doi:10.4054/DemRes.2013.29.8
- Barlow, K. (2004). Critiquing the “good enough” mother: A perspective based on the Murik of Papua New Guinea. Ethos, 32(4), 514-537. doi:10.1525/eth.2004.32.4.514
- Kim, H. S., Sherman, D. K., Ko, D., & Taylor, S. E. (2006). Pursuit of comfort and pursuit of harmony: Culture,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seek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12), 1595-1607. doi:10.1177/0146167206291991
- Layous, K., Lee, H., Choi, I., & Lyubomirsky, S. (2013). Culture matters when designing a successful happiness-increasing activity: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4(8), 1294-1303. doi:10.1177/0022022113487591
- Lee, J., & Bauer, J. W. (2013). Motivations for providing and utilizing child care by grandmoth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5(2), 381-402. doi:10.1111/jomf.12014
- Lerner, M. (1980). The Belief in a Just World: A Fundamental Delusion. New York: Plenum Press.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 Lucas, T., Alexander, S., Firestone, I., & Lebreton, J. M. (2008). Just world beliefs, perceived stress, and health behavior: The impact of a procedurally just world. Psychology and Health, 23(7), 849-865. doi:10.1080/08870440701456020
- Lucas, T., Kamble, S. V., Wu, M. S., Zhdanova, L., & Wendorf, C. A. (2016).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and others: Measurement invariance and links to life satisfaction in four cultur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7(2), 234-248. doi:10.1177/0022022115615962
- Luscher, K., & Pillemer, K. (1998).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parent-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2), 413-425. doi:10.2307/353858
- Mann, M. B., & Thornbu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3), 451-464. doi:10.1080/0300443870270304
-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 Philipov, D., Thevenon, O., Klobas, J., Bernardi, L., & Liefbroer, A. (2009). Reproductive decision-making in a macro-micro perspective (REPRO). Retrieved July 30, 2020, from http://www.oeaw.ac.at/vid/download/ edrp_1_09.pdf
- Robbins, J. M., Ford, M. T., & Tetrick, L. E. (2012). Perceived unfairness and employee health: A meta-analytic integr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7(2), 235-272. doi:10.1037/a0025408
- Rotkirch, A., & Janhunen, K. (2010). Maternal guilt. Evolutionary Psychology, 8(1), 90-106. doi:10.1177/147470491000800108
- Sin, N. L., & Lyubomirsky, S. (2009).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5), 467-487. doi:10.1002/jclp.20593
- Sloane, S., Baillargeon, R., & Premack, D. (2012). Do infants have a sense of fairness? Psychological Science, 23(2), 196-204. doi:10.1177/0956797611422072
- Strauss, A. L.,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Watkins, P., Scheer, J., Ovnicek, M., & Kolts, R. (2006). The debt of gratitude: Dissociating gratitude and indebtedness. Cognition & Emotion, 20(2), 217-241. doi:10.1080/02699930500172291
Cited by
- 만 1세 첫째 자녀의 성별과 기질이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계획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16, pp.6,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