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 in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지방 중소도시 유형별 1인 가구 특성연구

  • 안정근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 김동성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
  • 박철흥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주택사업처)
  • Received : 2020.05.12
  • Accepted : 2020.06.19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In particular, one-person households have rapidly increased around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by factor and cluste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re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 in different local citie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c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As a result of the study,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classified into growth stagnation cities, industrial leading cities, regional base cities, and population outflow cities. It is also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types of local c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The growth stagnation city is a city where the regional economy is revital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dustries in the past. One-person households have a small age group in their 30s and 40s, which are the basis of industrial activities. They have a high proportion of older generation living in more than three rooms in their homes. It is necessary to supply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and share houses for older generation. The leading city of the industry is a city where the local economy is revitalized as workers are concentrated. One-person households are evenly distributed among all age groups, and the apartment occupancy rate i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typ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happy housing for youth generation and reconstruction or renovation housing of manhood generation. The regional base city leads the regional base function and the regional economy, but it has reduced workers. Many of one-person households are younger than 30 years old and college educated. They are also high rate of unmarried and live at one room as rental houses. It is needed to expand the supply of small houses such as apartments, officetels and rented houses for youth generation. The population outflow city has a slow local economy and a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It is found that the households of one-person households have high rate of bereavement and the age. They live more than four rooms in single-family hom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provide welfare housing but also to create a sound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cultural exchange is possible.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국가 경제성장에 힘입어 사회적·경제적으로 주민 생활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특히 미혼 여성의 경제적 자립, 청년층의 만혼(晩婚), 중년층의 이혼, 고령층의 사별 증가 등으로 전체 가구의 29%가 1인 가구인 시대로 되었다. 하지만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에 대한 연구가 인구가 밀집된 대도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에 치중되어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방 중소도시는 도시특성에 따라 성장 정체도시, 산업 선도도시, 지역 거점도시, 인구 유출도시 등으로 구분되며 도시유형에 따라 1인 가구특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정체도시에서의 1인 가구는 산업활동의 근간이 되는 30-40대 연령대가 적으며 자가인 단독주택에서 방 3개 이상에 거주하는 장년층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년층 위주의 장기임대주택 및 쉐어하우스 등의 주택공급과 함께 사회적 교류를 위한 단지형 연립주택과 다세대 주택공급정책이 필요하다. 산업 선도도시에서의 1인 가구는 모든 연령대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아파트 거주비율이 타 유형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행복주택 등 청년층 주택공급과 함께 기존주택에 대한 재건축 및 리모델링을 통하여 청·장년층 1인 가구의 주택수요에 대처하여야겠다. 지역 거점도시의 1인 가구는 대졸 학력에 20대 이하의 미혼 가구가 많고 월세주택에서 방 1개에 거주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청년층을 위한 소형 주택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분양주택과 전월세 주택공급을 통해 청년층 주거안정에 초점을 맞추어야 겠다. 인구 유출도시에서의 1인 가구는 초졸 학력에 사별한 가구가 많고 자가인 단독주택에서 방 4개 이상에 거주하는 노령층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령자 복지주택 등 노령층 위주의 단지형 주택공급을 통해 사회적, 문화적 교류가 가능한 주거환경을 만들고 분산된 주택거주 형태를 집단적 거주형태로 주거공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세연.박환용, 2014, 서울시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 영향 요인 연구, 한국주택학회, 22(1), pp.77-104.
  2. 김영정.구화진, 2019, 1인가구 주거공동체 및 사회적 관계 활성화 방안,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3. 김옥연.문영기, 2009, 1인가구 주거실태분석: 서울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7(2), pp.37-53.
  4. 김태주.안정근.정오락, 2015, 농어촌지역 1인가구 주택공급 방향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5), pp.1199-1207. https://doi.org/10.12652/Ksce.2015.35.5.1199
  5. 김보경, 2017, 청년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6. 김송이, 2013, 1인 가구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중앙대학교.
  7. 박미선.강미나.임상연, 2017, 1인 청년가구를 위한 주거복지 정책방향, 세종: 국토연구원.
  8. 박미선.이재춘, 2018,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 방안, 세종: 국토연구원.
  9. 변미리.신상영.조권중.박민진, 2008, 서울의 1인 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 설동필.우윤석, 2012,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공급정책의 효율성 연구, 한국정책연구, 12(4), pp.197-222.
  11. 신현진, 2018,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및 주거상품에 관한 연구, 제천: 세명대학교.
  12. 이상명, 2017, 저소득 1인가구 지원에 관한 고찰, 한국법정책학회 정책연구, 17(4), pp.1-30.
  13. 이재수.양재섭, 2012, 서울시 1.2인 가구 유형별 특성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이재순, 2012, 1인가구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특성에 관한 연구, 성남: 경원대학교.
  15. 정순희, 2019, 미국의 1인가구 관련 정책동향,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조민희, 2013, 도농간 1인가구의 특성차이에 관한 연구, 대구: 계명대학교.
  17. 조성철, 2012, 수도권 1인가구 주택수요전망과 주택공급분석, 서울: 한성대학교.
  18. 조주현.김주원, 2010, 1인가구의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16(4), pp.35-52.
  19. 통계청, 2019, 국가통계포털-주제별통계, 대전: 통계청
  20. 통계청, 2018, 인구주택총조사, 대전: 통계청
  21. 통계청, 2019, 전국 도시인구 자료, 대전: 통계청

Cited by

  1. 1인 가구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시, 군 1인 가구를 대상으로 - vol.37, pp.3, 2021, https://doi.org/10.5659/jaik.2021.37.3.113